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어르신, ‘락희 거리’ 아세요” “응? 낙지거리?”
김아연 기자, 이지은 인턴
입력 2017-11-20 16:33 수정 2017-11-20 17:52









#1.
“어르신, 락희 거리 아세요?” “응? 낙지 거리?”
#2. #3. #4.
일본 도쿄 ‘스가모 거리’.
어르신 취향에 맞는 옷과 부담 없는 가격의 음식이 눈에 띕니다.
간판 글자도 알아보기 쉽게 큼지막합니다.
이 곳은 국민 4명 중 1명이 노인이라는 일본의 ‘노년층 특화거리’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노인들의 홍대, 명동 같은 곳이죠.
그래서 ‘노인들의 하라주쿠’ 라고 불립니다.
노인들이 쉽게 오갈 수 있게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도 없고 에스컬레이터는 30% 정도 느립니다. 곳곳의 벤치가 있어 언제든 쉬었다 갈 수 있습니다.
어르신들은 ‘걷기 편하고’ ‘살게 많아서’ 스가모 거리를 찾는다고 말합니다.
스가모 거리는 한 때 우리나라의 탑골공원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정부와 지역 주민들이 뜻을 모아 관광 명소로 바꿨죠. 한 해 900만 명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5. #6.
우리나라에도 노인특화거리는 있습니다. 지난해 말 서울시는 스가모 거리를 벤치마킹해 서울 종로 탑골공원 북문에서 낙원상가로 이어지는 100m 구간에 ‘락희 거리’를 조성했습니다.
‘락희’는 행운을 뜻하는 영어 단어 ‘럭키(Lucky)’를 음차한 말입니다. 한자로는 즐거울 락(樂), 기쁠 희(憙)라고 쓰죠.
큰 글씨의 간판과 부담 없는 음식 가격은 일본과 비슷합니다.
어르신들을 배려한 서비스도 눈에 띕니다. 물건을 사지 않아도 편히 물을 마시거나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게 간판에 표시를 했죠.
음식점 테이블에는 지팡이를 세워 놓을 수 있는 ‘지팡이 거치대’도 붙여놨습니다.
#7. #8.
하지만 어르신들에게 ‘락희 거리’는 생소합니다.
거리가 후미진 곳에 있고 길도 짧아 찾는 데 애를 먹습니다.
발음도 어렵습니다. 어르신들께 “락희 거리 아세요?” 물으니 “낙지 거리?”라고 되묻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관리도 부실합니다. 야외공연장으로 사용하려던 곳은 사실상 방치돼 있습니다.
비상시 사용해야할 심장 제세동기도 불법 주차한 차량이 막고 있습니다.
#9.
OECD 국가들 중 가장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대한민국.
어르신들에게 진짜 ‘즐겁고 기쁜’ 거리가 많아져야 하지 않을까요.
2017. 11. 20 (월)
동아일보 디지털통합뉴스센터
원본 | 채널A 황규락 기자
사진 출처 | 채널A· 동아 DB
기획·제작| 김아연 기자·이지은 인턴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이번 주말부터 오른다…1400원→1550원
- 3분기 전기요금 ‘동결’…연료비조정단가 ‘㎾h당 5원’ 유지
- 대형마트들 “계란값 안올린다”… 특란 한판 7000원대 방어 나서
- 경기 침체에… 외국인 근로자 입국 21% 급감
- 하반기 수도권 5만2828가구 입주…상반기보다 12% 줄어
- 집값-증시 뛰자 다시 ‘영끌’… 5대銀 가계대출 이달 6조 늘듯
- 중동 정세 악화…“환율, 1400원 가능성 열어둬야”
- 李대통령, 나토 참석 않기로… “중동 정세-국내 현안 고려”
- 코스피 3000 넘었지만… 수익률, 美주식 절반도 안돼
- “전셋값 올라 부담”… 서울아파트 재계약 절반이 갱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