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현상금 100만원’…그 많던 소똥구리는 어디로 사라졌을까

김아연 기자, 엄소민 인턴

입력 2017-12-28 16:45 수정 2017-12-28 17:3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1.
‘현상금 100만 원.’ 소똥구리를 찾습니다.

#2. #3. #4.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소똥구리. 1968년 채집된 표본을 끝으로 국내에서 자취를 감췄습니다. 소똥을 경단처럼 만들어 굴리는 ‘왕소똥구리’ 등 우리나라에 기록된 소똥구리는 모두 38종이지만 지금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나마 소똥을 굴리지 않는 ‘애기뿔 소똥구리’만 남아 있죠.

소똥구리는 가축의 배설물을 분해해 땅을 기름지게 합니다. 민간요법으로는 각종 염증 치료에 사용해 왔죠. 산업적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그런데 왜 사라졌을까요.
환경 변화 때문입니다. 1970년 후반 사료와 항생제를 먹인 소를 키우기 시작했는데요. 소똥구리에게 영향을 준 겁니다.
“(과거에는)풀을 먹인 소의 똥을 먹었었는데, 지금은 입식사육이라고 곡물사료를 주고. 그 똥 자체가 이미 소똥구리가 먹을 수 있는 그런 종류가 아니에요.” (이강운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5. #6.
환경부는 사라진 소똥구리를 복원하기로 했습니다.
살아있는 소똥구리 50마리를 들여오면 한 마리당 100만 원씩에 사겠다는 구매 공고를 낸 거죠. 현재 10개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습니다.

2000년 명태의 어획량이 줄었을 때도 현상금은 효자 노릇을 했죠.
우리 밥상에서 ‘국산 명태’가 사라지자 정부는 2014년 명태 복원을 위해 현상금 50만 원을 내걸었습니다. 이듬해 알을 밴 명태가 잡혔죠.

연구팀은 어미로부터 알을 채취해 부화시키는데 성공. 2015년 1500마리를 시작으로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치어 30만 마리를 동해로 돌려보냈습니다.

#7.
현상금 덕분에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어종을 잡기도 했습니다.
1907년 발간된 연구서에는 우리나라 연안에 바다뱀이 살고 있다는 기록이 있지만 사진 기록은 없었죠.
2014년에 100만 원의 현상금을 내걸자 2015년 바다뱀이 확인되기 시작했습니다.

#8.
정부까지 나서서 생물자원 확보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2010년 채택된 나고야 의정서 때문.
(*나고야 의정서: 생물·유전자원을 이용해 발생한 이익을 이용자와 제공자가 공유하는 국제 협약)

“우리나라의 해양 생물을 외국에서 이용을 한다. 거기에서 생기는 이윤을 우리가 공여 받게 되는 겁니다. 바다뱀에서 창출될 수 있는 부가가치를 우리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한동욱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본부장)

생물자원 확보가 곧 돈이 되는 시대. 소똥구리에 현상금이 붙은 이유입니다.

원본| 채널A 변종국 기자
기획·제작| 김아연 기자·엄소민 인턴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