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농가 2명중 1명 고령인구…재무구조 취약”

뉴스1

입력 2019-07-11 14:35 수정 2019-07-11 14:35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내년에 농가인구 2명 중 1명은 고령인구(65세 이상)가 되고 농가소득은 5000만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농가의 재무구조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가인구 구조 개선과 금융자산 확보 등이 제시됐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가 11일 발표한 ‘2019 대한민국 농촌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농가 고령인구 비율은 2017년 42.5%에서 2018년 44.7%로 2.2%p 증가했다. 이 비율이 내년에는 50%가 된다는 게 연구소의 전망이다.

2018년 농촌가구는 총 102만1000가구로 전년 대비 2만1000가구(2.0%) 감소했다. 농가비율은 전체 가구의 5.2%를 차지했다. 2018년 농가인구는 231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0만7000명(4.4%) 줄었다. 농가인구 비율은 총인구의 4.5%다.

농촌가구 감소폭은 2017년 2만6000가구에서 2018년 2만1000가구로 줄었지만 농가인구 감소폭은 같은 기간 7만4000명에서 10만7000명로 확대됐다. 김진웅 연구소 부소장은 “은퇴 등에 따른 귀농인구보다는 고령화로 인한 농업포기, 전업 등이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2018년 12월 기준으로 농촌가구 중 2인 가구는 56만 가구(54.8%)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 19만5000가구(19.1%), 3인 가구 14만1000가구(13.9%) 순이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미래 농촌가구는 고령자 1~2인 가구가 대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전체 농가의 56.8%는 전업농가, 43.2%는 겸업농가로 집계됐다. 전체 농가 중 경지규모가 1ha미만인 소규모 농가 비중은 70%로 가장 컸다.

국내 농가 평균소득은 2018년 4207만원으로, 전년(3824만원) 대비 383만원(9.10%) 증가했다. 연구소는 이런 증가율이 지속되면 내년에는 5000만원 가량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 부소장은 “현재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 평균가구소득(6484만원) 3분의 2수준(64.9%)에 불과해 추가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소득증가에 따라 농가 평균 가계지출은 2018년 3383만원으로, 전년 대비 319만원(10.4%) 증가했다.

농가의 자산·부채 구조는 다소 취약해졌다. 농가의 평균자산은 2018년 4억9569만원으로, 전년 대비 1019만원(2.0%) 감소했다. 반면 평균부채는 3327만원으로 전년 대비 689만원(26.1%) 증가했다. 김 부소장은 “고정자산은 늘고, 유동자산이 더 많이 줄어든 점으로 볼 때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신규투자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김 부소장은 농가인구 구조 개선과 금융자산 확보를 농가경제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농가인구 유입확대를 통해 농촌고령화 문제를 최대한 빠르게 해소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노후설계를 통해 예상 은퇴시점 기준으로 유동성 부족여부 점검, 부족한 경우 보유자산 비중 조절 및 자산관리를 통해 필요한 금융자산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