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 후원해 취약계층 일자리 만든다
장윤정 기자
입력 2019-04-01 03:00:00 수정 2019-04-01 03:00:00


이 은행의 사회공헌사업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외계층 자립 지원 △신(新)구성원 사회적응 지원 및 글로벌 사회공헌 △임직원 사회공헌의식 제고 운동의 3가지 전략을 토대로 추진된다.
이 가운데 소외계층 자립 지원은 사회적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기업을 연간 10개 안팎으로 선정해 시설 및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회적 기업의 재정 자립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 연대 공제기금’에 출연하기도 한다. 이 기금은 사회적 기업들이 납부한 돈을 재원으로 긴급경영자금과 상해보상자금 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수은은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장을 지원하거나 장애인이 만든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장애인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늘리는 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한다. 예를 들어 ‘우리 마을’이나 ‘굿윌스토어’ 등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운영을 지원한다.
이어 신구성원 사회 적응 사업은 한국 사회에 새로운 사회구성원이 된 다문화가정이나 탈북민에 대해 맞춤형 교육사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빈곤국가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사업을 하기도 한다. 임직원 사회공헌의식 제고 운동은 다양한 형태의 봉사를 통해 금융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취지의 활동이다.
이런 직접적인 사회공헌활동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 기업 우대정책이나 수출 초보 기업을 육성하는 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따뜻한 금융’에 기여하기도 한다고 수은은 설명했다. 예컨대 가족친화적 기업이나 친환경 기업 등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한 기업에 대해 대출금리를 최대 0.3%포인트 인하해주는 것이다. 수출 초보 육성 프로그램은 수출 경험이 적은 기업을 중견기업으로 키우기 위한 디딤돌을 제공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직전 연도 연간 수출금액이 100만 달러 이하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금리를 최대 0.3%포인트 인하해주고 대출한도를 늘려준다. 지난해 수출 초보 기업들에 237억 원이 지원됐다.
아울러 수은은 고용 증가율이 2% 이상인 기업에도 대출금리 등 우대 혜택을 주고 있다. 지난해 고용창출 우수기업 지원실적은 2조1089억 원으로 2017년(1조2219억 원)보다 8870억 원(72.6%) 증가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보니하니’ 29일까지 방송 중단…“채연 부담 덜기위해”
- 가수 김필 “첫 정규, 전곡 작사 작업…최선 다하려고 노력”
- 이재웅 연일 SNS 여론전…“지금 타다 금지나 할 때인가”
- “아들아 땅을 돌려다오” 법정 싸움까지 간 97세 노인의 사연은?
- ‘구미호 까페’ 테마 전주·고창서 1박2일 …‘로맨스 판타지 이야기 여행’ 성료
- 정용진, 백종원 농가지원 요청에 ‘못난이 감자 30톤’ 구매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동남아 패키지여행…“숙소는 만족, 선택관광·쇼핑은 불만족”
- 기아차 신형 K5 출시…“가장 똑똑한 중형세단으로 거듭났다”
- 기아 3세대 K5, 첨단 신기술+강렬한 디자인…중형세단의 혁신
- 신혼부부 10쌍중 4쌍 “1억 이상 빚지고 출발”
- 구조조정대상 기업 210곳 중 96%가 中企… 금융위기후 최대
- 메르세데스벤츠, 신형 GLA 공개…“콤팩트 라인업 완성”
- “빨래는 백조 세탁기에” “애니콜, 한국 지형에 강하다”
- ‘뉴욕 여행 인증 술’ 토끼소주 한국서 만난다
- 폭풍성장하던 중국 앱 틱톡 ‘빨간불’
- "앗, 안돼!"..승강기에 목줄 걸린 강아지 구하려 달려간 이웃 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