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5.1% “퇴근 후에도 업무와는 연결 중”
뉴시스
입력 2020-10-13 08:09:00 수정 2020-10-13 12:39:58
직장인 72.6%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것”

직장인 45%가 퇴근 후에도 일을 완전히 중단하지는 않은 채 ‘업무와 연결된 상태’라고 답했다.
업무지시 등 비자발적으로 연결된다는 응답보다는 ‘업무를 위한 자기계발’과 ‘일상에서의 업무 인사이트 발굴’ 등 자신의 발전을 위한 연결을 꼽는 응답이 많아 눈길을 끈다.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직장인 632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의 성장’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직장인 78.2%가 ‘일을 통해 나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잡코리아는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총 632명 중 30.2%가 ‘업무를 통한 자기계발 추구’, ‘일상 속 업무 인사이트 발굴’ 등 퇴근 후에도 업무와 연결되어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일과 삶의 균형을 넘어 일과 삶의 조화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이른바 ‘워라블족’이 3명 중 1명꼴로 나타난 것이다.
먼저 퇴근과 동시에 업무 중단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5.1%의 직장인들은 ‘퇴근 후에도 업무를 바로 중단하지 않고 업무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고 답했다. 퇴근해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부장급이 67.9%로 가장 높았으며, ▲대리급도 50.4%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사원급의 경우 ‘퇴근과 동시에 업무를 중단한다’는 응답이 62.6%를 차지해 다른 직급과 확연히 구분되는 차이를 보였다.
잡코리아는 일을 통해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지 여부에 따라 퇴근 후 업무에 연결하는 방식이 달랐다고분석했다.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군의 경우 ‘퇴근 후에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7.0%로 그렇지 않은 응답군보다 8%포인트가량 높았다. 특히 업무와 연결되는 방식도 ‘업무 스킬, 지식 습득 등 자기계발을 통한 연결’이 41.8%, ‘퇴근 후 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업무 인사이트를 발굴’한다는 응답이 29.7%를 차지하는 등 자신의 성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연결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7명꼴로 높았다. 반면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없다’고 답한 응답군에서는 ‘메신저 감옥, 메일 지시 등 내 의사에 반해 업무가 계속된다’는 응답이 52.8%로 크게 높았다.
회사의 성장이 나의 성장과 함께 할 수 있는지 즉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라고 믿는지”에 대해서도 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과 그렇지 않은 직장인 사이에 거리가 있었다. 먼저 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 직장인들은 ‘회사가 잘되면 나에게도 좋은 일이란 어렴풋한 희망이 있다’는 응답이 49.2%로 가장 많았으며 32.0%는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란 믿음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반면 일을 통한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응답군에서는 ‘회사가 잘 되는 것과 나는 무관하다’는 응답이 57.6%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일로 성장이 가능하다고 답한 응답군에 비해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란 믿음’을 꼽는 응답이 5분의 1 수준인 6.5%로 크게 낮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어떻게 해야 일로 성장을 꾀할 수 있다고 생각할까? 잡코리아가 ‘일로 상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복수응답)’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1위는 ‘충분한 경제적 보상(55.7%)’이 차지했다. 이어 ‘질적, 양적으로 충분한 휴식(45.7%)’이 2위를 ‘꾸준한 동기부여(41.7%)’가 3위를 차지했다. ‘업무에 대한 꾸준한 관심(34.0%)’과 ‘뚜렷한 자기계발 의지, 노력(28.1%)’, ‘성장을 독려하는 조직문화(27.3%)’도 일을 통한 성장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이밖에 ‘성취감, 성공한 경험(18.4%)’, ‘권한 부여(8.3%)’, ‘승진 등 비경제적인 보상(7.9%)’,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의 무관심(6.3%)’, ‘롤모델, 성공 사례(4.9%)’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한편 이 회사에서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고 느껴진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45.2%가 ‘퇴사 후 성장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이직한다’고 답했다. 보다 많은 54.7%의 직장인들은 ‘성장 가능성 만으로 퇴사 여부를 결정할 수는 없다’며 ‘연봉 등 다른 사유를 참작해볼 것’이라 답했다. ‘성장을 찾아 이직한다’는 응답은 ‘대리급’에서 54.6%로 가장 높았다.
[서울=뉴시스]

직장인 45%가 퇴근 후에도 일을 완전히 중단하지는 않은 채 ‘업무와 연결된 상태’라고 답했다.
업무지시 등 비자발적으로 연결된다는 응답보다는 ‘업무를 위한 자기계발’과 ‘일상에서의 업무 인사이트 발굴’ 등 자신의 발전을 위한 연결을 꼽는 응답이 많아 눈길을 끈다.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직장인 632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의 성장’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직장인 78.2%가 ‘일을 통해 나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잡코리아는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총 632명 중 30.2%가 ‘업무를 통한 자기계발 추구’, ‘일상 속 업무 인사이트 발굴’ 등 퇴근 후에도 업무와 연결되어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일과 삶의 균형을 넘어 일과 삶의 조화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이른바 ‘워라블족’이 3명 중 1명꼴로 나타난 것이다.
