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몸사리는 부동자금, 金-채권-MMF에만 몰렸다
이건혁 기자
입력 2019-07-22 03:00:00 수정 2019-07-22 03:00:00

2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7일 기준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액은 120조1801억 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8월 이후 11개월 만에 120조 원을 넘었다. MMF 규모는 18일에 다시 120조 원 아래로 내려갔지만 이달 1일(104조618억 원)에 비하면 15%가량 늘어난 것이다. MMF는 수시로 돈을 넣었다가 뺄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투자자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할 때 자금을 맡기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주식 투자를 염두에 둔 대기성 자금인 고객예탁금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예탁금은 17일 현재 23조9065억 원으로 이달 1일 27조4384억 원보다 12.9% 줄었다. 예탁금이 감소하는 것은 그만큼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빠져나가고 있다는 뜻이다. 개인투자자들이 주식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신용융자 잔액은 올해 2월부터 꾸준히 10조 원을 넘었으나 11일 이후 10조 원 아래로 내려왔다.

이에 따라 시중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쏠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금시장에서 19일 금 가격은 g당 5만458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금시장이 열린 2014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금 가격은 금리가 낮아지면 오르는 경향이 있다.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반영되면서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 다른 안전자산인 채권 투자도 늘고 있다. 한은이 연내 추가로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감에 투자 수요가 늘면서 채권 가격은 강세(채권 금리는 하락)를 보이고 있다.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19일 기준 연 1.327%까지 낮아지며 2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왔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전부터 나타난 부동자금 증가 및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증권사들은 한은이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2.2% 달성도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상장 기업들 실적도 부진한 상황이어서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인 주식에 목돈을 넣으려 하지 않는 것이다. 금리 인하기 부동 자금이 대거 이동하곤 했던 부동산 시장도 불확실성이 크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4분기(10∼12월)나 내년 초까지는 투자자들이 몸을 사리는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며 “수출 반등과 같은 긍정적 신호가 확인돼야 투자 흐름이 바뀔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비즈N 탑기사
- 11월 극장에 무슨 일 있었나…1860만명 관람 역대 최고
- 비둘기 머리에 카우보이 모자 씌운 건 누구?
- ‘마약 혐의’ 홍정욱 딸 집행유예…法 “처벌 전력 없어”
- 교총 회장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C학점…잘한 게 없다”
- 서울교대 ‘단톡방 성희롱’ 교사·재학생 징계 불복
- “바닥에 고인물 닦던 중 감전”…인천 헬스클럽 직원 부상
- 워너원 1명, 떨어질 멤버가 붙었다 ‘충격’…‘프듀’ 모든 시즌 투표 조작
- 조현병 환자 범죄율 낮지만 살인 비율은 일반인의 5배
- ‘유승준 비자소송’ 다시 대법으로… 주LA 총영사관, 재상고장 제출
- 익스 출신 이상미, 엄마 된다…“임신 20주차, 태교에 전념”
- 작지만 강하다, 도심 주행도 폭발적 가속력
- 육회가 Six Times?…외국어 메뉴판 만들기 쉬워졌다
- 소형 전기 트럭 시대 열렸다! 현대차, ‘포터II 일렉트릭’ 출시
- 세수 작년보다 3조 줄어… 재정적자 역대 최대
- 취업자 넉 달째 30만↑…역대급 고용률에도 40대만 ‘꽁꽁’(종합)
- 포드 내부자들, “변속기 결함 알고도 팔아” 폭로… 2011년부터 은폐 의혹
- ‘초대형’ 덩치로… 신세계百, 지역상권 지배하다
- ‘조개 중 으뜸’ 새조개 대량생산 ‘활짝’…치패 생산량 10배 높여
- 文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평균 40% ‘폭증’
- 명동-홍대앞 텅 빈 점포 “권리금 없습니다”… 전통상권까지 불황 한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