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은 해외주식뿐” 끝없는 행렬…순대외금융자산 급증 ‘최대’
뉴스1
입력 2024-11-20 12:14 수정 2024-11-20 12:15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순대외금융자산 9개월째 증가
내국인 해외투자-외국인 국내투자 규모, 최초로 역전
우리나라의 대외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역대 최대 규모를 9개월 연속으로 경신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가 뒷걸음친 반면 우리 거주자의 해외 주식 투자는 활발해진 영향이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를 보면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은 9778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1194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은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4년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다시 쓰고 있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순대외금융자산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3분기 연속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며 “이번 증가 폭은 2021년 3분기(1212억 달러 증가)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규모”라고 말했다.
박 팀장은 “순대외금융자산이 처음으로 9000억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며 “이는 대외금융자산 잔액이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와 함께 작년 4분기 이래 4분기 연속 증가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대외금융자산(거주자의 대외 투자)에서 대외금융부채(외국인의 국내 투자)를 차감한 값이다. 대외금융자산은 국내 투자자가 해외에서 사들인 금융 상품이나 국내 기업이 해외 직접 투자한 금액을, 대외금융부채는 반대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사들인 금융 상품, 외국 기업의 국내 직접 투자 등을 가리킨다.
한국은 2014년부터 대외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순대외자산국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3분기 대외금융자산 규모는 2조 5135억 달러로 1183억 달러 늘어났다.
미국·중국 등 해외 주가 상승과 우리 국민의 해외 주식 투자가 주로 영향을 미쳤다. 대외금융자산에서 증권투자는 3분기 중 646억 달러 훌쩍 뛰었다. 거래 요인과 비거래 요인이 각각 263억 달러, 383억 달러를 차지했다.
대외금융자산과 함께 해외 증권투자 증가 폭 또한 역대 두 번째로 큰 기록으로 나타났다.
박 팀장은 “투자 비중이 가장 큰 미국의 주가 상승에 주로 기인한 것”이라며 “순투자 거래와 평가 잔액이 함께 늘면서 거래 요인과 비거래 요인이 모두 플러스로 작용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미국 증시가 랠리를 지속하는 가운데 유럽연합(EU) 증시가 반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까지 커지면서 미국채 금리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며
사상 최초로 국내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 규모가 외국인의 국내 투자 잔액을 넘기기도 했다.
박 팀장은 “이번 해외증권 투자 잔액 9969억 원은 1조 달러에 근접한 금액으로 통계 편제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투자 잔액을 넘어선 것”이라며 “증권투자도 직접 투자와 같이 자산 잔액의 부채를 역전했하지만, 여타 항목보다 변동성이 매우 큰 증권투자 특성상 향후 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거래 요인은 매매·차입 등 실제 경제적 거래를 통해 자산·부채가 변동한 경우를 의미한다. 비거래 요인은 환율, 주가 변동 등에 따른 자산·부채의 평가손익을 뜻한다.
대외금융부채는 1조 5357억 달러로 11억 달러 감소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267억 달러)가 줄어들면서 대외금융부채 감소세가 2분기 연속으로 이어졌다.
박 팀장은 “외국인들의 부채성 증권투자는 비거래 요인으로 인해 증가한 반면 지분성 증권투자가 외국인 주식 매도 전환과 국내 주가 하락으로 크게 뒷걸음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대외 건전성을 보여주는 단기외채 비율(단기외채/준비자산)은 37.8%로 전 분기보다 3.4%포인트(p) 상승했다.
또 다른 외채 건전성 지표인 단기외채 비중(단기외채/대외채무)도 1.0%p 높아진 21.6%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채무는 각각 대외금융자산·부채에서 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지분·주식(펀드 포함)·파생금융상품을 제외한 규모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 가치가 유동적인 주식 등을 빼고 현시점에서 규모가 확정된 대외자산과 부채만 골라낸 결과다.
박 팀장은 “단기외채 비중과 비율의 직전 3개년도 평균치는 각각 26.1%, 38.4%”라면서 “이번 대외 건전성 지표가 낮은(양호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대내외 거시경제와 외환시장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내국인 해외투자-외국인 국내투자 규모, 최초로 역전
(자료사진) /뉴스1
우리나라의 대외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역대 최대 규모를 9개월 연속으로 경신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가 뒷걸음친 반면 우리 거주자의 해외 주식 투자는 활발해진 영향이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를 보면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은 9778억 달러로 전 분기보다 1194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은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4년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다시 쓰고 있다.
박성곤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순대외금융자산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3분기 연속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며 “이번 증가 폭은 2021년 3분기(1212억 달러 증가)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규모”라고 말했다.
박 팀장은 “순대외금융자산이 처음으로 9000억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며 “이는 대외금융자산 잔액이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와 함께 작년 4분기 이래 4분기 연속 증가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대외금융자산(거주자의 대외 투자)에서 대외금융부채(외국인의 국내 투자)를 차감한 값이다. 대외금융자산은 국내 투자자가 해외에서 사들인 금융 상품이나 국내 기업이 해외 직접 투자한 금액을, 대외금융부채는 반대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사들인 금융 상품, 외국 기업의 국내 직접 투자 등을 가리킨다.
