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 눈치보는 M세대의 ‘조용한 휴가’…“게으름뱅이처럼 보일까봐”
김윤진 기자
입력 2024-05-30 17:04 수정 2024-05-30 17:30
미국 ‘밀레니얼세대(1981~1996년생)’ 사이에서 휴가원을 내지 않고 휴양지, 사무실 밖 등에서 소극적으로 업무를 보는 ‘조용한 휴가(Quiet Vacationing)’가 퍼지고 있다고 포브스 등이 지난달 29일 보도했다.
코로나19 당시 정해진 시간에 해고를 면할 정도로만 일하면서 사실상 사직 상태처럼 지냈던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에 이어 조용한 휴가라는 개념까지 생긴 것이다. ‘조용한 사직’이 “받는 돈 이외의 일은 절대 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강하다면 ‘조용한 휴가’는 “상사의 압박이 심한 사무실 대신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는 뜻이 크다.
여론조사회사 해리스폴이 4월 26~28일 직장인 11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M세대 근로자 중 37%가 ‘상사나 고용주에게 알리지 않고 쉬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X세대(1965~1980년생)’와 ‘Z세대(1997~2012년생)’ 응답자가 각각 24%만 ‘그렇다’ 답한 것과 대조적이다.
조용한 휴가를 선호하는 계층은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이다. 이들은 마감일을 지키고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휴가를 요청하지 않는다. “많은 돈을 받는 회사에서 게으름뱅이처럼 보이고 싶지는 않기 때문에 휴가를 신청하는 것이 불안하다”는 논리다. 해리스폴 조사에서 밀레니얼세대 응답자의 61%가 “휴가를 신청할 때 긴장된다”고 답했다.
특히 적지 않은 회사나 상사가 공식 휴가를 냈을 때도 업무를 지시하는 경향이 잦다는 것 또한 이들이 휴가를 내지 않는 이유로 거론된다. 해리스폴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86%가 “휴가 중에도 상사의 메일을 받았다”고 답했다. 56%는 “휴가 중에도 업무 관련 전화나 회의를 했다”고 밝혔다.
조용한 휴가에 대한 여론은 엇갈린다. 비판론자들은 “휴가를 신청하지 않으면서 평소보다 적게 일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이며 발각되기라도 하면 동료들에게도 피해가 간다”고 지적한다. 반면 “직장에서 번아웃되거나 과소평가되었다고 느끼는 전문직 종사자가 잠시 재충전한다면 더 많은 집중력과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다만 조용한 휴가를 막기 위해 유급휴가 일수를 늘리는 방안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리스폴에 따르면 매년 11~15일의 유급휴가를 보유한 근로자는 휴가 일수를 다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16일 이상을 받으면 휴가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매 분기마다 일정 일수의 휴가를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 더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김윤진 기자 kyj@donga.com
코로나19 당시 정해진 시간에 해고를 면할 정도로만 일하면서 사실상 사직 상태처럼 지냈던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에 이어 조용한 휴가라는 개념까지 생긴 것이다. ‘조용한 사직’이 “받는 돈 이외의 일은 절대 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강하다면 ‘조용한 휴가’는 “상사의 압박이 심한 사무실 대신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일하고 싶다”는 뜻이 크다.
여론조사회사 해리스폴이 4월 26~28일 직장인 11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M세대 근로자 중 37%가 ‘상사나 고용주에게 알리지 않고 쉬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X세대(1965~1980년생)’와 ‘Z세대(1997~2012년생)’ 응답자가 각각 24%만 ‘그렇다’ 답한 것과 대조적이다.
조용한 휴가를 선호하는 계층은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이다. 이들은 마감일을 지키고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휴가를 요청하지 않는다. “많은 돈을 받는 회사에서 게으름뱅이처럼 보이고 싶지는 않기 때문에 휴가를 신청하는 것이 불안하다”는 논리다. 해리스폴 조사에서 밀레니얼세대 응답자의 61%가 “휴가를 신청할 때 긴장된다”고 답했다.
특히 적지 않은 회사나 상사가 공식 휴가를 냈을 때도 업무를 지시하는 경향이 잦다는 것 또한 이들이 휴가를 내지 않는 이유로 거론된다. 해리스폴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86%가 “휴가 중에도 상사의 메일을 받았다”고 답했다. 56%는 “휴가 중에도 업무 관련 전화나 회의를 했다”고 밝혔다.
조용한 휴가에 대한 여론은 엇갈린다. 비판론자들은 “휴가를 신청하지 않으면서 평소보다 적게 일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이며 발각되기라도 하면 동료들에게도 피해가 간다”고 지적한다. 반면 “직장에서 번아웃되거나 과소평가되었다고 느끼는 전문직 종사자가 잠시 재충전한다면 더 많은 집중력과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다만 조용한 휴가를 막기 위해 유급휴가 일수를 늘리는 방안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리스폴에 따르면 매년 11~15일의 유급휴가를 보유한 근로자는 휴가 일수를 다 사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16일 이상을 받으면 휴가 사용률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매 분기마다 일정 일수의 휴가를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 더 현실적이라고 조언했다.
김윤진 기자 kyj@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중증외상·폭싹’ 덕분에…넷플릭스, 1분기 실적도 ‘맑음’
- 이마트, 푸드마켓 영토확장… “고덕점이어 연내 더 연다”
- 전셋값 안정에 HUG ‘안도’…전세보증 사고액 3분의 1로 줄었다
- “토허제에도 강남은 강남”…50억 이상 거래 올들어 2배 늘어
- 파월 ‘통상전쟁’ 경고에 금값 또 사상최고치 치솟아
- [단독]철강 관세폭탄에 ‘휘청’… 대미 수출 17% 줄었다
- “값 폭등” 아이폰 민심 반발에… 트럼프 관세 또 주춤
- 근육감소 노인 걷게돕는 ‘로봇개발자’ 이연백 대표 “고가 의료기기와 경쟁도 자신있어”
- 트럼프 “돈 많이 쓸것”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韓업계 ‘훈풍’
- 불경기 내다본 부자들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 등 안전자산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