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현상금 100만원’…그 많던 소똥구리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김아연 기자, 엄소민 인턴
입력 2017-12-28 16:45 수정 2017-12-28 17:31
#1.
‘현상금 100만 원.’ 소똥구리를 찾습니다.
#2. #3. #4.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소똥구리. 1968년 채집된 표본을 끝으로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습니다. 소똥을 경단처럼 만들어 굴리는 ‘왕소똥구리’ 등 우리나라에 기록된 소똥구리는 모두 38종이지만 지금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나마 소똥을 굴리지 않는 ‘애기뿔 소똥구리’만 남아 있죠.
소똥구리는 가축의 배설물을 분해해 땅을 기름지게 합니다. 민간요법으로는 각종 염증 치료에 사용해 왔죠. 산업적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그런데 왜 사라졌을까요.
환경 변화 때문입니다. 1970년 후반 사료와 항생제를 먹인 소를 키우기 시작했는데요. 소똥구리에게 영향을 준 겁니다.
“(과거에는)풀을 먹인 소의 똥을 먹었었는데, 지금은 입식사육이라고 곡물사료를 주고. 그 똥 자체가 이미 소똥구리가 먹을 수 있는 그런 종류가 아니에요.” (이강운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5. #6.
환경부는 사라진 소똥구리를 복원하기로 했습니다.
살아있는 소똥구리 50마리를 들여오면 한 마리당 100만 원씩에 사겠다는 구매 공고를 낸 거죠. 현재 10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2000년 명태의 어획량이 줄었을 때도 현상금은 효자 노릇을 했죠.
우리 밥상에서 ‘국산 명태’가 사라지자 정부는 2014년 명태 복원을 위해 현상금 50만 원을 내걸었습니다. 이듬해 알을 밴 명태가 잡혔죠.
연구팀은 어미로부터 알을 채취해 부화시키는데 성공. 2015년 1500마리를 시작으로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치어 30만 마리를 동해로 돌려보냈습니다.
#7.
현상금 덕분에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어종을 잡기도 했습니다.
1907년 발간된 연구서에는 우리나라 연안에 바다뱀이 살고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사진 기록은 없었죠.
2014년에 100만 원의 현상금을 내걸자 2015년 바다뱀이 확인되기 시작했습니다.
#8.
정부까지 나서서 생물자원 확보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2010년 채택된 나고야 의정서 때문.
(*나고야 의정서: 생물·유전자원을 이용해 발생한 이익을 이용자와 제공자가 공유하는 국제 협약)
“우리나라의 해양 생물을 외국에서 이용을 한다. 거기에서 생기는 이윤을 우리가 공여 받게 되는 겁니다. 바다뱀에서 창출될 수 있는 부가가치를 우리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한동욱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본부장)
생물자원 확보가 곧 돈이 되는 시대. 소똥구리에 현상금이 붙은 이유입니다.
원본| 채널A 변종국 기자
기획·제작| 김아연 기자·엄소민 인턴
비즈N 탑기사
- 대통령실, 尹·참모들 매달 월급 10% 자동 기부
- 박봄, 한층 갸름해진 모습…씨엘·공민지와 함께한 일상
- 외식업 하는 유명 개그맨, 술 대금 못 갚아 강남 아파트 경매행
- ‘사업 문제로’ 후배 2명과 함께 지인 폭행한 40대 조폭 구속송치
- 트와이스 정연, 응급실行 일화…“똥이 가득 찼습니다”
- 송강호 “‘기생충’ 이후 성적? 결과 아쉽더라도 주목적은 아냐”
- ‘건강 이상설’ 박봄, 달라진 분위기…갸름해진 얼굴선
- 주원 “20㎏ 산소통 매고 마주한 큰불…극도의 긴장감 느꼈다”
- “여대 출신 채용 거른다” 커뮤니티 글 확산…사실이라면?
- “하루 3시간 일해도 월 600만원”…아이돌도 지원한 ‘이 직업’ 화제
- “청년 니트족, 일본만 문제 아니다”…한은의 섬뜩한 경고
- 이건희, ‘S급 천재’ 강조했는데…이재용 시대 “인재 부족”
- “65세 정년연장 비용 30조원…청년 90만명 고용할 돈”
- 점점 접히는 폴더블폰 시장…‘접는 아이폰’ 구원투수될까
- 퇴직연금, 5대 은행에 954억 순유입
- [신문과 놀자!/인문학으로 세상 읽기]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의 탄생… AI 윤리 기준은
- 백화점 ‘3조 메가점포’ 시대… 상위 3곳 매출이 절반
- 33년 역사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 이달 말 문 닫는다
- “이사철도 아닌데, 매물 없어요”…지방 아파트 ‘전세’ 씨 말랐다
- 건설업계 ‘불황 터널’… 자회사 팔고 부실사업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