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말’보다 더 싫은 최악 사수는 ‘성과 가로채기’
뉴시스
입력 2024-05-14 15:14 수정 2024-05-14 15:15
선호도 1위는 ‘노하우를 전수하는 사수’
“성격 나빠도 배울 게 많은 사수가 낫다”
Z세대가 뽑은 최고의 직장 사수 1위는 ‘노하우를 전수하는 사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악의 사수 1위는 ‘성과를 가로채는 사수’였다.
14일 인공지능(AI) 매칭 채용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Z세대 2827명을 대상으로 ‘직장 사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Z세대는 ‘성격 좋지만 배울 게 없는 사수(42%)’보다 ‘성격 나빠도 배울 게 많은 사수(58%)’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가 꼽은 최고의 사수는 ‘노하우 아낌없이 주는 사수(5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하는 사수’가 11%로 2위,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사수’가 9%로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 명확하게 피드백 주는 사수(8%), 실수는 감싸고 어려움을 해결해 주는 사수(7%), 유쾌하고 성격 좋은 사수(6%) 등 의견도 있었다.
최악의 사수로는 ‘성과를 가로채는 사수(44%)’가 1위로 꼽혔다.
‘막말·갑질하는 사수’가 18%로 2위였고 ‘기분에 따라 일을 지시하는 사수’가 11%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모든 걸 감시하고 지적하는 사수(10%) 책임 떠넘기는 사수(8%) 야근을 당연시하는 사수(6%) 순으로 나타났다.
‘실수에 대처하는 사수의 자세’에 대해서도 물어봤다. 그 결과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사수(54%)’를 선택한 경우가 ‘괜찮다며 다독여주는 사수(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Z세대가 사수에게 가장 듣고 싶은 말로는 ‘역시 잘하셨네요’가 43%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OO님이라면 잘할 수 있을 거예요’가 19%로 뒤를 이었고 ‘일찍 퇴근하세요’, ‘실수할 수 있죠’가 14%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외에 ‘맛있는 거 사 드릴게요’(6%), ‘저 다음 주에 휴가 갑니다’(4%) 등 다양한 의견도 있었다.
[서울=뉴시스]
“성격 나빠도 배울 게 많은 사수가 낫다”
ⓒ뉴시스
Z세대가 뽑은 최고의 직장 사수 1위는 ‘노하우를 전수하는 사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악의 사수 1위는 ‘성과를 가로채는 사수’였다.
14일 인공지능(AI) 매칭 채용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Z세대 2827명을 대상으로 ‘직장 사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Z세대는 ‘성격 좋지만 배울 게 없는 사수(42%)’보다 ‘성격 나빠도 배울 게 많은 사수(58%)’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가 꼽은 최고의 사수는 ‘노하우 아낌없이 주는 사수(5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하는 사수’가 11%로 2위,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사수’가 9%로 3위를 차지했다. 이외에 명확하게 피드백 주는 사수(8%), 실수는 감싸고 어려움을 해결해 주는 사수(7%), 유쾌하고 성격 좋은 사수(6%) 등 의견도 있었다.
최악의 사수로는 ‘성과를 가로채는 사수(44%)’가 1위로 꼽혔다.
‘막말·갑질하는 사수’가 18%로 2위였고 ‘기분에 따라 일을 지시하는 사수’가 11%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모든 걸 감시하고 지적하는 사수(10%) 책임 떠넘기는 사수(8%) 야근을 당연시하는 사수(6%) 순으로 나타났다.
‘실수에 대처하는 사수의 자세’에 대해서도 물어봤다. 그 결과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사수(54%)’를 선택한 경우가 ‘괜찮다며 다독여주는 사수(4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Z세대가 사수에게 가장 듣고 싶은 말로는 ‘역시 잘하셨네요’가 43%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OO님이라면 잘할 수 있을 거예요’가 19%로 뒤를 이었고 ‘일찍 퇴근하세요’, ‘실수할 수 있죠’가 14%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외에 ‘맛있는 거 사 드릴게요’(6%), ‘저 다음 주에 휴가 갑니다’(4%) 등 다양한 의견도 있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열차에 두고 내린 결제대금 3천만원, 주인 품으로 무사귀환
- “창가나 통로 옆 좌석도 돈 내야해?”…항공사 ‘좌석 선택 수수료’ 논란
- 이수정 “공수처 무력 사용에 시민 다쳐…다음 선거부턴 꼭 이겨야”
- 주택서 발견된 화재 흔적…‘간이 스프링클러’가 막았다
- ‘아가씨’ ‘여기요(저기요)’…연령·성별 따라 호칭 달라
- ‘쿨’ 김성수, 수십억대 사기 피해 고백…“유재석 말 들을 걸” 후회
- “성경에 대한 흥미 느끼도록…입문 돕는 바람잡이 되고파”
- ‘15년 공백기’ 원빈 근황…여전한 조각 미남
- 제주서 中 여행업자-병원 유착 ‘불법 외국인 진료’ 적발…3명 기소
- 10년 전에도 동절기 공항 철새 퇴치 기술 연구 권고했다
- [현장]예술–상업 경계 허문 ‘디에이치 한강’ 설계… 현대건설 ‘한남4구역’에 파격 제안
- 국민 10명 중 6명, 대한민국 경제상황 “악화할 것”
- 한양, 평택고덕 패키지형 공모사업 P-2구역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보아, 18년 전 샀던 청담동 건물…시세차익 71억원
- 양재웅, 한남 ‘100억대 고급빌라’ 분양…이승기는 105억 전세살이
- 서울원 아이파크 8일 무순위 청약…전용 74·84㎡ 물량도 나와
- ‘BS그룹’ 새출발… 새로운 CI 선포
- 착한 아파트 ‘평택 브레인시티 수자인’ 분양
- 말 하자마자 번역… 동시통역 AI 등장
- 민원·세금 안내, 카톡 ‘알림톡’으로 쓰니 행안부 예산 40억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