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호황’에 국민순자산 1174조 늘어…가구당 4.2억
뉴시스
입력 2019-07-17 12:16 수정 2019-07-17 12:16
국민순자산 1경5511조7000억…GDP 8.2배
부동산 값 상승, 해외 투자 확대 등 영향
가구당 순자산 4.2억…부동산 쏠림은 여전
우리나라의 국부(國富)를 보여주는 국민순자산이 지난해 1174조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토지자산이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해외 투자 확대로 금융순자산도 증가한 영향이다. 가구당 순자산도 평균 4억20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는 등 ‘부동산 쏠림’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작성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말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1경5511조7000억원으로 1년 전(1경4337조3000억원)보다 1174조4000억원(8.2%) 증가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8.2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1년 전 7.8배에서 확대된 것이다.
국민대차대조표는 국제연합(UN)의 국민계정체계를 기준으로 일정 시점의 토지자산 등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 금융부채 등을 기록한 통계다. 한은은 이번에 기준년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변경해 통계를 발표했다.
국민순자산 중 비금융자산은 전년대비 993조(7.1%) 증가한 1경5049조9000억원을 나타냈다. 토지자산이 583조6000억원(7.6%) 늘어 전체 비금융자산의 증가세를 이끌었다. 아울러 건설자산도 322조1000억원(6.8%) 늘어났다. 지식재산생산물 자산은 비중은 적었으나 36조5000억원(8.3%) 늘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은은 “지난해 토지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과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금융자산의 절반이 넘는 토지자산 비중은 1년 전 54.3%에서 지난해 54.6%로 확대됐다. 땅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5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토지자산의 GDP대비 비율은 434.3%로 2017년 보다 18.2%p 증가했다. GDP의 4.3배에 달한다는 얘기다. 이는 지난 2007년(437.6%) 이후 최고치이기도 하다.
비금융자산이 확대된 것은 부동산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크다. 지난해 비금융자산의 가격은 4.7% 상승해 지난 2007년(10.2%)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토지자산 등 비생산자산 가격이 6.3% 올라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건설자산 등 생산자산 가격 상승률도 2.8%로 2008년(6.6%) 이후 가장 높았다.
이에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도 650조4000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뛰었다. 명목보유손익은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가액 증가분을 나타낸다. 전체 국민순자산 증가 규모의 절반이 넘는 55% 정도를 비금융자산 가격 상승이 밀어올린 셈이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461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1조4000억원 늘어나며 국민순자산 증가에 한 몫했다. 지난해 해외투자 확대로 대외 금융자산이 늘어난 반면 국내 주가 하락으로 대외 금융부채는 줄어든 영향이다.
제도 부문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456조원, 일반정부는 206조4000억원 늘었다. 비금융법인도 455조2000억원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은 559조5000억원 늘어 1년 전(696조2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주택자산 증가액이 300조원에서 358조600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금융자산 증가액이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278조원에서 63조9000억원원으로 쪼그라든 영향이다. 부채도 103조5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1년 전(121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둔화됐다.
가구당 순자산은 4억1596만원으로 1년 전(3억9932만원)에 비해 1664억원(4.1%) 가량 늘었다. 이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지난해 추계인구(5160만7000명)으로 나눈 뒤 평균 가구원수 2.46명을 곱한 수치다.
다만 가계 자산 대부분은 부동산에 쏠려있었다. 가계 순자산에서 주택과 주택외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호주(73.7%), 프랑스(66.3%), 영국(55.0%), 캐나다(53.6%), 일본(42.0%)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편 지난해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4.0%로 1년 전(4.9%)보다 내려앉았다. 자본서비스물량은 고정자산이 일정기간 생산 과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양을 의미한다. 건설, 설비투자가 부진했던 탓에 물량 증가율도 하락한 것이다.
【서울=뉴시스】
부동산 값 상승, 해외 투자 확대 등 영향
가구당 순자산 4.2억…부동산 쏠림은 여전
우리나라의 국부(國富)를 보여주는 국민순자산이 지난해 1174조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토지자산이 증가세를 주도한 가운데 해외 투자 확대로 금융순자산도 증가한 영향이다. 가구당 순자산도 평균 4억20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는 등 ‘부동산 쏠림’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작성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말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1경5511조7000억원으로 1년 전(1경4337조3000억원)보다 1174조4000억원(8.2%) 증가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8.2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1년 전 7.8배에서 확대된 것이다.
국민대차대조표는 국제연합(UN)의 국민계정체계를 기준으로 일정 시점의 토지자산 등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 금융부채 등을 기록한 통계다. 한은은 이번에 기준년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변경해 통계를 발표했다.
