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버섯처럼 퍼진 ‘보험사기’…작년 적발액 1조818억 ‘역대 최대’
뉴스1
입력 2023-03-23 12:12:00 수정 2023-03-27 13:15:21

진단서 위·변조, 고의사고 유발 등 지난해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22년 기준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전년 9434억원 대비 14.7%(1384억원) 증가한 1조81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적발인원은 10만2679명으로 전년(9만7629명) 대비 5.2%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적발금액은 1050만원으로, 해가 갈수록 고액화하는 추세라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주요 사기 유형으로는 사고내용 조작이 61.8%(6681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허위사고 17.7%(1914억원), 고의사고 14.4%(1553억원) 순이다.
이 중 사고내용 조작 유형의 경우 진단서 위·변조, 입원수술비 과다청구 유형이 전년 대비 34.5%(633억원)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보험 종목별로는 손해보험 적발금액이 전체 적발금액의 94.6%(1조 237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생명보험은 5.4%(581억원) 수준이다. 허위(과다)입원·진단·장해 등 상해·질병 보험상품 관련 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적발규모에서 손해보험 적발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연령별로는 50대 적발 비중이 24.0%(2만4631명)으로 가장 높으며, 특히 최근 60대 이상의 고령층 보험사기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21년 19.8%에서 2022년 22.20%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10·20대의 비중은 21.0%에서 17.3%로 줄었다.
보험사기 적발자의 직업은 회사원이 19.1%로 가장 많았고 무직·일용직(11.1%), 전업주부(10.6%), 학생(4.9%) 순이다. 이 중 보험설계사, 의료인, 자동차정비업자 등 관련 전문종사자의 비중은 4.3%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사당국, 건보공단, 심평원 등과 공조해 조직형 보험사기 등에 대한 조사 및 적발을 강화하겠다”며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제도 및 업무관행 개선, 예방 교육, 홍보활동 등도 지속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별, 막내딸 송이 안고 절친 테이 결혼식 참석 “제일 멋진 신랑”
- “어묵 5000원어치는 안 팔아”…지역 축제 ‘바가지’ 또 도마
- “연매출 25억” 하버드 출신 한인 여성 아이스크림 가게 대박 비결은?
- 중3 학부모 82% 미적분·기하 선호…“쏠림 심해질 것”
- “나는 사회주의자” 병역거부한 30대…항소심에서도 패소
- 휴대폰 가져왔다고…“물에 빠뜨려라” 중학교사 극단처벌 시끌
- “숨이 턱턱”…때 아닌 ‘5월 폭염’에 강릉은 이미 피서철 풍경
- 아이유, 표절 혐의로 고발당했다…소속사 “허위사실” 맞불
- “경찰에게 납치됐다”…대학 제적 숨기려 납치 자작극 벌인 美 여성
- 김소연, 결국 ‘이상우 보일러’ 일화 해명…“건강 생각해주는 남편”
- 1억~2억원씩 거래가 높이는 서울 아파트…“바닥 다지는 과정”
- 여행 수요 회복에… 대한항공 “순환 휴직 종료” LCC “승무원 채용”
- 가계대출 다시 ‘꿈틀’… 금융당국 “DSR 큰틀 유지”
- 코로나 3년 ‘운동 멀리’… 비만인구 3.3%P 증가
- [DBR]‘추천 이유’ 덧붙이면 AI 신뢰도 높아져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AI보다 학습 속도 18배 빨라”
- 규제 풀리자 꿈틀…서울 집 사는 2030 비중 4개월째 늘어
- 서울시 “월 50만원 청년수당 신청하세요”
- 시멘트社 “내달 가격 14% 인상”… 건설사 “원료값 내렸는데 부당”
- 녹색상품 사면 하나 더… 환경의 날 맞아 ‘녹색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