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부실 언제까지…내년 6월 마무리 관측도
뉴시스(신문)
입력 2024-11-20 12:26 수정 2024-11-20 12:27
한신평·무디스 미디어브리핑
금융당국이 6월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개선한 가운데, 증권사·캐피탈사 등이 내년 6월 말께 PF익스포저 중 ‘유의·부실우려’로 분류된 부실 채권권에 대한 손실 인식을 마무리지으며 부실 채권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무디스와 함께 20일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발제자로는 위지원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실장이 나서 ‘PF구조조정과 금리환경, 변화, 환국 비은행금융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란 주제로 발표했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1차 사업성 평가대상 결과 전 금융업권 PF익스포저(위험노출액) 217조원 중 약 10%가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부실우려’로 분류됐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증권사, 여전사에서 대부분이 발생했는데, ‘유의이하 규모’는 상호금융이 약 10조원으로 가장 컸지만, 비중은 저축은행이 28%로 가장 컸다. 브릿지론으로만 대상으로 할 경우 42%로 치솟았다.
위지원 실장은 “지난해 발표 때만 해도 PF 리스크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지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컸다”며 “지금은 구조조정 기준이 정리 방향에 대해 합의가 됐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구조조정의 첫 단계인 손실 인식도 어느 정도 이뤄진 상황”이라며 “문제는 부실의 정리인데 아직까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는 “국내 부실 채권 시장 규모는 연간 4조원 내외인데 구조조정 대상 여신 21조원은 할인을 감안하더라도 적지 않은 규모고 무엇보다 구조조정 대상 사업장의 대부분이 지방의 토지기 때문에 사업성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구조조정 개시 이후 1년 후인 내년 6월 말까지 대략적인 추가 부실이 얼마나 발생할지 추정했다.
그는 현재는 구조조정 대상이 아닌, 즉 ‘양호·보통’인 브릿지론 사업장 중 20~30%가 ‘유의이하’ 우려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캐피탈업계는 35.7%, 증권업계는 44.9%, 저축은행은 54.0%으로 각각 16.1%포인트, 13.2%포인트, 11.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내년 6월 말께는 브릿지론에 대한 손실 인식이 어느 정도 마무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브릿지론에 대한 충당금이 저희가 판단하는 적정 수준에 상당히 가까워지기 때문”이라며 “바꿔말하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부담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것인데 중소형 증권사와 에이급 캐피탈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형 증권사나 A급 캐피탈사 중에서 지나치게 부동산에 편중된 수익 구조를 보유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같은 경우 충당금 부담을 흡수할 정도의 이익을 내는 내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며 ”부진한 수익성의 원인이 PF 부실로 인한 단기적 손실 이유인지 수익 위축으로 인한 이익 창출력 이슈인지를 신용도 판단에 있어 중요하게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합리적인 PF 사업성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6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개선했다. 브리지론·본PF별 핵심 위험 요인을 반영해 평가 기준을 객관화·구체화했다. 또 사업성 평가등급을 확대해 3단계에서 4단계로 확대했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울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내년 강남권 아파트 보유세가 올해보다 20~3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8.1% 올랐다. 9월 지수가 하락했고 12월까지 하락세가 이어져도 작년보다 아파트 공시가격이 올라 보유세는 상승분 만큼 높아질 수 있다. 19일 서울 시내 아파트단지의 모습. 2024.11.19. mangusta@newsis.com
금융당국이 6월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개선한 가운데, 증권사·캐피탈사 등이 내년 6월 말께 PF익스포저 중 ‘유의·부실우려’로 분류된 부실 채권권에 대한 손실 인식을 마무리지으며 부실 채권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신용평가는 무디스와 함께 20일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발제자로는 위지원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실장이 나서 ‘PF구조조정과 금리환경, 변화, 환국 비은행금융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란 주제로 발표했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1차 사업성 평가대상 결과 전 금융업권 PF익스포저(위험노출액) 217조원 중 약 10%가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부실우려’로 분류됐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증권사, 여전사에서 대부분이 발생했는데, ‘유의이하 규모’는 상호금융이 약 10조원으로 가장 컸지만, 비중은 저축은행이 28%로 가장 컸다. 브릿지론으로만 대상으로 할 경우 42%로 치솟았다.
