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근영병’ 급성구획증후군 아시나요?
김윤종기자
입력 2017-07-17 03:00 수정 2017-07-17 03:00
팔다리 근육 조직 4∼8시간內 괴사… 잘못된 운동-자세로 발생하기도
근육이 몇 개씩 한 덩어리를 이룬 ‘구획’ 내 염증이 생겨 주변부의 압력이 높아진 모습(왼쪽). 근막을 절개해 구획 내 압력을 감소시키는 수술(오른쪽)로 치료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최근 ‘급성구획증후군’이란 병이 세간에 화제다. 10대 시절 ‘국민여동생’으로 불린 배우 문근영 씨(31·사진)가 이 질환에 걸려 4차례나 수술을 해서다. 문 씨는 완치 때까지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인터넷 게시판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도대체 무슨 병이냐’는 질문이 쇄도했다.
‘구획증후군’을 제대로 알려면 근육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신체의 팔, 어깨, 다리 등은 근육이 몇 개씩 한 덩어리를 이뤄 ‘구획’을 형성한다. 즉, 여러 개 근육의 한 집단이 구획이다.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해당 구획 내에 압력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의 동맥이 압박을 받아 혈액 공급이 차단된다. 결국 근육을 비롯한 여러 조직이 4∼8시간 내에 괴사하는 질환이 ‘구획증후군’이다.
구획증후군 환자 수는 최근 10년간 급증했다. 16일 동아일보 취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2007∼2016년 국내 구획증후군 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2007년 499명에서 지난해 773명으로 55%가 증가했다. 특히 남성 환자(497명)가 여성(276명)보다 월등히 많았다. 연령별로는 고르게 나타났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구획증후군이 생기면 팔 또는 다리 근육이 붓고 통증이 심해진다. 자칫 운동장애로 악화될 수 있다. 구획증후군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 급성은 골절 타박과 같은 외상 후 근육 조직이 심하게 부어 혈관과 신경에 손상을 주는 과정에서 생긴다. 서울아산병원 김재광 정형외과 교수는 “만성은 잘못된 운동이나 자세 등 반복적 동작으로 근육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팔, 다리가 다쳐 석고붕대 등으로 강하게 동여맬 때도 구획증후군이 생긴다. 구획 내 압력을 측정해 30mmHg를 초과하거나 근전도, 조직검사에서 근육의 괴사나 섬유화가 관찰되면 구획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이 경우 하루빨리 치료하거나 수술을 받아야 한다. 급성의 경우 심한 외상 후에 생기기 때문에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때는 근막을 절개해 구획 내 압력을 감소시키는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구획증후군’을 제대로 알려면 근육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신체의 팔, 어깨, 다리 등은 근육이 몇 개씩 한 덩어리를 이뤄 ‘구획’을 형성한다. 즉, 여러 개 근육의 한 집단이 구획이다.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해당 구획 내에 압력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의 동맥이 압박을 받아 혈액 공급이 차단된다. 결국 근육을 비롯한 여러 조직이 4∼8시간 내에 괴사하는 질환이 ‘구획증후군’이다.
구획증후군 환자 수는 최근 10년간 급증했다. 16일 동아일보 취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2007∼2016년 국내 구획증후군 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2007년 499명에서 지난해 773명으로 55%가 증가했다. 특히 남성 환자(497명)가 여성(276명)보다 월등히 많았다. 연령별로는 고르게 나타났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구획증후군이 생기면 팔 또는 다리 근육이 붓고 통증이 심해진다. 자칫 운동장애로 악화될 수 있다. 구획증후군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 급성은 골절 타박과 같은 외상 후 근육 조직이 심하게 부어 혈관과 신경에 손상을 주는 과정에서 생긴다. 서울아산병원 김재광 정형외과 교수는 “만성은 잘못된 운동이나 자세 등 반복적 동작으로 근육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팔, 다리가 다쳐 석고붕대 등으로 강하게 동여맬 때도 구획증후군이 생긴다. 구획 내 압력을 측정해 30mmHg를 초과하거나 근전도, 조직검사에서 근육의 괴사나 섬유화가 관찰되면 구획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이 경우 하루빨리 치료하거나 수술을 받아야 한다. 급성의 경우 심한 외상 후에 생기기 때문에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 이때는 근막을 절개해 구획 내 압력을 감소시키는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한미, 이번주 ‘2+2’ 통상협의… 트럼프 직접 나설수도
- “머스크는 안 팔았어?”…저커버그, 관세폭탄 직전 주식 대거 매도
- [단독]‘쌀값 폭등’ 일본, 35년만에 한국쌀 첫 수입
- 8대 ‘비관세 부정행위’ 콕 집은 트럼프 …첫 번째는 ‘환율 조작’
- 이마트, 푸드마켓 영토확장… “고덕점이어 연내 더 연다”
- 대선 앞둔 불확실성에 공급 관망세… 1분기 분양, 계획 대비 40% 수준
- “토허제에도 강남은 강남”…50억 이상 거래 올들어 2배 늘어
- ‘중증외상·폭싹’ 덕분에…넷플릭스, 1분기 실적도 ‘맑음’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오른다
- 1분기 김 수출액 2.8억 달러 ‘사상 최대’…“K-김, 美中시장 장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