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7017의 두 가지 시선… 새로운 서울의 랜드마크 vs 애물단지

동아경제

입력 2017-06-03 13:52 수정 2017-06-03 13:57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5월 20일 저녁 조명이 켜진 서울 중구 중림동 서울로7017.[뉴스1]

개장 맞아 주말 동안 많은 인파가 찾았지만 그만큼 불만도 많아

고가도로 철거에 따른 교통 불편과 600억 원 가까이 드는 사업 예산으로 공사 기간 내내 서울시민의 관심을 모았던 서울시 공중공원 ‘서울로7017’(서울로)이 5월 20일 문을 열었다. 서울로의 개장 성적은 좋다. 주말인 20일과 21일 약 25만 명의 방문객이 몰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서울로가 관광객은커녕 서울시민에게도 외면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월 20, 21일 찾은 서울로는 바닥이 콘크리트로 마감돼 일반 공원에 비해 훨씬 더웠다. 게다가 외곽에 놓인 거대한 화분들 때문에 보행로가 좁아 통행이 불편했다. 이외에도 서울로가 고가에 만든 정원인 만큼 추락이나 물건 투기 등 안전 불안 요소가 많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서울시는 부대시설을 확충하고 공원 내·외부의 즐길 거리를 늘려 공원으로 이용하기 편리하게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로는 밤이 낮보다 아름답다
5월 21일 오후 붐비는 서울로 7017의 모습. 보행로가 좁아 통행이 불편할 정도다.[뉴스1]

서울로7017이라는 이름은 서울로의 전신인 ‘서울역고가도로’와 관련이 있다. 1970년 차량용 고가도로로 만들어진 서울역고가도로가 2017년 국내 최초 공중보행로로 재탄생했다는 의미다. 숫자를 뺀 서울로는 ‘서울을 대표하는 길’이라는 의미와 ‘서울로 향하는 길’이라는 의미를 함께 품고 있다.

서울역고가도로는 철로로 차량통행이 단절된 도심과 남대문시장 일대, 용산구 만리동·청파동 일대를 잇는 기능을 해왔다. 특히 서울역고가도로는 소규모 봉제공장들이 자리한 만리동·청파동·서계동과 남대문·동대문시장을 잇는 지름길로서 산업 도로의 구실을 톡톡히 해왔다.

서울역고가도로는 2006년 정밀안전진단에서 최하 등급인 D를 받았다. 이후 보수공사를 거쳤지만 2012년 정밀안전진단에서 다시 D등급 성적표를 기록했다. 서울역고가도로가 노후화돼 하루 4만6000대 차량이 지나다니는 하중을 버틸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 것.

서울역고가도로는 2013년 감사원 감사에서 차로로서 수명을 다했다는 평가를 받고 철거될 운명에 처했다. 철거 날짜만 기다리던 서울역고가도로는 2014년 4월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시로 공원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하중을 버티지 못해 도로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보도로 재활용하자는 것. 2015년 서울시는 미국 뉴욕 하이라인 파크(Highline Park)를 본떠 서울역고가도로를 공원으로 만들기로 결정하고 같은 해 12월 폐쇄했다. 이후 예산 597억 원을 들여 1년 반 동안 공사해 5월 20일 공중공원으로 재탄생했다.

서울시 추산에 따르면 개장 행사가 열린 5월 20일에는 약 15만 명, 개장 다음 날인 21일에는 약 10만 명이 이 공중공원에 올랐다. 개장일인 20일 저녁의 서울로는 아름다웠다. 서울로에 촘촘히 설치된 111개 가로등에 달린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555개가 시간대에 따라 다채로운 불빛을 뿜어냈다. 서울로 양끝에 늘어선 화분의 나뭇잎들이 이 빛을 반사해 마치 별이 반짝이는 것 같았다. 이는 서울로 설계자인 네덜란드 출신 건축가 비니 마스가 구상한 ‘짙푸른 은하수’를 재현한 모습이다. 17m 높이에서 내려다보는 서울 야경은 다른 전망대처럼 서울 전역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서울역 청사 앞 15개 차로를 오가는 차량의 불빛이 물처럼 흐르는 듯해 방문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서울로, 거대한 육교일 뿐
서울역광장과 서울로7017을 잇는 조형물 ‘슈즈 트리’. 황지해 작가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신발 3만 켤레로 이뤄진 높이 17m, 길이 100m의 대형 설치미술 작품이다. [박세준 기자]