먼저 퇴근과 동시에 업무 중단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5.1%의 직장인들은 ‘퇴근 후에도 업무를 바로 중단하지 않고 업무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고 답했다. 퇴근해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부장급이 67.9%로 가장 높았으며, ▲대리급도 50.4%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사원급의 경우 ‘퇴근과 동시에 업무를 중단한다’는 응답이 62.6%를 차지해 다른 직급과 확연히 구분되는 차이를 보였다.
잡코리아는 일을 통해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지 여부에 따라 퇴근 후 업무에 연결하는 방식이 달랐다고분석했다.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군의 경우 ‘퇴근 후에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7.0%로 그렇지 않은 응답군보다 8%포인트가량 높았다. 특히 업무와 연결되는 방식도 ‘업무 스킬, 지식 습득 등 자기계발을 통한 연결’이 41.8%, ‘퇴근 후 생활의 다양한 영역에서 업무 인사이트를 발굴’한다는 응답이 29.7%를 차지하는 등 자신의 성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연결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7명꼴로 높았다. 반면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없다’고 답한 응답군에서는 ‘메신저 감옥, 메일 지시 등 내 의사에 반해 업무가 계속된다’는 응답이 52.8%로 크게 높았다.
회사의 성장이 나의 성장과 함께 할 수 있는지 즉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라고 믿는지”에 대해서도 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직장인과 그렇지 않은 직장인 사이에 거리가 있었다. 먼저 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 직장인들은 ‘회사가 잘되면 나에게도 좋은 일이란 어렴풋한 희망이 있다’는 응답이 49.2%로 가장 많았으며 32.0%는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란 믿음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반면 일을 통한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응답군에서는 ‘회사가 잘 되는 것과 나는 무관하다’는 응답이 57.6%로 가장 높았다. 특히 일로 성장이 가능하다고 답한 응답군에 비해 ‘회사가 잘 되면 나도 잘 될 거란 믿음’을 꼽는 응답이 5분의 1 수준인 6.5%로 크게 낮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어떻게 해야 일로 성장을 꾀할 수 있다고 생각할까? 잡코리아가 ‘일로 상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복수응답)’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1위는 ‘충분한 경제적 보상(55.7%)’이 차지했다. 이어 ‘질적, 양적으로 충분한 휴식(45.7%)’이 2위를 ‘꾸준한 동기부여(41.7%)’가 3위를 차지했다. ‘업무에 대한 꾸준한 관심(34.0%)’과 ‘뚜렷한 자기계발 의지, 노력(28.1%)’, ‘성장을 독려하는 조직문화(27.3%)’도 일을 통한 성장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이밖에 ‘성취감, 성공한 경험(18.4%)’, ‘권한 부여(8.3%)’, ‘승진 등 비경제적인 보상(7.9%)’,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의 무관심(6.3%)’, ‘롤모델, 성공 사례(4.9%)’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한편 이 회사에서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고 느껴진다면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45.2%가 ‘퇴사 후 성장할 수 있는 곳을 찾아 이직한다’고 답했다. 보다 많은 54.7%의 직장인들은 ‘성장 가능성 만으로 퇴사 여부를 결정할 수는 없다’며 ‘연봉 등 다른 사유를 참작해볼 것’이라 답했다. ‘성장을 찾아 이직한다’는 응답은 ‘대리급’에서 54.6%로 가장 높았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연어야 돌아와~” 섬진강에 어린연어 50만 마리 방류
- 함소원, 이혼설 이어지자 “제발 그만해달라”
- 광복회, 윤서인에 위자료 청구 소송…“망언 못하게 할것”
- 100년 만에 경매에 나온 고흐의 ‘몽마르트 거리 풍경’
- “환자 죽으면 책임진다”던 택시기사, 7년 구형에 울먹
- 김원희 “남동생 사칭 조심…범인 알지만 신고 못하는 이유 있어”
- 나눔-봉사로 어려운 이웃에 행복 선물, 올해도 착한 행보 이어가는 하이트진로
- 뭉크 ‘절규’에 적힌 손글씨, 미스터리 풀렸다
- “엄마가 지켜줄게”… 참물범의 모성애
- 홀로코스트 생존자 집 찾은 교황 “나치에 학살된 사람들에게 경의”
- 온라인 유통 ‘마른 김’에서 사카린나트륨 검출…해당 제품 판매중단·회수
- “장보기가 무서울 지경”…채소·과일·가공식품까지 가격 줄줄이 ‘고공행진’
- 여의도 ‘더현대서울’ 개장…첫 날부터 손님 발걸음 ‘북적’[청계천 옆 사진관]
- 대기업 47.2% “상반기 대졸 신입 채용한다”
- 창업자에 “경쟁사보다 연봉 왜 낮나”… MZ세대 직원들의 돌직구
- 기업 일자리 처음 줄었다… 작년 3분기 5만3000개 ‘뚝’
- 게임업계, IT인재 ‘연봉 배틀’… 크래프톤, 2000만원 파격 인상
- “미분양 걱정해야 할판” “서남권 개발 신호탄”
- 메르세데스벤츠, ‘신형 C클래스’ 공개… 전 모델 전동화 완성
- 올 물가상승률 전망 1.3%로 상향… 이주열 “인플레 우려 상황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