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유전자치료제 나올까”…韓 연구진, 차세대 유전자 가위 AI로 설계

뉴시스

입력 2023-04-29 00:22 수정 2023-04-29 00:23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치료제 개발 등에 사용되는 유전자 가위를 보다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신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훨씬 정교하고 안전한 대신 설계구조가 복잡했던 차세대 유전자 가위를 AI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나 질병 등에 따른 맞춤형 유전자치료제 개발 속도가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세대학교 김형범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유전자 가위인 ‘프라임 편집기’를 정밀하고 안전하게 설계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셀(Cell)에 29일(현지시간 28일 11시, EST) 게재됐다.

널리 알려져 있는 유전자 편집기술 중 하나인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카스9(CRISPR-Cas9)’은 원하는 유전자 부위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는 도구다.

최근에는 유전자 절단뿐만 아니라 절단 부위를 채워줄 새로운 유전정보까지 포함해 교정이 가능한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편집기가 개발됐다. 프라임 편집기는 DNA 이중가닥을 완전히 자르지 않고 한 가닥만 자르기 때문에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훨씬 안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프라임 편집기는 새로운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등 이전의 다른 유전자 가위보다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경우의 수도 다양하기 때문에 정밀하고 안전한 유전자 가위를 설계하는 것이 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임상 연구와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려면 어떤 조건에서 오류 없이 최적의 유전자 교정이 일어나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대규모 실험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에 연구팀은 지난 2020년부터 약 3년 동안 프라임 편집기 데이터 33만개 이상을 확보하고 각각의 프라임 편집기 효율을 실험적으로 측정했다. 그간 학계에 보고된 측정 데이터 중 가장 규모가 큰 결과다.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기전과 그 영향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이에 더해 연구팀은 분석한 데이터에 AI 기반의 학습과정을 적용해 교정을 원하는 유전자 서열정보 등을 입력하면 활용 가능한 프라임 편집기의 효율을 예측하는 모델까지 제작했다.

이번에 제작한 모델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프라임 편집기의 정밀성 및 안전성에 대한 예측 성능을 보이며, 인터넷을 이용해 전 세계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프라임 편집기를 설계할 때마다 매번 수십~수백개 이상의 프라임 편집기를 실험해봐야 했다. 하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구현한 기술을 이용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프라임 편집기를 설계할 수 있어 향후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김형범 교수는 “지금까지 밝혀진 프라임 편집기의 모든 요소를 반영한 가장 뛰어난 예측 모델”이라며 “이제 프라임 편집기를 이용한 유전자 교정을 손쉽게 활용하게 됐다”고 의미를 밝혔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