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신혼부부 無자녀 비중 가장 커…“복지 공백 줄여야”
뉴스1
입력 2024-12-19 18:48 수정 2024-12-19 18:49
합산 소득 7천만~1억 신혼부부 無자녀 비중 53.1%
1억 이상은 53%…7천만 미만은 有자녀 비중 더 커
요즘 주변을 보면 서울 맞벌이 기준 신혼부부 합산 소득이 8000만 원에서 1억 원 정도가 평균으로 느껴져요. 체감 소득이 높지 않은데 정부 지원을 알아보면 해당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물론 저소득층을 우선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희 같은 사람들도 혜택이나 지원이 있어야 출산을 고려할 것 같습니다. (대기업에 다니는 20대 후반 직장인 김진수 씨)
부부 합산 연 소득이 7000만 원에서 1억 원 사이인 신혼부부의 무자녀 비중이 전 소득 구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공급부터 출산·육아 관련 복지가 저소득 가구에 집중된 결과로, 부유층도 저소득층도 아닌 이른바 ‘끼인 계층’을 위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한 지 1~5년 차 초혼 신혼부부 76만 9067쌍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52.5%, 자녀가 없는 비중은 47.5%로 집계됐다.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없음 비중이 47%를 넘어선 건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부부의 합산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가 있을 것이란 일반적인 통념도 빗나갔다.
출산과 양육에 드는 경제적 비용이 적지 않은 만큼 안정적인 소득이 출산율을 높인단 게 우리 사회의 인식이지만, 부부합산 소득이 높을수록 무자녀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다.
부부합산 소득(세전 기준)이 ‘7000만~1억 원 미만’인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없음 비중은 53.1%로 전 소득 구간 중 가장 높았다.
또 해당 통계에서 가장 높은 소득 구간인 ‘1억 원 이상’에서도 자녀 없음 비중이 53.0%로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연 평균소득이 ‘7000만원 미만’인 모든 구간에선 ‘자녀 있음’ 비중이 높았다.
소득 구간별 자녀 있음 비중을 보면 △‘1000만 원 미만’ 57.1% △‘1000만~3000만 원 미만’ 58.8% △‘3000만~5000만 원 미만’ 58.0% △‘5000만~7000만원 미만’ 55.1% 등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고소득 구간에서 자녀 없음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맞벌이 부부에 비해 유자녀 비중이 높은 외벌이 부부도 포함된 통계라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외벌이 부부의 소득이 맞벌이 부부보다 낮은 점을 감안하면 소득 수준과 자녀 유무 간 상관관계를 해당 통계를 통해 단순히 비교하긴 어렵다는 의미다.
다만 소득과 출산 간 관계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출산율을 제고하려면 정책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책을 늘려야 한다는 게 인구 전문가의 제언이다.
김조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현재 중산층에 대한 복지 부재가 출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걸로 안다”며 “특히 서울이나 수도권은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부담이 큰데 여러 가지 복지 혜택의 범위를 조금은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어 “예컨대 소득은 높은데 자산이 적은 가구라면 이들에 한해 소득 인정 기준을 좀 더 넓혀주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세종=뉴스1)
1억 이상은 53%…7천만 미만은 有자녀 비중 더 커
정부의 대출규제 여파로 매수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사진은 지난 1일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2024.12.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요즘 주변을 보면 서울 맞벌이 기준 신혼부부 합산 소득이 8000만 원에서 1억 원 정도가 평균으로 느껴져요. 체감 소득이 높지 않은데 정부 지원을 알아보면 해당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물론 저소득층을 우선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희 같은 사람들도 혜택이나 지원이 있어야 출산을 고려할 것 같습니다. (대기업에 다니는 20대 후반 직장인 김진수 씨)
부부 합산 연 소득이 7000만 원에서 1억 원 사이인 신혼부부의 무자녀 비중이 전 소득 구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공급부터 출산·육아 관련 복지가 저소득 가구에 집중된 결과로, 부유층도 저소득층도 아닌 이른바 ‘끼인 계층’을 위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한 지 1~5년 차 초혼 신혼부부 76만 9067쌍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52.5%, 자녀가 없는 비중은 47.5%로 집계됐다.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없음 비중이 47%를 넘어선 건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부부의 합산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가 있을 것이란 일반적인 통념도 빗나갔다.
