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유실·유기 동물 13.5만 마리 구조 보호..232억원 썼다

노트펫

입력 2020-05-12 17:11 수정 2020-05-12 17:12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노트펫] 지난해 구조·보호한 유실·유기 동물이 늘고 이 동물을 돌보는데 든 비용도 그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내놓은 2019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전국 284개 보호소에서 구조 보호한 유실·유기동물은 총 13만5791마리로 2018년보다 12.1% 증가했다.

13만5791마리를 구조 보호하는데 동물보호소에서 232억원을 썼는데 이는 2018년보다 15.8% 늘어난 규모다.

2018년 유실·유기동물은 전년보다 18% 늘어난 12만1077마리에 달했고, 구조 및 보호 비용은 28.9% 많은 200억4000만원으로 200억원을 넘어섰다.

보호소 자체의 시설 개선과 함께 유실·유기 동물의 증가에 따라 구조하고 보호하는 데 드는 비용도 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유실·유기동물 종별로는 개가 75.4%에 달했고 고양이는 23.5%를 차지했다. 염소와 거북이, 토끼, 햄스터, 기니피그, 앵무새 등 기타 동물은 1.1%였다.

구조된 유실·유기동물 가운데 26.4%가 새주인에게로 분양됐고, 24.8%는 보호소 안에서 자연사했다. 5마리 중 한 마리(21.8%)는 안락사됐고, 11.8%는 현재 보호소에서 보호를 받고 있다.

원주인 반환과 분양이 줄어든 가운데 안락사와 자연사 비율은 올라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이같은 비율은 전년과 유사하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통해 6만4989마리의 길고양이가 중성화됐고, 90억8000만원이 소요됐다.

길고양이 중성화사업의 규모는 매해 커지고 있는 편이다. 지난 2017년 중성화된 길고양이는 3만8059마리에 48억원이 소요됐으나 2년새 근 두 배가 됐다.

어미와 떨어진 새끼 고양이들이 급증하는 아깽이 대란은 올해 역시 진행 중이다. 이들 새끼 고양이들은 구조되더라도 보호소에서 대개 삶을 마친다.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의 효과는 어느 정도 검증된 만큼 비용은 당분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예산이 커지면서 효율적 집행에 대한 감시 활동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보호소 운영도 마찬가지다.

한편 지난해 말 현재 전국에 총 1만7155개소의 반려동물 관련 영업자가 있고, 대략 2만2555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장묘, 동물판매, 동물수입, 동물생산, 동물미용, 동물운송, 동물전시, 동물위탁관리 등 8대 업종에 한한 것으로 수의업과 단순 제품 판매는 여기에서 제외된다.

업종별로 미용업이 37%로 가장 많고, 판매업 24.4%, 위탁관리 22.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견미용을 뜻하는 미용업 종사자는 7750명에 달했다.

김기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보호과장은 "유실·유기동물 예방을 위한 동물등록제도의 적극적인 홍보와 입양률 향상 등 긍정적인 활동 비율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