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타파가 견성일까?

이종승전문기자

입력 2017-12-20 11:19 수정 2017-12-20 12:06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화두타파가 견성일까?

‘간화선의 실제와 성불의 길’ 다소 긴 제목의 불교서적이다.

‘간화선’이 들어간 제목 탓에 평소 선수행은 어렵다고 생각해오던 기자에게 ‘이 책을 읽기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선입견을 줬다. 그러나 머리말을 읽으면서 왜 이 책이 이제야 나왔는지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다.

기자는 첫 부분부터 공감했다. “지금의 한국불교는 큰 변화와 존립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의 선방수좌들은 매년 하안거와 동안거를 통해 2천여 명의 납자들이 견성 하기위한 치열한 수행에 몰두하고 있지만, 도인이 나왔다는 소리는커녕, 20~30년씩 화두참구에 정진한 일부 구참 수좌들의 언행의 불일치와 낮은 현실인식, 성직자로서의 기본 자질 부족으로 일반인들의 외면을 받은 지 오래되었다…중략…필자는 간화선이 수행의 중간까지는 인도해 줄 수 있는 방편이 될 수 있을 뿐 결코 수행의 종착점이 될 수 없고, 화두타파가 곧 견성이요 성불이라는 일반수좌들의 믿음이 큰 잘못임을 깨닫고, 근본적인 수행의 원리와 방법을 제시하여 수행의 과정과 목적을 확실히 밝히고자 한다. 많은 수행자들이 이론상으로도 견성이 무엇이고 성불이 무엇인지조차 뚜렷이 알지 못하는 현 상황이 수행에 방황하고 계율에 대한 무시 등으로 한국 불교를 헤어 나올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뜨렸다고 필자는 진단한다.”

기자가 저자인 송학(松鶴)스님의 말에 공감했던 이유는 오래전부터 잊을만하면 터져 나오는 한국 불교의 ‘어두운 면’들이 깨치는데 최우선을 둔 참선중시 수행풍토, 상대적으로 부족한 교학교육, 스님들의 계율 무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불교입문서가 아니기에 불교를 모르는 일반 시민들을 위한 책은 아니다. 참선 수행을 오랫동안 해온 스님들이나 상당한 수준의 불교지식을 갖춘 불교신자에게 적합하다. ‘화두 타파는 깨달음의 한 과정일 뿐이지 성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저자의 인식은 놀랍다. 한국불교 대다수 구성원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참선수행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1장 화두 타파는 끝이 아니다 △2장 죽음의 과정과 수행의 과정은 둘이 아니다 △3장 성불의 조건, 3신의 성취로 구성 돼 있다. 저자는 교학의 중요성은 물론 간화선 수행의 단계별 과정을 간화선의 교과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몽산법어’, 죽음의 과정을 자세히 기록한 ‘티베트의 사자의 서’ 등 다양한 불교 경전과 조사어록을 인용해 성불의 조건은 화두타파가 아니라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의 성취임을 밝히고 있다.
송학 지음, 264쪽, 1만5000원, 운주사

이종승전문기자 urisesang@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