아담벨레니 그리스 문화국장 “그리스 ‘최고 중의 최고’ 보물만 엄선했죠”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입력 2019-06-06 03:00:00 수정 2019-06-06 08:26:21
한가람미술관서 ‘그리스 보물전’
“아가멤논 황금가면 등 350점…문명의 변천사 살펴볼 좋은 기회”
“그리스가 보유한 고대의 보물은 그 숫자가 엄청나죠. 그러나 이번에 한국에서 전시하는 350점은 그중에서 단연 최고 중의 최고(the cream of cream)입니다.”
그리스 문화부가 국가 간 문화교류의 일환으로 소개하는 그리스 국보급 유물들이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왔다. 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는 ‘그리스보물전, 아가멤논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까지’ 진행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에 온 폴릭세니 아담벨레니 그리스 문화체육부 문화유산국장(사진)은 “서양문명의 발상지로서 그리스의 위치를 이번 전시를 통해 생생히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그리스 전역 24개 박물관이 자랑하는 최고의 유물들을 모아 전시한다. 그중에서도 자랑할 만한 보물을 꼽아보길 부탁하자, 그는 “모든 유물들이 최고의 가치를 지녀 하나를 말하기 주저된다”면서도 “아르골리스미케네 고고학박물관에서 온 ‘아가멤논의 황금가면’은 특히 쉽게 만날 수 없는 보물”이라고 귀띔했다.
“이번 전시회는 특히 그리스 땅에서 명멸한 두터운 문명의 역사를 시대별로 조감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해외에서는 그리스 하면 아테네로 대표되는 도시국가만 생각하기 쉽죠. 그러나 그 기층을 이루는 선사시대 에게해 문명에서부터 서구 민주주의의 기원을 이룬 도시국가들, 정복전쟁을 이뤄낸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까지 그리스 문명의 발전과 변천을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리스는 15세기에 비잔틴제국이 오스만제국에 점령된 이후 오랜 이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해외로 반출된 유물도 많다. 반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지 않을까.
“한국도 그런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스는 서구 문명의 기반이 된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고, 근대 이후 불법적으로 빼앗긴 것이 아니라면 오래전에 해외로 간 문화재는 그곳에서 가치를 인정받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엘긴 마블’로 알려진 파르테논 신전의 일부(현 런던 대영박물관 소장)는 제 위치로 돌아와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테살로니키박물관 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한국미술 교류전을 개최해 한국 문화와 한국인들의 따뜻함을 잘 알고 있다며 웃음 지었다.
그리스보물전은 9월 15일까지 열린다. 1만5000원(청소년 1만1000원).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gustav@donga.com
“아가멤논 황금가면 등 350점…문명의 변천사 살펴볼 좋은 기회”

그리스 문화부가 국가 간 문화교류의 일환으로 소개하는 그리스 국보급 유물들이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왔다. 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리는 ‘그리스보물전, 아가멤논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까지’ 진행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에 온 폴릭세니 아담벨레니 그리스 문화체육부 문화유산국장(사진)은 “서양문명의 발상지로서 그리스의 위치를 이번 전시를 통해 생생히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그리스 전역 24개 박물관이 자랑하는 최고의 유물들을 모아 전시한다. 그중에서도 자랑할 만한 보물을 꼽아보길 부탁하자, 그는 “모든 유물들이 최고의 가치를 지녀 하나를 말하기 주저된다”면서도 “아르골리스미케네 고고학박물관에서 온 ‘아가멤논의 황금가면’은 특히 쉽게 만날 수 없는 보물”이라고 귀띔했다.
“이번 전시회는 특히 그리스 땅에서 명멸한 두터운 문명의 역사를 시대별로 조감할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해외에서는 그리스 하면 아테네로 대표되는 도시국가만 생각하기 쉽죠. 그러나 그 기층을 이루는 선사시대 에게해 문명에서부터 서구 민주주의의 기원을 이룬 도시국가들, 정복전쟁을 이뤄낸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까지 그리스 문명의 발전과 변천을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리스는 15세기에 비잔틴제국이 오스만제국에 점령된 이후 오랜 이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해외로 반출된 유물도 많다. 반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지 않을까.
“한국도 그런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스는 서구 문명의 기반이 된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고, 근대 이후 불법적으로 빼앗긴 것이 아니라면 오래전에 해외로 간 문화재는 그곳에서 가치를 인정받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엘긴 마블’로 알려진 파르테논 신전의 일부(현 런던 대영박물관 소장)는 제 위치로 돌아와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테살로니키박물관 관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한국미술 교류전을 개최해 한국 문화와 한국인들의 따뜻함을 잘 알고 있다며 웃음 지었다.
그리스보물전은 9월 15일까지 열린다. 1만5000원(청소년 1만1000원).
유윤종 문화전문기자 gustav@donga.com
비즈N 탑기사
- 워너원 1명, 떨어질 멤버가 붙었다 ‘충격’…‘프듀’ 모든 시즌 투표 조작
- 조현병 환자 범죄율 낮지만 살인 비율은 일반인의 5배
- ‘유승준 비자소송’ 다시 대법으로… 주LA 총영사관, 재상고장 제출
- 익스 출신 이상미, 엄마 된다…“임신 20주차, 태교에 전념”
- ‘태풍 3개 영향’ 올가을 비 많고 더웠다… 평균기온 15.4도 역대 2위
- ‘여친 폭행 뒤 잠적’ BJ찬, 5개월 만에 시민 신고로 체포
- ‘성남시 어린이집 성폭력’ 청원 하루 만에 20만 넘어
- ‘집단 성폭행·동영상 유포 혐의’ 정준영 징역 6년, 최종훈 징역 5년
- 김건모, 결혼식 연기 아버지 기일 때문…스몰웨딩도 취소
- 음주단속 예고에도…경기 남부서 2시간새 67명 적발
- 12월 중고차 시세 하락… 아우디 A6·쌍용 티볼리 구매 적기
- 삼성, 3분기 전세계 5G폰 점유율 74%로 독주…‘갤S10 5G’ 인기
- 참이슬 백팩·곰표 패딩…“이걸 입는다고? 없어서 못 판다!”
- 항공업계 ‘NO 재팬’ 겨울에도 뚜렷…전년比 43.7%↓
- ‘조개 중 으뜸’ 새조개 대량생산 ‘활짝’…치패 생산량 10배 높여
- 선후배간 다리 역할 못하고 양쪽서 눈총… 조직에서 길 잃어
- 잠자는 ‘휴면카드’ 750만매 넘었다…매년 증가
- 금감원 “DLF 손실 최대 80% 배상하라”
- “주민들 암 발병” 횡성 퇴비공장 3개소 토양·악취 조사 착수
- “저출산-금융위험… 한국경제 칵테일형 위기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