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부형권]‘IMF 적폐’도 청산해 주오
부형권 경제부 차장
입력 2017-10-14 03:00:00 수정 2017-10-14 03:00:00

영장실질심사 법정엔 IMF형 범죄가 넘쳐났다. 남의 물건을 슬쩍한 ‘바늘 도둑’이 많았다. 서울 시내 절도사건이 1997년 1월 772건에서 1년 만(1998년 1월)에 1053건으로 36.4%나 증가했다. 지하철 선반 위 손가방을 훔치다가 붙잡힌 20대 실직자는 “(IMF 때문에) 밖에선 할 일도 없다. 구속시켜 달라”고 했다.
동란(動亂)보다 IMF가 더 힘들다는 80대 집주인, 사회보다 감옥이 더 낫다는 20대 절도범의 하소연은 지나친 엄살이 아니었다. 삼성경제연구소 진단도 비슷했다. “IMF 충격 강도는 파괴 측면에서는 6·25전쟁에 못 미칠지 모르지만 세상을 완전히 바꾼다는 점에선 그에 뒤질 게 없다. 전쟁 땐 남들이 피란을 가면 그대로 따라가면 됐는데, IMF 사태는 사람마다 행동패턴이 달라서 도대체 누굴 따르면 되는 건지 갈피를 못 잡는다.”(연구서 ‘IMF 충격, 그 이후’·1998년 6월 출간)
나라 금고가 바닥나고, 평생직장이던 기업이 망하고, 일하는 아버지나 어머니가 하루아침에 실직했다. 국가도 회사도 가장(家長)도 믿을 수 없고, 그래서 의지할 데 없는 세상이 돼버렸다. 그 귀결은 각자도생(各自圖生·제각기 살아갈 방법을 도모함).
“1970년대부터 IMF 직전까지는 삼성 현대차 LG 같은 대기업 직원이 최고 신랑감이었다. 그러나 IMF는 직업 안정성을 결혼 시장의 최고 가치로 만들어버렸다. 의사 변호사 같은 자격증 전문직과 잘릴 걱정 없는 공무원의 양강(兩强) 체제는 IMF 직후부터 20년간 계속됐다. 앞으로도 깨지기 쉽지 않다.” 12일 통화한 결혼정보회사 ‘선우’ 이웅진 대표(52) 설명이다. 서울 명문대 자연·공과계열 합격자 중 적지 않은 수가 복수 합격한 지방대 의대로 최종 진로를 정하는 오늘날 현실이 이와 무관할까. 입시 전문가들은 “국가·사회적으로는 걱정스러운 현상이지만 개인으로서는 지극히 합리적 결정”이라고 말한다. 각자도생해야 하니까.
문재인 정부 간판은 적폐 청산이다. 야당이 ‘정치 보복’ 운운하자 문 대통령은 서애 류성룡 선생의 ‘징비(懲毖·지난 잘못과 비리를 경계해 삼간다) 정신’을 강조했다. “류성룡 선생이 임진왜란 참상을 기록한 징비록을 남기셨는데 불과 몇십 년 만에 병자호란을 겪고 결국은 일제 식민지가 되기도 했다. 우리가 얼마나 진짜 징비하고 있는지 새겨봤으면 한다.”
이왕 징비하는 김에 IMF 국난(國難)도 해줬으면 좋겠다. 국민 몸과 마음, 정신 속에 쌓여 온 불안 불신 불만의 IMF 적폐를 씻어줬으면 좋겠다. 그게 어렵다면 류성룡 선생처럼 ‘IMF 징비록’이라도 제대로 남기자. 우리보다 나은 후세가 참고라도 할 수 있도록.
부형권 경제부 차장 bookum90@donga.com
비즈N 탑기사
- ‘대학교 도서관 폭탄 설치’ 거짓글 올린 20대, 집행유예
- 올 여름 평년보다 덥다는데…초유의 폭염 올까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전기차를 타야만 하는 이유
- 전월세신고제 유예기간 1년 연장… 내년 6월부턴 과태료 부과
- 韓경제 구조적 문제 1위 ‘일자리’…‘저출산’·‘친환경’ 순
- 재계 588兆 투자, 민간주도 성장 ‘신호탄’… SK등 투자 이어질 듯
- 커지는 유류비 부담…휘발유-경유 사상 첫 동반 2000원 돌파
- 한은, 올해 물가 4.5% 전망…“하방보다 상방리스크 더 크다”
- 전부 바뀐 BMW 7시리즈… 내연기관·전기차 동시 출격
- “3040 핫플됐다” 확바꾼 마트, 매출 2배
- SK, 247조 투자-5만명 신규 채용… 반도체-배터리-바이오에 총력
- 30년 후 인구절벽 본격화…“정년 연장, 출산율 해결 서둘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