그러나 해가 뜨자 밤의 장점이 대부분 단점으로 바뀌었다. 일단 서울로를 메운 화분과 가로등 등 설치물 탓에 보행로가 너무 좁았다. 공중정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서울로에는 식물 2만4058주가 심긴 콘크리트 화분 645개가 놓여 있다. 보행로 폭은 10.3m에 불과한데 화분의 최대 지름은 4.8m에 이른다. 인파가 몰린 21일 낮 서울로는 꽉 막힌 일차선 도로를 방불케 했다. 화분과 구조물 때문에 좁아진 보행로에 인파가 몰리니 일부 구간에서는 사람 정체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혼잡을 막고자 서울시 관계자들이 적정 수용 인원인 5000명씩만 서울로에 오를 수 있도록 안내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서울로는 주말 명동 거리처럼 붐벼 제대로 걸을 수 없었다.

서울 금천구에서 연인과 함께 서울로를 찾은 정모(25·여) 씨는 “국내 최초 공중공원이라기에 기대를 많이 했는데 막상 와보니 좁아서 편하게 쉴 수가 없다. 공원이라기보다 예쁘게 꾸며놓은 육교 같다”고 말했다. 서울로에는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도 있었지만 사람이 몰리는 일부 구간에서는 무용지물이었다.

밤에는 다채로운 불빛에 물들던 콘트리트도 낮에는 햇빛을 반사해 관람객을 덥게 만들었다. 서울시에서는 천막과 안개형 분수를 설치해 더위를 잡으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시민은 대부분 양산을 펼치거나 손부채를 부쳐가며 서울로를 걸었다. 서울 양천구의 홍모(56) 씨는 “공원이라기에 나무 그늘도 있고 시원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인 줄 알았는데 콘크리트 바닥이라 너무 덥다. 이럴 바에는 가까운 한강으로 나갈걸 그랬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더운 날씨 때문에 콘크리트 화분에 담긴 식물들도 힘없어 보였다. 서울 관악구의 윤모(23) 씨는 “살아 있는 식물도감 수준으로 많은 식물을 볼 수 있다기에 야외 식물원을 기대했지만 아직 나뭇잎이나 가지가 무성하지 않다. 게다가 콘크리트 화분과 덜 자란 나무들 탓에 황량한 느낌마저 든다”고 밝혔다.

서울로에서 내려다보는 서울역 인근의 풍경도 밤과는 달랐다. 밤에는 조명 덕에 제법 운치 있어 보이던 도로와 건물들이 낮에는 시야를 막는 방해물이 됐다. 그나마 눈길을 끄는 것은 서울역광장부터 서울로까지 100m길에 걸쳐 설치된 ‘슈즈 트리’였다. 슈즈 트리는 환경미술가 황지해 작가가 서울시의 의뢰를 받아 헌 신발 3만 켤레로 만든 설치미술 작품이다. 밤에는 신발들 사이사이로 연결된 LED 조명에 불이 들어와 그 나름 트리 느낌이 났으나 햇빛 아래에서는 그저 신발 무더기일 뿐이었다.

서울 한 사립대에서 건축을 전공한다는 박모(25) 씨는 “멀리서는 다채로운 신발 색 덕에 신기해 보였는데 막상 가까이 와보니 거대한 신발 폐기장 같다”고 밝혔다. 대학생 이모(24·여) 씨도 “오래된 신발이 모여 있어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 슈즈 트리는 5월 20~29일 9일간 운영되며 소요 예산은 약 1억 원이다.

