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기업들 “금강산관광 중단 16년째…특별법으로 투자금 돌려달라”
뉴시스
입력 2023-11-17 15:18 수정 2023-11-17 15:19
17일 피해 기업인들 정부청사 앞 기자회견
통일부 "향후 입법 상황 지켜보면서 대응"

금강산 관광 25주년이자 관광 중단 16년 차를 맞아 관련 기업들이 “피해보상 특별법으로 국가 차원의 정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강산기업협회 및 금강산투자기업협회는 17일 오전 정부 서울종합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금강산 관광은 이제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 금강산 기업들의 손실보전, 투자금 전액 지급 및 대출금과 이자 탕감 등을 피해보상 특별법으로 처리해 정리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등 정치적 이유로 통치권 차원에서 모든 남북경협을 중단시켰으면서 금강산 기업들의 피해보상 요구에는 ‘법이 없어 보상할 수 없다’는 답변만 16년 동안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금강산 관광 중단 조치로 인한 사업 중단으로 기업파산, 가족해체, 신용불량 등 지난 16년간 희망 고문당해 온 금강산 기업인들에게 피해보상 특별법을 제정해서 실질적인 보상을 청산을 해주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기본적으로 국회에서 논의돼야 될 사항인 만큼 향후 입법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금강산 관광은 1998년 11월18일 관광선 금강호가 한국 관광객 800여명을 태우고 북한 장전항에 입항하며 시작했지만, 2008년 7월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 사건이 일어나 중단됐다.
정부는 금강산 투자 피해기업에 보험 미가입 기업 지원 수준인 45%(35억원 한도)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피해보상법을 제정해 보상하라고 요구해왔다.
[서울=뉴시스]
통일부 "향후 입법 상황 지켜보면서 대응"

금강산 관광 25주년이자 관광 중단 16년 차를 맞아 관련 기업들이 “피해보상 특별법으로 국가 차원의 정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금강산기업협회 및 금강산투자기업협회는 17일 오전 정부 서울종합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금강산 관광은 이제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 금강산 기업들의 손실보전, 투자금 전액 지급 및 대출금과 이자 탕감 등을 피해보상 특별법으로 처리해 정리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등 정치적 이유로 통치권 차원에서 모든 남북경협을 중단시켰으면서 금강산 기업들의 피해보상 요구에는 ‘법이 없어 보상할 수 없다’는 답변만 16년 동안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금강산 관광 중단 조치로 인한 사업 중단으로 기업파산, 가족해체, 신용불량 등 지난 16년간 희망 고문당해 온 금강산 기업인들에게 피해보상 특별법을 제정해서 실질적인 보상을 청산을 해주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기본적으로 국회에서 논의돼야 될 사항인 만큼 향후 입법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금강산 관광은 1998년 11월18일 관광선 금강호가 한국 관광객 800여명을 태우고 북한 장전항에 입항하며 시작했지만, 2008년 7월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 사건이 일어나 중단됐다.
정부는 금강산 투자 피해기업에 보험 미가입 기업 지원 수준인 45%(35억원 한도)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피해보상법을 제정해 보상하라고 요구해왔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밥값·집값 버거워서” 독립 포기, 부모님 집으로…늘어나는 ‘리터루족’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생숙’ 소유자들 벌금 피하기 편법… 숙박 협동조합 설립 나서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신생아 특공’ 연간 7만채 공급…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전국 ‘악성 미분양’ 1만가구 넘었다…한 달 새 7.5% 늘어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 5만 건 넘어…역대 최다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한국인, 27세부터 ‘흑자 인생’… 43세 정점 찍고 61세 적자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