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폴크스바겐에 7조원 배터리 공급
서동일기자
입력 2017-06-13 03:00 수정 2017-06-13 03:00
전기차 셀 역대최대 규모 수주
LG화학이 독일 폴크스바겐과 7조 원 규모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단일 기업 간 배터리 셀 공급 계약 중 역대 최대 규모다.
12일 본보 취재 결과 LG화학은 최근 폴크스바겐의 전기차 ‘MEB(Modular Electric Drive) 프로젝트’의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따냈다. 끝까지 경쟁한 중국 CATL을 제쳤다.
폴크스바겐은 지난해 10월 파리모터쇼에서 MEB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100% 전기차 전환’을 선언했다. 우선 2025년까지 전기차 30여 종을 출시하는 게 목표다.
LG화학의 이번 공급계약은 폴크스바겐 전기차 전체의 플랫폼을 선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폴크스바겐의 MEB 프로젝트는 배터리를 중심으로 차량 골격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른 차체를 덮는 방식이다. 우선 계약 규모는 7조 원이지만 프로젝트 성공 여부에 따라 추가 수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지난해 출하량 기준 ‘톱5’ 전기차 배터리업체 중에는 비야디(BYD), CATL 등 중국 기업이 4곳이나 된다. LG화학은 6위에 올라 있다. 국내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의 가격경쟁력보다 LG화학의 기술력이 더 인정받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서동일 기자 dong@donga.com
LG화학이 독일 폴크스바겐과 7조 원 규모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단일 기업 간 배터리 셀 공급 계약 중 역대 최대 규모다.
12일 본보 취재 결과 LG화학은 최근 폴크스바겐의 전기차 ‘MEB(Modular Electric Drive) 프로젝트’의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따냈다. 끝까지 경쟁한 중국 CATL을 제쳤다.
폴크스바겐은 지난해 10월 파리모터쇼에서 MEB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100% 전기차 전환’을 선언했다. 우선 2025년까지 전기차 30여 종을 출시하는 게 목표다.
LG화학의 이번 공급계약은 폴크스바겐 전기차 전체의 플랫폼을 선점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폴크스바겐의 MEB 프로젝트는 배터리를 중심으로 차량 골격을 먼저 만들고 그 위에 모델에 따라 각기 다른 차체를 덮는 방식이다. 우선 계약 규모는 7조 원이지만 프로젝트 성공 여부에 따라 추가 수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지난해 출하량 기준 ‘톱5’ 전기차 배터리업체 중에는 비야디(BYD), CATL 등 중국 기업이 4곳이나 된다. LG화학은 6위에 올라 있다. 국내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의 가격경쟁력보다 LG화학의 기술력이 더 인정받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서동일 기자 dong@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K컬처 앞세운 K뷰티, 佛 제치고 美 화장품 수입 1위
- “인뱅도 뚫렸다”…토스뱅크 28억 횡령, 어떻게 가능했나
- 10년간 시세차익 효자는…서울 신축·경기 구축 국민평형
- SKT 신규영업 50일만에 재개… 보조금 경쟁 예고
- 기업 82% “경력직만 채용”…청년 “경력 채용, 또 하나의 진입장벽”
- ‘5060 쌈짓돈’ 배당주 투자땐 배당 지속성-자사주 소각 살펴야
- “일 경험 기회” vs “싼 임금 창구”… ‘양날의 검’된 채용전환인턴
- 저성장-고령화시대 ‘제2의 월급통장’ 月배당 ETF 인기몰이
-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이번 주말부터 오른다…1400원→1550원
- 3분기 전기요금 ‘동결’…연료비조정단가 ‘㎾h당 5원’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