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여성 비만율, 부자보다 11%p 높아…고위험 음주율도↑

뉴스1

입력 2019-01-04 11:02 수정 2019-01-04 11:04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8년 동향보고서


저소득 여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저소득 여성의 비만율은 고소득보다 11.1%p, 고위험 음주율 역시 고소득보다 1.6%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발간한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8년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저소득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31.6%였다. 이는 같은 시기 고소득 여성 비만 유병률 20.5%보다 11.1%p 높은 수치다.

저소득 여성의 비만율은 꾸준히 고소득보다 높았는데, 2008년 이후 2014년 그 격차가 8.4%p로 가장 작게 나타난 후 2015년 12.6%로 뛰며 2016년까지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여성 비만율은 시골(읍면 지역)일수록 높았다. 시골에 사는 여성의 비만율은 34.0%인데, 도시(동 지역)는 25.1%로 8.9%p 차이가 났다. 이는 2015년 지역별 격차가 4.1%p 차이 난 것의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지역 간 형평성이 악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 여성의 고위험 음주율 역시 소득 간 차이를 보였다. 저소득 여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7.3%로 고소득 5.7%보다 1.6%p 더 컸다.

2008년 이후 저소득 여성은 지속적으로 고소득보다 높은 고위험 음주율을 보였다. 다만 2015년 소득 간 차이가 2.6%p였던 것을 고려하면 그 격차는 점점 좁혀지고 있다.

성인 여성의 고위험 음주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시골이 4.6%로 도시 6.6%보다 2.0%p 컸다. 이는 2015년 0.1%p보다 2배 악화된 수치다.

고소득층 남성의 비만율은 44,1%로, 저소득층 42.0%보다 높은 특징을 보였다. 저소득층의 비만율이 확연히 높았던 여성과 달리 남성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고소득 남성의 비만율이 높았고, 2014~2015년 잠시 역전 현상을 보이다 2016년 다시 제자리를 찾았다.

남성의 소득별 비만 유병률 차이는 2.1%p로 여성보다 작았다. 다만 이는 지난해 0.8%p보단 3배 가까이 커진 수치여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골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50.3%로, 도시에 사는 남성 40.9%보다 9.4%p 높았다. 이는 2015년 지역에 따른 비만 유병률 격차 4.9%p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값이다.

고소득층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23.8%로 저소득 20.1%보다 3.7%p 컸다. 남성은 고위험 음주율 역시 여성과 반대로 고소득일수록 높은 수치를 보였다. 소득 간 격차는 2015년 0.3%p보다 12배 이상 악화됐다.

시골에 사는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29.3%로 도시 19.9%보다 9.4%p 높았다. 지역 간 격차는 2015년 0.3%p보다 31배 이상 커진 수치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