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 중성화사업, 포획업자와 일부 동물병원만 배불리고 있다"

노트펫

입력 2020-11-19 11:12 수정 2020-11-19 11:1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시의회서 길고양이 TNR 사업 개선 요구 나와

김경영 시의원 "적정 개체수 고려 없이 무분별 시행, 나몰라라 사후 관리"

[노트펫] 최근 경기도 한 지자체에서 길고양이의 안전이 무시되는 길고양이 중성화사업(TNR)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서울시 안에서도 TNR 사업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경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초구 제2선거구)은 지난 13일 서울시 시민건강국 대상 2020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의 길고양이 중성화(TNR) 사업 과정에서 포획업자의 무분별한 길고양이 포획과 함께 특정 동물병원으로 중성화수술이 편중되고 있다면서 적정 개체수 파악을 통한 사업 목표 수립과 개선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서울시는 지난 2008년부터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과 공존을 위해 TN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결과 서울시의 길고양이 숫자는 2013년 25만 마리에서 2019년 11만6000마리로 53.6% 줄어든 것으로 서울시는 추산하고 있다. 이 사업이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김경영 의원은 무분별한 포획과 수술, 방사로 이뤄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일부 업자들이 이득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성화사업은 자치구에서 길고양이를 포획한 민간단체나 개인, 그리고 포획된 길고양이의 중성화 수술을 진행한 동물병원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이뤄진다.

김 의원은 "최초 사업 설계 당시부터 적정 개체수에 대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며 "일부 포획업자가 무분별하게 길고양이를 포획하여 자치구에서 3년 동안 지급한 포상금이 1억원이 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이는 족족, 혹은 민원이 제기된 족족 잡아다 중성화를 시켰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또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한 곳의 동물병원이 많은 수술을 담당하고 있어 제대로 된 수술과 사후 보호조치가 가능할지 의구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같은 의문은 최근 경기도의 지자체의 TNR 사업에 대해 제기된 것과 유사하다. MBC는 이달 초 경기도 의왕 지역에서 중성화된 길고양이의 뱃속에서 공업용 케이블타이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시술을 진행한 동물병원에서 수술부위 봉합에 현행 TNR 지침에 어긋나는 스테이플러 클립을 사용했고, 제거하지도 않은 채 방사했다고도 했다.

해당 동물병원은 의왕과 함께 과천, 군포, 화성 등 경기도 4개시의 TNR 병원이었다. 지난해 한 해 1900여 마리의 길고양이가 이 병원을 통해 중성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에서는 중성화수술 이후 수술 상태 확인이나, 백신과 진통제 투여 여부, 매뉴얼에 따른 보호조치 시행 여부 등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나몰라라식 사후 관리로 수술 후 방치된 길고양이들이 부작용으로 죽음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특정 포획업자와 동물병원의 배만 불려주는 것이 아닌 생태계의 일원인 길고양이와 공존할 수 있는 서울을 위해 면밀히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향후 적정 개체수 파악을 통한 계획적인 길고양이 포획과 수술 후 철저한 사후 관리를 위한 구체적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그동안 적정 개체수에 대한 고민이 없던 것이 사실"이라며 "향후 철저한 사업추진과 사후 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에 노력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김 의원실은 전했다.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