국민순자산 중 비금융자산은 전년대비 993조(7.1%) 증가한 1경5049조9000억원을 나타냈다. 토지자산이 583조6000억원(7.6%) 늘어 전체 비금융자산의 증가세를 이끌었다. 아울러 건설자산도 322조1000억원(6.8%) 늘어났다. 지식재산생산물 자산은 비중은 적었으나 36조5000억원(8.3%) 늘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은은 “지난해 토지와 건물, 지식재산생산물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과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비금융자산의 절반이 넘는 토지자산 비중은 1년 전 54.3%에서 지난해 54.6%로 확대됐다. 땅값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5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토지자산의 GDP대비 비율은 434.3%로 2017년 보다 18.2%p 증가했다. GDP의 4.3배에 달한다는 얘기다. 이는 지난 2007년(437.6%) 이후 최고치이기도 하다.
비금융자산이 확대된 것은 부동산 가격이 오른 영향이 크다. 지난해 비금융자산의 가격은 4.7% 상승해 지난 2007년(10.2%)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토지자산 등 비생산자산 가격이 6.3% 올라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건설자산 등 생산자산 가격 상승률도 2.8%로 2008년(6.6%) 이후 가장 높았다.
이에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도 650조4000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뛰었다. 명목보유손익은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가액 증가분을 나타낸다. 전체 국민순자산 증가 규모의 절반이 넘는 55% 정도를 비금융자산 가격 상승이 밀어올린 셈이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461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1조4000억원 늘어나며 국민순자산 증가에 한 몫했다. 지난해 해외투자 확대로 대외 금융자산이 늘어난 반면 국내 주가 하락으로 대외 금융부채는 줄어든 영향이다.
제도 부문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456조원, 일반정부는 206조4000억원 늘었다. 비금융법인도 455조2000억원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은 559조5000억원 늘어 1년 전(696조2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주택자산 증가액이 300조원에서 358조600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금융자산 증가액이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278조원에서 63조9000억원원으로 쪼그라든 영향이다. 부채도 103조5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1년 전(121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둔화됐다.
가구당 순자산은 4억1596만원으로 1년 전(3억9932만원)에 비해 1664억원(4.1%) 가량 늘었다. 이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지난해 추계인구(5160만7000명)으로 나눈 뒤 평균 가구원수 2.46명을 곱한 수치다.
다만 가계 자산 대부분은 부동산에 쏠려있었다. 가계 순자산에서 주택과 주택외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호주(73.7%), 프랑스(66.3%), 영국(55.0%), 캐나다(53.6%), 일본(42.0%)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편 지난해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4.0%로 1년 전(4.9%)보다 내려앉았다. 자본서비스물량은 고정자산이 일정기간 생산 과정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양을 의미한다. 건설, 설비투자가 부진했던 탓에 물량 증가율도 하락한 것이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김숙 “내 건물서 거주+월세 수입 생활이 로망”
- “20억 받으면서 봉사라고?”…홍명보 감독 발언에 누리꾼 ‘부글’
- 세계적 유명 모델이 왜 삼성역·편의점에…“사랑해요 서울” 인증샷
- “사람 치아 나왔다” 5000원짜리 고기 월병 먹던 中여성 ‘경악’
- “모자로 안가려지네”…박보영, 청순한 미모로 힐링 여행
- 엄마 편의점 간 사이 ‘탕’…차에 둔 권총 만진 8살 사망
- 8시간 후 자수한 음주 뺑소니 가해자…한문철 “괘씸죄 적용해야”
-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가을편 새단장…윤동주 ‘자화상’
- 힐러리 “내가 못 깬 유리천장, 해리스가 깨뜨릴 것”
- ‘SNS 적극 활동’ 고현정…“너무 자주 올려 지겨우시실까봐 걱정”
- 전기 흐르는 피부 패치로 슈퍼박테리아 막는다
- 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9억∼30억 아파트 거래 대폭 줄었다
- 美, 칩스법 대상 태양광까지 확대… 中 글로벌 시장 장악 견제
- [단독]금융권 전산장애 피해액 5년간 350억… “행정망 오류 책임 커”
- MZ세대 팀워크 기피증?… ‘학습 지향성’으로 극복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아키오 도요타’ 가장 존경하는 분”
- [머니 컨설팅]금리 인하기, 상업용 부동산 투자 주목해야
- 주도주 없는 증시, ‘경영권 분쟁’이 테마주로… 급등락 주의보
- 금값, 올들어 33% 치솟아… 내년 3000달러 넘을 수도
- [단독]배달주문 30% 늘때 수수료 3배로 뛰어… “배달영업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