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초 영상 보는데 하루 3시간… ‘숏폼’에 중독된 한국
김하경 기자
입력 2024-06-09 17:38 수정 2024-06-09 17:44

직장인 최수영 씨(32·가명)는 스스로를 ‘숏폼(쇼트폼·짧은 동영상)’ 중독자라고 일컬을 정도로 숏폼을 수시로 본다. 퇴근길부터 취침 전 2~3시간을 어김 없이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를 오가며 숏폼 시청에 쓴다. 최 씨는 “하루에 3시간 이상 숏폼을 보는 것 같다”며 “일과를 마치고 녹초가 된 상태에서는 긴 호흡의 콘텐츠를 소비할 에너지가 없다. 숏폼은 흥미로운 내용만 편집해 콘텐츠를 제공해주다보니 부담 없이 계속 보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가 숏폼에 빠져들고 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시간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9일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 1~5위 가운데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틱톡이 각각 1, 3, 5위를 차지했다. 모두 숏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플랫폼이다. 숏폼을 앞세운 틱톡이 급부상하자 인스타그램이 이 숏폼 서비스인 ‘릴스(Reels)’를 내놨고, 유튜브도 ‘쇼츠’를 선보인 바 있다.
특히 인스타그램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3월 인스타그램 사용시간은 네이버에 이어 4위를 기록했지만 4월에는 네이버를 제치고 3위로 올라섰고, 이어 지난달에도 3위를 유지했다. 네이버와의 격차는 4월 1386만1509시간에서 지난달 4641만8705시간으로 3배 이상 늘었다.
숏폼이 인기를 얻는 가장 큰 이유는 편의성이다. 이용자들은 ‘최소 2억 오르는 부동산 추천지역 best5’, ‘품절 전에 사야 할 청소꿀템 톱5’, ‘날씬해지는 1분 운동’ 등 눈길이 가는 정보를 15~60초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압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화면을 손가락으로 한 번 밀 때마다 새로운 영상이 이어지는데 관심 없는 영상이 나올 경우 빠르게 넘길 수 있다.
누구나 쉽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플랫폼들도 편집 툴을 제공해 큰 부담 없이 제작할 수 있다는 점도 숏폼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챌린지’ 열풍으로도 이어졌다. 이용자들이 특정 인기 음악에 맞춰 안무를 따라 추거나 드라마 대사의 음성에 맞춰 자신의 연기를 선보이는 등 각종 챌린지 영상을 만들며 트렌드를 재생산해낸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짧은 텍스트였지만 이제는 짧은 영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있다”면서 “숏폼이 하나의 놀이 문화로 자리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숏폼의 강력한 자극이 도파민 중독 및 ‘팝콘 브레인(두뇌가 자극에 반복 노출되면서 더 큰 자극만 추구하는 증상)’, 집중력 저하 등을 야기한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숏폼을 시청하면서 쾌락을 느낄 때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빠르게 분출되는데 이를 중단하면 다시 더 큰 자극을 찾게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해국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교수는 “플랫폼 기업들이 맞춤형 콘텐츠라는 명분 아래 자극적인 내용들을 보게 만들고 있고 이같은 구조가 중독을 야기하고 있다”며 “중독 위험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마련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질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악성 미분양 11년8개월 만에 최대…“지방 주택공급 확대 신중해야”
- 한국 부자 이렇게 많았나…백만장자 130만명 돌파, 세계 순위는?
- “몸이 이상해요” 몇 시간뒤 숨진 美 14세 소년, ‘이 균’ 감염 때문이었다
- 내달 1차 15만∼40만원씩… 2차땐 고소득층 빼고 10만원 지급
- 휴머노이드 AI로봇 신기해요
- “증여한 주식 돌려주거라”… 콜마 경영권 분쟁 父子 대결로 확전
- 10억 이상 차익 기대…과천 신희타 ‘줍줍’ 13.8만명 몰렸다
- 민생지원금 지급 논의에 기대감 ‘솔솔’…외식·주류업계 “좀 나아지려나”
- ‘만년 2등’ SK하이닉스 시총 180조 돌파…삼성전자 시총 절반 넘어섰다
- “자고 나면 오른다”…규제 지정될라, 성동구 ‘패닉 바잉’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