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배차 로직, 가맹 아닌 소비자 우대… 공정위 판단 유감”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3-02-14 14:21:00 수정 2023-02-14 14:40:08

공정거래위원회의 ‘택시 배차 알고리즘 조작’ 제재에 카카오모빌리티는 “배차 로직은 가맹 우대가 아닌 소비자 우대”라며 유감을 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이번 심의 과정에서 인공지능(AI) 배차 로직을 통한 승차거부 해소 및 기사 영업이익 확대 효과가 확인됐음에도 일부 택시 사업자의 주장이 그대로 받아들여졌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날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앱의 중형택시 일반호출 배차 알고리즘을 조작해 카카오T블루 가맹택시를 우대했다며 시정명령과 과징금 257억 원을 부과했다.
카카오T 택시 호출 서비스는 ‘일반호출’과 승객이 3000원의 수수료를 부담하는 ‘블루호출’로 나뉜다. 가맹택시는 두 호출을 모두 수행하고 비가맹택시는 일반호출만 수행한다.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택시를 늘리기 위해 일반호출도 가맹택시에게 우선 배차하는 방식으로 우대했다고 판단했다.
또 2020년 4월 카카오모빌리티는 호출 수락률 40% 이상인 택시를 AI가 추천해 우선 배차되도록 알고리즘을 변경했는데, 당시 가맹택시의 평균 수락률은 70~80%, 비가맹택시는 약 10%였다.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두 기사 그룹 간 수락률의 원천적 차이를 인지하고 의도적으로 이용했다고 보고 있다.

또 ‘가맹기사 일반호출 우선배차’는 승객 편의 증대를 위해 일시적으로 진행한 테스트의 일환이며 현재의 배차 방식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1㎞ 미만 단거리 배차 제외·축소’는 추천배차의 특성상 운행거리가 픽업거리보다 짧아지는 비효율과 택시 기사들의 매몰 비용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한 테스트라고 설명했다.
배차 로직을 은밀하게 변경했다는 판단에 대해서는 “알고리즘은 플랫폼 기업에 있어 중요한 영업비밀로 지속적인 개선 작업의 과정을 공개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 과정을 ‘은밀한 조작’이라고 판단한 부분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공정위는 가맹택시에 유리한 구조로 비가맹택시의 운임 수익이 낮다고 판단했으나 비가맹택시 기사 1인당 운행 완료 수는 일평균 5.7회에서 8.1회 수준으로 늘었고 운임 수익 또한 꾸준히 증가했다”며 “AI 배차 로직을 통해 배차 성공률 증가, 승객 대기시간 단축 등 성과도 달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행정소송 제기를 포함해 공정위의 오해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이며 AI 배차 로직이 승객 편익 증진, 기사 권익 보호를 위한 것임을 최선을 다해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gggah@donga.com
비즈N 탑기사
- 별, 막내딸 송이 안고 절친 테이 결혼식 참석 “제일 멋진 신랑”
- “어묵 5000원어치는 안 팔아”…지역 축제 ‘바가지’ 또 도마
- “연매출 25억” 하버드 출신 한인 여성 아이스크림 가게 대박 비결은?
- 중3 학부모 82% 미적분·기하 선호…“쏠림 심해질 것”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1억~2억원씩 거래가 높이는 서울 아파트…“바닥 다지는 과정”
-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항공 “순환 휴직 종료” LCC “승무원 채용”
- 가계대출 다시 ‘꿈틀’… 금융당국 “DSR 큰틀 유지”
- 코로나 3년 ‘운동 멀리’… 비만인구 3.3%P 증가
- 규제 풀리자 꿈틀…서울 집 사는 2030 비중 4개월째 늘어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AI보다 학습 속도 18배 빨라”
- [DBR]‘추천 이유’ 덧붙이면 AI 신뢰도 높아져
- 서울시 “월 50만원 청년수당 신청하세요”
- 시멘트社 “내달 가격 14% 인상”… 건설사 “원료값 내렸는데 부당”
- 녹색상품 사면 하나 더… 환경의 날 맞아 ‘녹색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