서울역고가도로가 서울로로 바뀐 가장 큰 이유가 안전 문제였기에 서울시는 전체 사업비 597억 원 중 40% 이상(247억 원)을 안전보강에 투입했다. 하지만 서울로도 마냥 안전한 공간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1.4m의 강화유리 난간은 아이들의 추락은 완벽하게 막을 수 있겠지만 어른들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5월 21일 오후 서울로에서는 난간 밖으로 몸을 내미는 방문객을 서울로 관리 직원이 제지하는 모습을 가끔 볼 수 있었다.

게다가 난간 밖으로 물건을 버리지 말라는 주의문이 여기저기 붙어 있었지만 전단 등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도 종종 눈에 띄었다. 서울 성동구의 김모(25·여) 씨는 “캔이나 병을 서울로 밑 도로에 버릴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방문객이 난간 밖으로 쓰레기를 투기하지 못하도록 서울시에서 관리·감독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추락 및 물건 투기를 막기 위해 서울로에 폐쇄회로(CC)TV 29대를 설치해 관리사무소에서 상시 관리·감독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외에도 경비 인력 16명을 24시간 배치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10명을 진출입로에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서울로 대신 대체도로를 만들었다면

서울역고가도로가 사라지고 서울로가 들어서자 서계동·청파동의 소규모 봉제공장과 중구 염천교 수제화 거리의 상인들은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고가도로가 사라지면서 서울 시내 교통 흐름이 바뀌어 운송비용이 늘고 시장을 찾는 고객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 인근 상인들은 고가도로를 대체할 새 도로를 갖춘 뒤 공원화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지만 ‘보행친화 도시를 만들겠다’는 시의 방침에 밀려 대체도로 건립은 이뤄지지 않았다.

당초 서울역고가도로가 감당하던 차량들은 서울역을 우회한다. 만리재로와 퇴계로로 운행하는 차량은 염천교를 건너거나 숙명여대 입구 앞 교차로를 지나 한강대로를 통과하는 식으로 서울역 철도를 끼고 돌아야 한다. 현재 서계동과 청파동 일대에는 2000여 개에 이르는 소규모 봉제공장이 모여 있다. 이들은 동대문·남대문시장으로 매일 제품을 실어 날라야 한다.

소규모 봉제공장을 운영하는 임모(55) 씨는 “서울역고가도로가 있을 때는 동대문시장까지 10분이면 제품을 배달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서울역을 우회해야 하니 시간이 더 걸린다. 이동거리가 많이 늘진 않았지만 중간중간 교통신호 때문에 멈추는 것을 감안하면 배달에 최대 30분 걸린다. 일부 상인은 동대문시장과 가까운 신당동으로 공장을 옮기기도 했다”고 밝혔다.

수제화 거리는 손님이 줄었다. 그동안 염천교 수제화 거리는 주차장을 갖춘 매장이 드물어 소매상이나 개인 고객이 차를 타고 지나다 갓길에 차를 세우고 구두를 사곤 했다. 그러나 고가도로 폐쇄로 우회로인 염천교의 교통량이 급증해 수제화 거리 앞에 차를 세우는 것이 어려워져 손님이 줄어들었다는 게 상인들의 주장이다. 수제화 거리에서 구두 가게를 운영 중인 권모(52) 씨는 “고가도로 폐쇄로 매출이 30~40% 줄어든 가게가 많다”고 말했다.

5월 22일 오후 서울역 앞에서 휴식을 취하던 택시기사 임모(58) 씨는 “서울역을 지나는 교통량은 그대로인데 서울역고가도로가 사라져 교통체증이 과거에 비해 심해졌다.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결하지 않고 공원만 만든 셈”이라며 답답한 심경을 밝혔다.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