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만의 전면파업... 현대차 노조에 정부 ‘긴급조정권’ 맞불 시사

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16-09-28 15:26 수정 2016-09-28 15:3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12년 만에 전면파업에 돌입한 현대자동차 노조에 긴급조정권 발동이라는 정부의 강경 대응이 검토 중이다. 앞서 긴급조정권이 발동된 사례는 지난 1969년 대한조선공사 파업, 1993년 현대차 노조 파업, 2005년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파업 및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 파업 등 총 4차례에 이른다.

28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공정인사 평가모델 발표회’에 참석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현대차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파업이 지속한다면, 우리 경제와 국민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법과 제도에 마련된 모든 방안을 강구하여 파업이 조기에 마무리 되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 장관의 ‘법과 제도에 마련된 모든 방안’은 노동조합법에 규정된 긴급조정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긴급조정권은 노동조합의 쟁의행위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위태롭게 할 위험이 있거나 국민경제를 해칠 우려가 있을 때 발동되는 조치다.

긴급조정권이 발동되면 해당 노조는 30일간 파업 또는 쟁의행위가 금지되고 중앙노동위원회가 조정을 개시한다. 조정이 실패하면 중노위 위원장이 중재재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이는 단체협약과 같은 효력을 갖게 된다.

이 장관은 “현대차 노조는 12년 만에 전면파업에 돌입하는 등 지난 7월 19일부터 지금까지 72일간 22차례의 파업을 이어오고 있다”며 “이 기간 도안 12만1167대, 약 2조7000억 원의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1차 협력업체 380개 사에서 1조3000여억 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는 등 현대차와 관련된 중소 협력업체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고 하청업체는 원청 노조가 파업하면 영업 중단과 임금 손실 등을 그대로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노사가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음에도 임금 인상 폭이 낮다는 이유로 이를 부결시키고 다시 파업에 돌입하는 상식 밖의 행태까지 보이고 있고 대화와 타협이 아닌 파업으로 주장을 관철하려는 구시대적 교섭 문화와 쟁의행위 패턴은 이제 바뀌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24일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열린 20차 본교섭에서 임금 월 5만8000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330만원, 재래시장 상품권 20만원 및 주식 10주 지급 등에 잠정합의안을 도출 했으나 다음날 26일 실시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78.05% 반대로 부결됐다.

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hoon149@donga.com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