위지원 실장은 “지난해 발표 때만 해도 PF 리스크가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지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컸다”며 “지금은 구조조정 기준이 정리 방향에 대해 합의가 됐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낮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구조조정의 첫 단계인 손실 인식도 어느 정도 이뤄진 상황”이라며 “문제는 부실의 정리인데 아직까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는 “국내 부실 채권 시장 규모는 연간 4조원 내외인데 구조조정 대상 여신 21조원은 할인을 감안하더라도 적지 않은 규모고 무엇보다 구조조정 대상 사업장의 대부분이 지방의 토지기 때문에 사업성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구조조정 개시 이후 1년 후인 내년 6월 말까지 대략적인 추가 부실이 얼마나 발생할지 추정했다.
그는 현재는 구조조정 대상이 아닌, 즉 ‘양호·보통’인 브릿지론 사업장 중 20~30%가 ‘유의이하’ 우려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캐피탈업계는 35.7%, 증권업계는 44.9%, 저축은행은 54.0%으로 각각 16.1%포인트, 13.2%포인트, 11.8%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내년 6월 말께는 브릿지론에 대한 손실 인식이 어느 정도 마무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브릿지론에 대한 충당금이 저희가 판단하는 적정 수준에 상당히 가까워지기 때문”이라며 “바꿔말하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부담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것인데 중소형 증권사와 에이급 캐피탈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형 증권사나 A급 캐피탈사 중에서 지나치게 부동산에 편중된 수익 구조를 보유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같은 경우 충당금 부담을 흡수할 정도의 이익을 내는 내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며 ”부진한 수익성의 원인이 PF 부실로 인한 단기적 손실 이유인지 수익 위축으로 인한 이익 창출력 이슈인지를 신용도 판단에 있어 중요하게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합리적인 PF 사업성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6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개선했다. 브리지론·본PF별 핵심 위험 요인을 반영해 평가 기준을 객관화·구체화했다. 또 사업성 평가등급을 확대해 3단계에서 4단계로 확대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맹승지, 사랑니 빼고 예뻐졌다?…“원래 얼굴보다 괜찮은 듯”
- 배우 김승우, 리틀야구연맹 회장 출마 “새로운 도약”
- 아이유 광고모델 쓴 기업에 불똥?…“해지했다” vs “오히려 잘 팔릴듯”
- “구릿값 비싸다더니…” 밤마다 케이블 야금야금 훔친 60대
- “사람에게 먹힌 것”…英 청동기 유골서 학살·식인 흔적 발견
- god 손호영, 카페 알바 근황…훈훈 미소
- “지점토 씹는 맛” 투뿔 한우 육사시미 ‘충격’…“뿔 두개 달린 소 아니냐”
- ‘강북 햄버거 가게 돌진’ 70대 운전자, 불구속 송치
- 너무 생소해서? 한강 ‘한국어 호명’ 막판 무산된 까닭
- “수업 대신 탄핵 집회” 학생 메일에…“용기 내어 전진하길” 교수 답장
- 폐의약품·커피캡슐 회수…우체통 40년 만에 바뀐다
- 저성장 시대…‘포장은 낱개, 가격은 저렴’ 트렌드 급부상
- 노후자금까지 영끌… 작년 3만4000명 퇴직연금 깨서 집 샀다
- 노인일자리 月40만원 이하 용돈벌이 수준… 중장년 근로자 34%는 임시직
- 8년 전 탄핵 때 부동산 어땠나…거래 급속 냉각→헌재 결정 이후 회복
- 대학생 알바 예정자, “올해 겨울알바 구하기 더 어렵다”
- 퇴직금 깨서 집 샀다…작년 중도인출 6.4만명, 80% “집 때문에”
- 재계 “반도체법 등 무쟁점 12개 법안 조속 통과를”
- 韓 스마트폰 시장 10.7% 역성장…스마트폰 가격 인상 탓
- 소상공인 절반 “비상계엄으로 피해”…연말 기대감도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