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작물 재배 확대로 스마트농업 키우자

동아일보

입력 2018-12-17 03:00 수정 2018-12-17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기고 / 신명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장

신명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장
국회에서 농업정책 관련 일을 하던 최모 대표는 뜻 맞는 다섯 사람과 함께 협동조합을 세우고 스마트농업으로 산양삼 새싹을 재배했다. 산삼의 효능은 그대로 담되 공급의 안정화를 꾀하였다. 결과는 대성공. 대형마트와 고급 한정식집 등과 공급 계약을 맺고, 청년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등 새로운 도시농업의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농업에도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팜이 확대되면서 생산기술의 혁신적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팜은 온실에 사물인터넷(IoT) 기술, 빅데이터 분석 등을 접목해 기상정보, 온실 내부의 환경정보, 작물의 상태정보를 파악해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설 내부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해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한 재배시설을 말한다.

정부는 이러한 스마트팜을 2014년부터 보급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스마트팜 성과(생산성 향상, 노동력 절감 등)에 대한 농가의 인식이 확대되면서 토마토, 파프리카 등 채소를 중심으로 스마트팜을 도입하는 농가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스마트팜 보급이 단기간의 양적 확대에는 성공하였으나, 일부 품목에 편중된 확대는 수요 공급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유통시장의 질서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정부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계획을 발표하자 농민들이 스마트팜으로 인한 특정 품목의 공급 과잉은 해당 품목 농가들의 생존권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낸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이러한 스마트팜의 일부 품목 쏠림 현상을 해결하고자 지역별 특화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부가가치 높은 품목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연구과제(R&D)가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이 또한 국내 시장 규모와 수출 여건이 확대되지 않는다면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장의 수요 파악이 최우선적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바이오산업 열풍을 타고 기능성 제품이 식품·제약·뷰티 산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주요 원료로서 기능성 작물의 식물 추출물이 활용되고 있다. 인삼을 비롯해 감초, 황기, 쑥, 백수오 등 기존 약용작물이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다. 수명 100세 시대를 사는 요즘 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를 불문하고 뜨거워서, 다양한 작물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발견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는 더욱 확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료용 대마 합법화의 물결이 전 세계에서 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달 23일 마약류관리법안이 통과하면서 대마를 일반인이 의료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대다수의 기능성 원료들은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물량 확보가 효율적·안정적이지 않고, 국내 재배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기능성 원료 작물의 국내 생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작물의 생육환경을 최적 상태로 조절해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이 높은 작물을 대규모로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규모화를 통해 생산비용을 낮추고 기능성 원료물질의 균질성·안전성 등 품질을 높여 경쟁력을 확보하면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뿐 아니라 특정 품목 공급 과잉에 대한 농업인의 우려도 다소 불식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성 작물의 스마트팜 재배 확대는 정부와 농업인, 연구기관, 기업 등이 협력해야 하는 장기 과제다. 종자 연구 및 ICT, 재배기술 개발 등 단계별 로드맵을 추진한다면 스마트팜이 농업 생산의 기술적 혁신을 넘어 다양한 산업·시장의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진정한 의미의 농업혁신이 실현될 것이라 믿는다. 스마트팜을 보급한 지 5년차가 되는 현재, 변화에 한발 앞서 대응하고 새로운 길을 주도적으로 개척한다는 자세로 농업의 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명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장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