출산과 양육에 드는 경제적 비용이 적지 않은 만큼 안정적인 소득이 출산율을 높인단 게 우리 사회의 인식이지만, 부부합산 소득이 높을수록 무자녀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다.
부부합산 소득(세전 기준)이 ‘7000만~1억 원 미만’인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없음 비중은 53.1%로 전 소득 구간 중 가장 높았다.
또 해당 통계에서 가장 높은 소득 구간인 ‘1억 원 이상’에서도 자녀 없음 비중이 53.0%로 두 번째로 높았다.
반면 연 평균소득이 ‘7000만원 미만’인 모든 구간에선 ‘자녀 있음’ 비중이 높았다.
소득 구간별 자녀 있음 비중을 보면 △‘1000만 원 미만’ 57.1% △‘1000만~3000만 원 미만’ 58.8% △‘3000만~5000만 원 미만’ 58.0% △‘5000만~7000만원 미만’ 55.1% 등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고소득 구간에서 자녀 없음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맞벌이 부부에 비해 유자녀 비중이 높은 외벌이 부부도 포함된 통계라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외벌이 부부의 소득이 맞벌이 부부보다 낮은 점을 감안하면 소득 수준과 자녀 유무 간 상관관계를 해당 통계를 통해 단순히 비교하긴 어렵다는 의미다.
다만 소득과 출산 간 관계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출산율을 제고하려면 정책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책을 늘려야 한다는 게 인구 전문가의 제언이다.
김조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현재 중산층에 대한 복지 부재가 출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걸로 안다”며 “특히 서울이나 수도권은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부담이 큰데 여러 가지 복지 혜택의 범위를 조금은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이어 “예컨대 소득은 높은데 자산이 적은 가구라면 이들에 한해 소득 인정 기준을 좀 더 넓혀주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세종=뉴스1)
비즈N 탑기사
- 맹승지, 사랑니 빼고 예뻐졌다?…“원래 얼굴보다 괜찮은 듯”
- 배우 김승우, 리틀야구연맹 회장 출마 “새로운 도약”
- 아이유 광고모델 쓴 기업에 불똥?…“해지했다” vs “오히려 잘 팔릴듯”
- “구릿값 비싸다더니…” 밤마다 케이블 야금야금 훔친 60대
- “사람에게 먹힌 것”…英 청동기 유골서 학살·식인 흔적 발견
- god 손호영, 카페 알바 근황…훈훈 미소
- “지점토 씹는 맛” 투뿔 한우 육사시미 ‘충격’…“뿔 두개 달린 소 아니냐”
- ‘강북 햄버거 가게 돌진’ 70대 운전자, 불구속 송치
- 너무 생소해서? 한강 ‘한국어 호명’ 막판 무산된 까닭
- “수업 대신 탄핵 집회” 학생 메일에…“용기 내어 전진하길” 교수 답장
- 흑돼지인데 줄무늬가?…농진청, 유전자 진단 기술 털색 균일성 개선
- 이명희 회장 한남동자택 ‘297억’…단독주택 공시가 10년째 1위[2025공시가]
- ‘중산층’ 신혼부부 無자녀 비중 가장 커…“복지 공백 줄여야”
- 내년 소비 더 위축…국민 53% “가계 지출 줄인다”
- 동막골 체험-논길 자전거 여행… 농촌 매력 알린 크리에이투어
- 40대 미혼율, 20년 만에 男 6.7배·女 5.7배 늘었다
- 온누리상품권 환전액, 월 5000만원 제한…구매는 50만원
- 기업이 뽑은 올해의 HR 이슈…‘청년층 구인난·조기퇴사’
- 저출산에 작년 육아휴직 부모 첫 감소…엄마가 아빠 ‘2.9배’
- 흔들리는 ‘富의 사다리’, 청년 18% 소득계층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