한국은 2014년부터 대외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순대외자산국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3분기 대외금융자산 규모는 2조 5135억 달러로 1183억 달러 늘어났다.
미국·중국 등 해외 주가 상승과 우리 국민의 해외 주식 투자가 주로 영향을 미쳤다. 대외금융자산에서 증권투자는 3분기 중 646억 달러 훌쩍 뛰었다. 거래 요인과 비거래 요인이 각각 263억 달러, 383억 달러를 차지했다.
대외금융자산과 함께 해외 증권투자 증가 폭 또한 역대 두 번째로 큰 기록으로 나타났다.
박 팀장은 “투자 비중이 가장 큰 미국의 주가 상승에 주로 기인한 것”이라며 “순투자 거래와 평가 잔액이 함께 늘면서 거래 요인과 비거래 요인이 모두 플러스로 작용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미국 증시가 랠리를 지속하는 가운데 유럽연합(EU) 증시가 반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까지 커지면서 미국채 금리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며
사상 최초로 국내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 규모가 외국인의 국내 투자 잔액을 넘기기도 했다.
박 팀장은 “이번 해외증권 투자 잔액 9969억 원은 1조 달러에 근접한 금액으로 통계 편제 이후 처음으로 외국인 투자 잔액을 넘어선 것”이라며 “증권투자도 직접 투자와 같이 자산 잔액의 부채를 역전했하지만, 여타 항목보다 변동성이 매우 큰 증권투자 특성상 향후 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거래 요인은 매매·차입 등 실제 경제적 거래를 통해 자산·부채가 변동한 경우를 의미한다. 비거래 요인은 환율, 주가 변동 등에 따른 자산·부채의 평가손익을 뜻한다.
대외금융부채는 1조 5357억 달러로 11억 달러 감소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267억 달러)가 줄어들면서 대외금융부채 감소세가 2분기 연속으로 이어졌다.
박 팀장은 “외국인들의 부채성 증권투자는 비거래 요인으로 인해 증가한 반면 지분성 증권투자가 외국인 주식 매도 전환과 국내 주가 하락으로 크게 뒷걸음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대외 건전성을 보여주는 단기외채 비율(단기외채/준비자산)은 37.8%로 전 분기보다 3.4%포인트(p) 상승했다.
또 다른 외채 건전성 지표인 단기외채 비중(단기외채/대외채무)도 1.0%p 높아진 21.6%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채무는 각각 대외금융자산·부채에서 가격이 확정되지 않은 지분·주식(펀드 포함)·파생금융상품을 제외한 규모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 가치가 유동적인 주식 등을 빼고 현시점에서 규모가 확정된 대외자산과 부채만 골라낸 결과다.
박 팀장은 “단기외채 비중과 비율의 직전 3개년도 평균치는 각각 26.1%, 38.4%”라면서 “이번 대외 건전성 지표가 낮은(양호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대내외 거시경제와 외환시장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비즈N 탑기사
- 범죄? 사고?…시흥 낚시터서 숨진채 발견된 40대 ‘미스터리’
- 도박현장서 압수한 현금 훔쳐 쓴 전직 경찰관 징역 2년
- 정차 중이던 차 들이박고도 직진…70대 여성 ‘운전미숙’ 추정
- ‘싱글맘’ 쥬얼리 이지현, 국숫집 알바한다 “민폐 끼칠까 걱정”
- 세차장 흠집 갈등…“없던 것” vs “타월로 생길 수 없는 자국”
- 덕수궁서 연말에 만나는 ‘석조전 음악회’
- ‘컴퓨터 미인’ 황신혜가 뽑은 여배우 미모 톱3는?
- ‘솔로 컴백’ 진 “훈련병 때 느낀 감정 가사에 담았죠”
- 앙투아네트 300캐럿 목걸이… 소더비 경매서 68억원에 낙찰
- “진짜 동안 비결, 때깔 달라져”…한가인, 꼭 챙겨 먹는 ‘이것’ 공개
- “벌써부터 내년 주담대 신청”…2000조 향하는 가계빚
- OECD도 주목 “韓 발군의 성장”…국민 체감은 ‘꼴찌’ 수준
- 전 세계 TV, 3개중 1개 중국산…삼성·LG 돌파 전략은?
- 청년 일자리 7분기째 ‘내리막’…농림어업·운수·창고 유일하게↑
- ‘4%대 금리’ 예-적금 사라진 저축은행… 특판상품도 실종
- “세계가 열광하는 K콘텐츠”…숨은 조력자는 ‘유통 플랫폼’
- 세계가 주목하는 ‘힙한 아이템’… K한복 날다
- 강남 보유세 최대 39%↑… 반래퍼 959만→1331만원
- 세계로 뻗는 한국 김치… 5조 원 시장, 2050년 15조 원 성장 전망
- 알리·테무 해외직구, 6개월간 판매차단만 1915건…유해물질·감전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