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전기차 주행거리 반토막…“충전 난민이 따로 없었다”
변종국 기자 , 김재형 기자
입력 2023-01-25 16:48:00 수정 2023-01-25 17:03:07

전기차를 2년 간 탄 한모 씨는 지난 설 연휴에 차 대신 고속철도를 이용해 고향인 대구를 찾았다. 평소 kWh(킬로와트시) 당 6~7㎞정도 나오던 전기차 전비가 겨울이 되면서 3~4㎞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 씨는 “한파로 주행거리가 더 짧아질 수 있어 기차를 타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또 다른 전기차주 이모 씨는 서울에서 강원도까지 가려고 아예 내연 기관차를 빌렸다. 이 씨는 “전비가 이미 30~40%는 떨어져 있더라”며 “내연기관차는 여차하면 기름통을 들고 뛸 수라도 있지 않냐”고 말했다.
겨울철만 되면 급격히 줄어드는 전기차 주행거리 때문에 차주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저온 상태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이 둔해지면서 성능이 떨어진다.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이유다.
25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국내에 출시된 전기차의 상온(25도)과 저온(영하 7도)에서의 1회 충전 시 주행가능거리는 최대 110km 이상 차이가 난다. 지난해 8월 출시된 현대차 ‘아이오닉6’(롱레인지 2WD 기준)는 상온에서 544km를 한 번에 가지만, 저온에서는 116km(21.3%) 짧은 428km가 한계다. 기아 ‘니로EV’도 상온(404km)과 저온(303km) 간의 주행가능거리 차이가 101km(25.0%)에 달한다. 여기에 히터를 틀거나 영하로 기온이 떨어지면 주행거리는 더 짧아진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한파가 몰아쳤던 이번 설 연휴 기간에 예상치 못한 불편을 겪은 차주들의 경험담이 줄을 잇고 있다. “주행가능거리가 빠르게 줄어드는데 심장이 쫄깃 했다” “히터를 켜니 배터리 주행거리가 녹아내리더라” “충전소마다 밀려 있어 충전 난민이 따로 없었다” 등이다.
전기차를 모는 택시와 택배 기사들도 혹독한 겨울나기는 마찬가지다. 택시업계 관계자는 “손님을 태우는데 히터를 안 켤 수도 없다. 겨울엔 하루 두 번 이상 충전을 해야 하니 시간이 돈인 기사들로선 답답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충전 인프라 부족도 문제다. 고속도로에서 ‘충전소 레이스’를 펼친다는 농담섞인 하소연까지 나온다. 게다가 겨울철엔 충전 속도도 느려진다.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성능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지만 아직 초기 단계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행거리는 배터리성능뿐만 아니라 주행 습관이나 외부 환경 등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며 “전기차는 아직 혁신의 과정에 있다”고 지적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비즈N 탑기사
- 컵라면 한 박스인 줄 알고 샀더니…한 개에 2만원?
- 이집트 신전서 ‘양머리 미라’ 2000개 발견돼
- 여친에 청혼하기 위해 ‘가짜 버스시간표’ 설치한 英 남성
- 혀로 ‘쏙쏙’ 젠가 뽑기…세상 가장 긴 혀 가진 男, 기네스 새기록
- 밤하늘 위 수상한 불빛, UFO인줄 알았는데…알고 보니?
- 中에 차량 뒤덮는 벌레 비?…정체는 “OOO 인듯”
- 제주에 노란 개나리 ‘활짝’…작년·평년 보다 4일 빨리 ‘개화’
- “짜장면 1개에 5만5000원 기부” 자랑…알고보니 ‘설정샷’
- ‘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 ‘에에올’ 아카데미 작품상…괴짜 듀오에 반했다
- 금리 일제히 ‘뚝’…은행들, 대출보다 예금금리 더 내렸다
- [단독]재고만 110조…100대 기업 활력 잃어간다
- 10명 중 4명 AI 써봤다…인터넷 신기술, 일상생활 확산세
- ‘MZ사원 확보’ 사내복지로 승부한다…집청소까지 등장
- 국세 체납 ‘100조원 돌파’ 강남서 최다…세수 1위는 남대문
- “日서 떡볶이 매출 41억”… 정부 지원으로 활로 개척
- 원희룡 “수년간 소득대비 ‘집값’ 비정상…최소 연말까지 집값 하향 전망”
- [단독]소액생계비 대출 예약, 40대가 31% 가장 많아
- “오프라인 모임, 코로나 전보다 55% 감소…회복세 더뎌”
- 서울 빌라 낙찰률 역대 최저 수준으로 ‘뚝’…10채 중 1채만 겨우 낙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