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세가, 4년만에 최대폭 올라
정순구 기자
입력 2023-09-22 03:00 수정 2023-09-22 03:00
매매-전세가 18주 연속 상승세
“가을 이사철에 매물 부족 겹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18주 연속 올랐다. 특히 전셋값은 전주 대비 0.20% 뛰며 2019년 12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셋째 주(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다. 전주(0.13%)보다는 상승 폭이 줄었지만, 5월 넷째 주(22일 기준) 이후 18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은 “주거환경이 좋은 선호 단지 위주로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뛰었다”며 “주요 지역 내 개발 호재가 있는 단지를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20% 오르며 전주(0.17%) 대비 상승 폭을 키웠다. 본격적인 가을 전세철을 맞아 교통 및 학군이 뛰어난 신축 단지 위주로 수요가 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커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 뛰며 지난주(0.09%)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수도권(0.15%→0.17%)도 상승 폭이 확대됐고, 지방(0.04%→0.04%)은 상승 폭이 유지됐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0.13%로 전주(0.11%)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0.21%→0.24%)과 지방(0.01%→0.03%)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
“가을 이사철에 매물 부족 겹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18주 연속 올랐다. 특히 전셋값은 전주 대비 0.20% 뛰며 2019년 12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셋째 주(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다. 전주(0.13%)보다는 상승 폭이 줄었지만, 5월 넷째 주(22일 기준) 이후 18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은 “주거환경이 좋은 선호 단지 위주로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뛰었다”며 “주요 지역 내 개발 호재가 있는 단지를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20% 오르며 전주(0.17%) 대비 상승 폭을 키웠다. 본격적인 가을 전세철을 맞아 교통 및 학군이 뛰어난 신축 단지 위주로 수요가 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커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 뛰며 지난주(0.09%)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수도권(0.15%→0.17%)도 상승 폭이 확대됐고, 지방(0.04%→0.04%)은 상승 폭이 유지됐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0.13%로 전주(0.11%)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도권(0.21%→0.24%)과 지방(0.01%→0.03%)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
비즈N 탑기사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고금리·고분양가에 1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넉달 연속 하락
- 아파트 거래 올해도 싸늘… 매매회전율 역대 두번째 낮아
- ‘살은 피둥피둥, 각질은 후두둑’…겨울철 건강관리 이렇게
- ‘0원 요금’ 약발 끝났다…알뜰폰 18만명 번호 대이동
- [DBR]“로봇이 냉장고 문짝 척척” 생산성 혁신 스마트 공장
- 원희룡 “전세사기는 질 나쁜 민생범죄…선구제 후구상 신중 검토 필요”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인류 파멸 불씨냐, 번영의 선물이냐”… AI ‘두머’ vs ‘부머’ 대논쟁[인사이드&인사이트]
- “전세금 떼일라” 빌라 기피… 내년초 서울 입주 416채 역대최소
- 中企 은행대출 1000조… 파산 신청업체 역대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