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이자 부담”…지난해 2030 주택 ‘영끌 매수’ 줄어
뉴시스
입력 2023-01-19 10:49:00 수정 2023-01-19 10:49:52

고금리와 집값 하락 등 영향으로 지난해 20~30대의 주택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매수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는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집값이 상승한 2020~2021년 적극적으로 주택 매수에 나섰지만, 지난해에는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대출 규제도 강화되면서 매수세가 한풀 꺾였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2년(1~11월) 전국 아파트 매매 28만359건 중 매입자가 20~30대인 거래는 7만9485건으로 전체의 28.4%를 차지했다.
2021년에는 전체 아파트 매매 66만9182건 중 2030세대가 20만7392건을 사들이면서 매입 비중이 31%를 차지했는데 1년 새 2.6%포인트(p) 감소했다.
2030세대 아파트 매입 비중은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왔다. 지난 2019년 28.3%에서 2020년에는 29.2%, 2021년에는 31.5%로 높아졌다.
그런데 지난해 금리가 잇따라 오르고,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강화, 집값 하락 등이 맞물리면서 2030세대의 매입 비중도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2030 아파트 매입 비중이 2021년 41.7%(4만9751건 중 2만730건)에서 지난해 7.6%p 감소한 34.1%(1만4383건 중 4908건)로 나타났다.
경기는 2021년 36.3%에서 지난해 34.4%로 줄었고, 인천은 2021년(33.2%)과 비슷한 33.4%의 비중을 보였다.
아파트나 빌라,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을 생애 최초로 매수한 2030세대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자는 30만1510명인데 이 중 30대 이하가 16만4610명으로 전체의 54.6%를 차지했다. 2021년 30대 이하 매수자 비중은 56.8%였는데 1년 새 2.2%p 줄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생애 첫 매수자 중 30대 이하 비중은 58.5%에서 54.7%로 줄었고, 서울은 60.2%에서 55.0%로 5.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58.1%에서 56.6%로, 경기는 57.8%에서 54.1%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생애 첫 주택 구매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금리 인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데다 집값 하락세까지 겹쳐 생애 첫 집합건물 거래량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조희연 “해직교사 특채→화합”…1심은 왜 죄로 봤나
- 진태현·박시은 “아이 떠난 후 눈물…사실 매일 참고 있는 것”
- 폭설 속 달리는 구급차서 ‘새 생명’ 받아낸 소방대원들
- 470만원에 구입한 ‘포켓몬스터 옐로우’ 박살나버린 美 남성
- 공기질이 얼마나 나쁘길래…방콕, 초미세먼지에 재택근무 권고
- “히트곡, 금·석유보다 더 가치”…저스틴 비버, 저작권 2467억원에 매각
- 서현우 “‘유령’ 위해 24㎏ 증량…하루에 6끼 먹어”
- “고은 시집 공급 중단…실천문학 1년 휴간” 윤한룡 대표 사과
- ‘한옥의 아름다움 만끽’ 북촌 설화수의 집, 우수 디자인 선정
- god, 이게 몇 년 만이야?…완전체 화보 공개
- 초고령사회 2년 앞둔 韓 60세 정년 없어지나…55세이상 고용확대 논의
- “거의 다 ‘언팩’ 됐네”…유출된 갤럭시 S23 미리보기
- 삼성전자, 성과급 온도차…반도체 50% vs 생활가전 7%
- “햄버거 아닌 금버거?”…롯데리아發 도미노 인상 이어지나
- ‘난방비 쇼크’…“이미 2배 더 냈는데, 한파에 2월 요금 더 걱정”
- 강남 아파트 평균 매매가 15억대 무너져…1년 전으로 돌아가
- “주말 내내 기다리다 달려왔어요” 은행 30분 일찍 문열자 시민들 “대환영”
- 은행권, 30일부터 영업시간 복원…오전 9시에 문 연다
- “아직 불안”vs“한국 늦어도 너무 늦어”…노마스크 첫날 제주공항 가보니
- ‘푼돈 재테크’ 푹 빠진 MZ세대…“빈병·쇼핑백도 팔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