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반짝 성탄 마케팅, 소비도 반짝… 매출 35% 늘기도
오승준 기자
입력 2022-12-02 03:00 수정 2022-12-02 14:28
연말특수 승부처 된 성탄 마케팅
백화점 3사가 연말 시즌을 맞아 크리스마스 장식을 공개했다. 롯데백화점(위쪽 사진)과 신세계백화점은 각각 명동 본점에 미디어 파사드를 설치해 영상을 선보이고 있다. 각 사 제공
고물가와 고금리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통업계가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 마케팅으로 얼어붙은 소비 심리 녹이기에 나섰다. 인증샷을 부르는 대형 미디어 파사드 등 화려한 크리스마스 장식을 앞다퉈 선보이고 연말 선물 및 홈파티 수요를 겨냥한 다양한 프로모션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백화점 3사가 최근 공개한 크리스마스 외관 장식은 온·오프라인에서 화제를 모으며 집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신세계백화점 본점 본관의 ‘미디어 파사드’가 인증샷 명소로 큰 인기를 끌면서 크리스마스 장식은 각 유통사의 자존심을 건 싸움이 됐다.
롯데백화점은 ‘크리스마스 드림 모먼츠’를 테마로 본점 외벽에 3층 높이의 파사드를 설치하고 파사드 전체를 크리스마스트리와 조명으로 장식했다. 미디어 파사드에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이 입체적으로 나타난다. 본점 앞 구두방까지 크리스마스 래핑(wrapping)을 했다. 점등 이후 저녁 시간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 특히 다이닝 매출은 45% 늘었다.
신세계백화점은 일몰 이후 대형 미디어 파사드에서 ‘마법같이 아름다운 연말’을 주제로 한 영상을 선보였다. 스크린 크기를 지난해의 1.5배로 늘리고 발광다이오드(LED) 칩을 210만 개 더 사용했다.
백화점 3사가 연말 시즌을 맞아 크리스마스 장식을 공개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서울 5층에 3300㎡(약 1000평) 규모로 크리스마스 마을 콘셉트의 ‘H빌리지’를 조성했다. 각 사 제공더현대서울은 5층에 3300m²(약 1000평) 규모 크리스마스 마을 콘셉트인 ‘H빌리지’를 꾸몄다. 대형 크리스마스트리(13m), 나무 120여 그루, 조명 약 6000개 등을 설치했다. 크리스마스 장식 설치 후(10월 27일∼11월 29일) 저녁 시간대 방문객 수는 40%가량 늘었다.
아웃렛과 쇼핑테마파크 등에서도 대형 연말 장식으로 방문객 잡기에 나섰다. 신세계사이먼은 여주·파주·시흥 프리미엄아울렛에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캐릭터 조형물과 체험 콘텐츠로 테마파크 분위기를 연출했다. 레고코리아는 스타필드 고양·안성에 ‘레고 크리스마스 판타지 가든’을 오픈했다. 초대형 풍차 트리(6m)와 오르골 트리, 레고 브릭 수십만 개로 조성한 레고 폭포(3.4m) 등을 볼 수 있다.
롯데백화점은 1일 강원 평창군 용평리조트 스키장에 ‘롯백양조’라는 이색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실내외 공간 인테리어를 모두 골드 계열 컬러로 디자인한 롯백양조에서는 위스키와 보드카를 비롯해 몽클레르·SK2 등 해외 명품 브랜드와 뷰티 브랜드를 선보인다.
외식업계와 호텔가도 크리스마스 시즌 제품과 패키지를 속속 내놓고 있다. 스타벅스는 2일부터 ‘스노우 바닐라 티 라떼’ 등 연말 시즌 음료를 출시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은 2일 아이스링크 개장을 맞아 아이스링크 입장(2인)이 포함된 ‘윈터 온 아이스’ 패키지를, 조선 팰리스는 뮤지컬 ‘물랑루즈!’ 티켓 2장이 포함된 패키지를 판매한다.
