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항공기 정비사업 날개 달았다

김도형 기자

입력 2017-03-10 03:00 수정 2017-03-10 03:00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제주항공과 신사업 발굴 MOU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9일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과 신사업 발굴을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설립에 나선 KAI가 주요 고객사를 먼저 확보한 셈이다.

KAI와 제주항공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신사업 발굴 및 항공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관한 협약서를 체결했다. KAI 측은 MRO 전문업체 설립의 핵심 조건인 국내 LCC 업체 물량 확보에 성공해 사업성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측도 항공기 정비 효율화와 더불어 조종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훈련 체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AI 관계자는 “다른 LCC 업체의 추가적 협력도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유지, 수리, 점검 등을 뜻하는 MRO 사업은 항공기의 운항정비, 기체 중정비, 부품 정비 등과 항공기 개조 등을 포함한다. 한 번 구매하면 30년 이상 쓰게 되는 항공기는 지속적인 점검과 정비가 필수적이다. 세계적으로 항공기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MRO 사업은 우리 산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높다.

실제로 2013년 2만7100대였던 민간 항공기는 2025년 3만7900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MRO 사업 규모도 같은 기간 643억 달러에서 960억 달러까지 늘어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만도 2025년 336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 시장 역시 군용기와 민간기를 포함해 2025년 4조 원 이상의 시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및 그 계열사를 제외한 다른 항공사들은 거의 모든 항공기 정비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KAI는 2013년 기준으로 민간 항공기 분야에서만 7560여억 원이 MRO 비용으로 해외에 유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0월 이스타항공의 여객기가 인천공항에서 동체가 파손돼 긴급 수리를 받아야 할 상황이 됐지만 국내에 마땅한 정비 시설이 없어 장기간 수리를 받지 못했던 일은 국내 MRO 분야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 당시 이스타항공은 KAI의 시설을 이용해 정비를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에는 전문적인 MRO 업체가 없기 때문에 중국과 몽골, 싱가포르 등지에서 항공기를 수리하고 있다”며 “정비 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국내에 전문 업체가 설립되면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MRO 사업은 전문성 있는 기술 인력 수요가 커서 다른 산업에 비해 높은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산업 분야이기도 하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항공기 기체 중정비 분야는 전체 사업비에서 인건비 비중이 60%에 이른다. 자동차 9.1%, 제조업 7.3% 비중에 비해 6배 이상 높은 것이다. 지난해 산업연구원은 “전 세계 민간 항공 MRO 시장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싱가포르는 제조업 인력의 약 3%가 항공 MRO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며 “항공 MRO 산업의 성장동력화는 내수 침체 등으로 인한 고용 위축에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현재 KAI는 경남도, 사천시 등과 함께 총사업비 7000억 원가량을 들여 경남 사천시 본사 인근에 31만 m² 규모 MRO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의 관건은 정부가 이 투자 계획의 타당성을 인정해 MRO 사업을 지원할지 여부다. 지난해 말 KAI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검토한 국토교통부는 올 1월 현지 실사를 진행했다.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 평가위원회 관계자는 9일 “1월 실사 이후 추가 자료 등을 바탕으로 이달에 평가위원회 회의를 열고 전반적인 방향을 확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도형 기자 dodo@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