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김재영]판 커질 증시에 대처하는 자세
김재영 경제부 기자
입력 2015-05-26 03:00 수정 2015-05-26 03:00
지난달 22일 점심을 먹고 느긋하게 PC를 켠 주식 투자자들은 혼란에 휩싸였다. 장 초반 7년 4개월 만에 720 선을 돌파했던 코스닥지수가 오후 1시 반경부터 수직 낙하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날 코스닥지수 700 선이 무너진 것은 물론이고 하루 최대 하락폭이 5.39%나 됐다. ‘가짜 백수오’ 논란에 휩싸인 코스닥 업체 내츄럴엔도텍 때문이었다.
내츄럴엔도텍 주가는 이후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다. 연초부터 급등했던 코스닥시장 전체에 거품이 붕괴될 수 있다는 공포심리가 번졌다. 이달 초 660 선까지 밀렸던 코스닥지수가 충격을 회복하는 데는 꼬박 한 달이 걸렸다.
이 사태가 두 달 늦게 일어났다면 결과는 더 끔찍할 뻔했다. 다음 달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가격제한폭이 ±15%인 지금은 주가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데 5거래일이 걸리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경우 하한가(전일 대비 ―30%)를 이틀만 맞아도 바로 주가가 반 토막 난다.
지난달 22일 이후 이달 22일까지 21거래일 동안 14번이나 하한가로 떨어진 내츄럴엔도텍은 아직 주식시장에 남아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됐다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흘이면 주가가 4분의 1, 일주일 만에 8% 수준으로 폭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론 단 하루 만에 투자금의 절반을 날릴 수도 있다. 전날 종가 1만 원인 주식을 다음 날 상한가인 1만3000원에 샀다가 당일 돌발 악재가 발생해 해당 종목이 하한가를 맞으면 주가는 7000원으로 떨어질 수 있다.
물론 가격제한폭 확대에 나쁜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가치를 제때 평가받을 수 있고, 증시의 역동성도 높아져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늘어날 수 있다. ‘상한가 굳히기’ 등의 작전이 힘들어져 투기 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 확대에는 투기성 짙은 주식투자 문화의 변화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그동안 개미 투자자들이 겁 없이 ‘묻지 마 투자’에 나선 데에는 좁은 가격제한폭이 한몫했다. ‘설사 잘못돼도 많이 잃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도덕적 해이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근거 없는 테마와 풍문에 기대 한탕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투명한 정보공개도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코스닥 중소형주의 경우 증권사들이 리포트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은 ‘깜깜이 투자’를 해야 했다. 앞으론 개인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이 제시돼야 한다.
정부나 기관도 기업에 대한 수사나 정보공개에 앞서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 자칫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경우 기업가치가 한순간에 추락할 수 있고, 대규모 집단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로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주가조작,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나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의 책임은 결국 투자자의 몫’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실적을 꼼꼼히 따져 투자하지 않으면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자신이 없다면 펀드 등 간접투자로 옮겨 타는 것도 방법이다.
김재영 경제부 기자 redfoot@donga.com
내츄럴엔도텍 주가는 이후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다. 연초부터 급등했던 코스닥시장 전체에 거품이 붕괴될 수 있다는 공포심리가 번졌다. 이달 초 660 선까지 밀렸던 코스닥지수가 충격을 회복하는 데는 꼬박 한 달이 걸렸다.
이 사태가 두 달 늦게 일어났다면 결과는 더 끔찍할 뻔했다. 다음 달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가격제한폭이 ±15%인 지금은 주가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데 5거래일이 걸리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될 경우 하한가(전일 대비 ―30%)를 이틀만 맞아도 바로 주가가 반 토막 난다.
지난달 22일 이후 이달 22일까지 21거래일 동안 14번이나 하한가로 떨어진 내츄럴엔도텍은 아직 주식시장에 남아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이 확대됐다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흘이면 주가가 4분의 1, 일주일 만에 8% 수준으로 폭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론 단 하루 만에 투자금의 절반을 날릴 수도 있다. 전날 종가 1만 원인 주식을 다음 날 상한가인 1만3000원에 샀다가 당일 돌발 악재가 발생해 해당 종목이 하한가를 맞으면 주가는 7000원으로 떨어질 수 있다.
물론 가격제한폭 확대에 나쁜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기업가치를 제때 평가받을 수 있고, 증시의 역동성도 높아져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늘어날 수 있다. ‘상한가 굳히기’ 등의 작전이 힘들어져 투기 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가격제한폭 확대에는 투기성 짙은 주식투자 문화의 변화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그동안 개미 투자자들이 겁 없이 ‘묻지 마 투자’에 나선 데에는 좁은 가격제한폭이 한몫했다. ‘설사 잘못돼도 많이 잃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도덕적 해이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근거 없는 테마와 풍문에 기대 한탕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투명한 정보공개도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코스닥 중소형주의 경우 증권사들이 리포트를 내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개인투자자들은 ‘깜깜이 투자’를 해야 했다. 앞으론 개인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더 많이 제시돼야 한다.
정부나 기관도 기업에 대한 수사나 정보공개에 앞서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 자칫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경우 기업가치가 한순간에 추락할 수 있고, 대규모 집단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로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주가조작,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나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투자의 책임은 결국 투자자의 몫’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실적을 꼼꼼히 따져 투자하지 않으면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자신이 없다면 펀드 등 간접투자로 옮겨 타는 것도 방법이다.
김재영 경제부 기자 redfoot@donga.com
비즈N 탑기사
- 범죄? 사고?…시흥 낚시터서 숨진채 발견된 40대 ‘미스터리’
- 도박현장서 압수한 현금 훔쳐 쓴 전직 경찰관 징역 2년
- 정차 중이던 차 들이박고도 직진…70대 여성 ‘운전미숙’ 추정
- ‘싱글맘’ 쥬얼리 이지현, 국숫집 알바한다 “민폐 끼칠까 걱정”
- 세차장 흠집 갈등…“없던 것” vs “타월로 생길 수 없는 자국”
- 덕수궁서 연말에 만나는 ‘석조전 음악회’
- ‘컴퓨터 미인’ 황신혜가 뽑은 여배우 미모 톱3는?
- ‘솔로 컴백’ 진 “훈련병 때 느낀 감정 가사에 담았죠”
- 앙투아네트 300캐럿 목걸이… 소더비 경매서 68억원에 낙찰
- “진짜 동안 비결, 때깔 달라져”…한가인, 꼭 챙겨 먹는 ‘이것’ 공개
- ‘가성비’ 편의점 PB우유마저 오른다…12월부터 10% 안팎 인상 확정
- “월 25만원 납입 부담”…청약통장 가입자 한 달 새 7만500명 감소
- 고금리 못버틴 ‘2030 영끌족’…지난해 8.3만명 집 팔았다
- K푸드, 美-유럽서 웃고 中서 울고… 해외 실적이 성적표 좌우
- 화성 서남부 광역 철도시대 열린다
- 한미약품 형제측, 모친 배임 혐의 고발… 경영권 갈등 격화
- 1000원 임대주택-교통비 70% 환급… “저출산 타개책 적극 발굴”
- 올해 HUG가 대신 돌려준 전세보증금 3.3조… 회수율 8% 그쳐
- “아동용은 반값”… 치솟는 옷값에 ‘키즈의류’ 입는 어른들
- 이마트, 4년만에 분기 최대 실적… 정용진 ‘본업 승부수’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