GS25는 매일유업과 협업해 1일 한정판 크리스마스 홀케이크를 출시했다. GS25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크라스마스 홀케이크는 출시 후 평균 3일 만에 완판됐다. 세븐일레븐도 홍대 커스텀 케이크로 유명한 ‘터틀힙’과 애니메이션 캐릭터 ‘빨강머리 앤’과 콜라보한 이색 케이크 등을 선보인다.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고물가와 고금리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통업계가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 마케팅으로 얼어붙은 소비 심리 녹이기에 나섰다. 인증샷을 부르는 대형 미디어 파사드 등 화려한 크리스마스 장식을 앞다퉈 선보이고 연말 선물 및 홈파티 수요를 겨냥한 다양한 프로모션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백화점 3사가 최근 공개한 크리스마스 외관 장식은 온·오프라인에서 화제를 모으며 집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신세계백화점 본점 본관의 ‘미디어 파사드’가 인증샷 명소로 큰 인기를 끌면서 크리스마스 장식은 각 유통사의 자존심을 건 싸움이 됐다.
롯데백화점은 ‘크리스마스 드림 모먼츠’를 테마로 본점 외벽에 3층 높이의 파사드를 설치하고 파사드 전체를 크리스마스트리와 조명으로 장식했다. 미디어 파사드에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이 입체적으로 나타난다. 본점 앞 구두방까지 크리스마스 래핑(wrapping)을 했다. 점등 이후 저녁 시간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 특히 다이닝 매출은 45% 늘었다.
신세계백화점은 일몰 이후 대형 미디어 파사드에서 ‘마법같이 아름다운 연말’을 주제로 한 영상을 선보였다. 스크린 크기를 지난해의 1.5배로 늘리고 발광다이오드(LED) 칩을 210만 개 더 사용했다.

아웃렛과 쇼핑테마파크 등에서도 대형 연말 장식으로 방문객 잡기에 나섰다. 신세계사이먼은 여주·파주·시흥 프리미엄아울렛에 데브시스터즈의 ‘쿠키런’ 캐릭터 조형물과 체험 콘텐츠로 테마파크 분위기를 연출했다. 레고코리아는 스타필드 고양·안성에 ‘레고 크리스마스 판타지 가든’을 오픈했다. 초대형 풍차 트리(6m)와 오르골 트리, 레고 브릭 수십만 개로 조성한 레고 폭포(3.4m) 등을 볼 수 있다.
롯데백화점은 1일 강원 평창군 용평리조트 스키장에 ‘롯백양조’라는 이색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실내외 공간 인테리어를 모두 골드 계열 컬러로 디자인한 롯백양조에서는 위스키와 보드카를 비롯해 몽클레르·SK2 등 해외 명품 브랜드와 뷰티 브랜드를 선보인다.
외식업계와 호텔가도 크리스마스 시즌 제품과 패키지를 속속 내놓고 있다. 스타벅스는 2일부터 ‘스노우 바닐라 티 라떼’ 등 연말 시즌 음료를 출시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은 2일 아이스링크 개장을 맞아 아이스링크 입장(2인)이 포함된 ‘윈터 온 아이스’ 패키지를, 조선 팰리스는 뮤지컬 ‘물랑루즈!’ 티켓 2장이 포함된 패키지를 판매한다.
GS25는 매일유업과 협업해 1일 한정판 크리스마스 홀케이크를 출시했다. GS25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크라스마스 홀케이크는 출시 후 평균 3일 만에 완판됐다. 세븐일레븐도 홍대 커스텀 케이크로 유명한 ‘터틀힙’과 애니메이션 캐릭터 ‘빨강머리 앤’과 콜라보한 이색 케이크 등을 선보인다.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비즈N 탑기사
- 추위 피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노인, 반나절 만에 구조
- 스티브잡스 ‘친필 사인’ 수표, 최종 낙찰가 4800만원
- “호랑이 입에 저게 뭐야?”…신발 물고있는 모습에 굴 들어가보니
- “하루 버티면 1300만원”…전기 끊긴 마트서 45일 생존 남성, 6억 벌었다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청약 1순위’ 되려면 청약통장 예치액 확인하세요[부동산 빨간펜]
-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사상 첫 감소…평균 순자산은 4억3500만원
- 치킨 튀기고, 수술 보조… 협동로봇, ‘일손’ 해결사로
- ‘LA 대신 서울’…일본 여행객 ‘엔저’에 연말연시 짠테크 해외여행
- 높은 집값, 이자 부담에…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쑥’
- 80만원대 준프리미엄급 ‘갤럭시 S23 FE’ 출시
- “‘킹산직’ 채용 또 온다”…현대차, 다음주 400명 추가 채용
- 2025년 말엔 곤돌라로 남산 오른다
- “카페라떼 가격 2년새 급등…매머드 29.4%, 빽다방 20% 큰 폭 올려”
- 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