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구당 순자산, 부동산 비중이 75%
이건혁 기자
입력 2018-06-20 03:00:00 수정 2018-06-20 03:00:00
美 35%-日 43% 비해 의존도 커
지난해 국내 가구의 빚을 뺀 순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가격이 2007년 이후 가장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9일 내놓은 ‘국민 대차대조표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자산―부채)은 지난해 말 기준 3억8867만 원으로 전년 대비 5.8% 늘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중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75.4%였다. 이는 미국(34.8%), 일본(43.3%), 독일(67.4%)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내 가구의 부동산 의존도가 높은 셈이다.
국가 전체의 부(富)를 뜻하는 국민 순자산은 1경3817조5000억 원으로 1년 사이 741조5000억 원(5.7%) 늘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8배 수준이다. 토지, 건설자산 등 비금융자산 증가율이 6.6%에 이르렀다. 특히 토지가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에 육박했다. 토지자산 비중은 혁신도시와 세종시 개발 등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2014년부터 꾸준히 오르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비금융자산의 가격 상승률이 11년 만에 가장 높은 3.9%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세종=이건혁 기자 gun@donga.com
지난해 국내 가구의 빚을 뺀 순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가격이 2007년 이후 가장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9일 내놓은 ‘국민 대차대조표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자산―부채)은 지난해 말 기준 3억8867만 원으로 전년 대비 5.8% 늘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중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75.4%였다. 이는 미국(34.8%), 일본(43.3%), 독일(67.4%)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내 가구의 부동산 의존도가 높은 셈이다.
국가 전체의 부(富)를 뜻하는 국민 순자산은 1경3817조5000억 원으로 1년 사이 741조5000억 원(5.7%) 늘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8배 수준이다. 토지, 건설자산 등 비금융자산 증가율이 6.6%에 이르렀다. 특히 토지가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에 육박했다. 토지자산 비중은 혁신도시와 세종시 개발 등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2014년부터 꾸준히 오르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비금융자산의 가격 상승률이 11년 만에 가장 높은 3.9%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세종=이건혁 기자 gun@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보니하니’ 29일까지 방송 중단…“채연 부담 덜기위해”
- 가수 김필 “첫 정규, 전곡 작사 작업…최선 다하려고 노력”
- 이재웅 연일 SNS 여론전…“지금 타다 금지나 할 때인가”
- “아들아 땅을 돌려다오” 법정 싸움까지 간 97세 노인의 사연은?
- ‘구미호 까페’ 테마 전주·고창서 1박2일 …‘로맨스 판타지 이야기 여행’ 성료
- 정용진, 백종원 농가지원 요청에 ‘못난이 감자 30톤’ 구매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동남아 패키지여행…“숙소는 만족, 선택관광·쇼핑은 불만족”
- 신혼부부 10쌍중 4쌍 “1억 이상 빚지고 출발”
- ‘심야배송’ 치열한 경쟁에… 한밤 화물차 사고 1년새 12배 껑충
- ‘매물품귀’에 서울집값 0.21% 급등…상승폭 올들어 최대
- 재건축만 바라보다… 은마아파트 지하실엔 폐기물 2300t
- 1인가구 3명 중 1명, 월 200만원도 못번다…삶 만족도도 낮아
- 소득 상위 20%, 하위 10%보다 6.5년 더 산다…건강 불평등 OECD중 최고
- 크리스마스 선물 사기 전에 ‘이것’ 먼저 확인하세요
- “정부가 국민의견에 귀 기울인다” 19.5% 그쳐
-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서 폐질환 의심물질…‘사용중단’ 권고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