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입직 구직자 평균 희망 연봉 3310만원, 경력직은 4267만 원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입력 2018-01-17 10:35 수정 2018-01-17 10:51

올해 구직자들이 희망하는 최대 연봉 평균은 4,035만원이며, 최소 희망 소득은 3,732만원 선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신입직 구직자’가 평균 3,310만원을 요구했던데 반해 ‘경력직 구직자’는 4,267만원 정도의 연봉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자사 회원 720명을 대상으로 ‘2018 구직자 희망연봉 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희망연봉을 결정하게 하는 데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자, 구직자들의 17.4%는 ‘직무지식 및 경험’을 가장 높게 평가했다. 이어 ‘이전 직장 임금’(15.0%)이나 ‘(과거의) 일자리경험’(12.1%)', ‘학력’(11.5%), ‘연령’(9.6%) 등이 희망연봉을 높이는 주 요인이 된다고 답했다.
희망연봉 수준을 좌우하는 요소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성별’은 지원자의 희망연봉 수준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남성’의 경우 4,612만원을 제시한 반면, ‘여성’은 3,334만원을 제시해 1,300여 만원의 격차를 나타냈다.
경력 유무에 따른 희망연봉 수준의 격차도 적지 않았다. ‘신입직 구직자’가 평균 3,310만원을 요구했던데 반해 ‘경력직 구직자’는 4,267만원 정도의 연봉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자’가 5,120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대졸’(4,082만원)’, ‘초대졸’(3,635만원), ‘고졸’(3,352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최종학교 소재지에 따른 구분에 있어서는 ‘서울권’ 출신이 4,148만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희망한 가운데, ‘영남권’(4,057만원), ‘충청권’(4,054만원), ‘경인권’(3,917만원), ‘호남권’(3,751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직무 별 희망연봉에서는 ‘건설·건축·토목·환경’부문의 구직자가 4,892만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직·법률·인문사회·임원’이 4,833만원, ‘생산·정비·기능·노무’가 4,807만원의 희망 연봉을 제시했다.
이어 ‘전자·기계·기술·화학·연구개발’은 4,689만원, ‘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 직종 구직자는 4,579만원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이공계통의 직무 지원자에게서 높은 연봉이 기대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뒤로는 ‘마케팅·광고·홍보·조사’(4,359만원), ‘금융·보험·증권’(4,342만원),‘교육·교사·강사·교직원’(4,322만원) 등의 순으로 연봉 기대치가 높게 나타났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좀만 보태면 기아 대신 포르쉐”... 기아 EV9 풀옵 가격 1억 넘었다
- 서울·세종 아파트 거래량 급증…규제 완화·이전 기대감 영향
- “값 폭등” 아이폰 민심 반발에… 트럼프 관세 또 주춤
- ‘6억원’ 이하 새아파트 막바지 분양
- 불경기 내다본 부자들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 등 안전자산 투자”
- 트럼프 “돈 많이 쓸것”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韓업계 ‘훈풍’
- 관세 넘어 美-中 환율전쟁 확전 공포… 亞 금융시장 패닉
- 직원 둔 자영업자 3만 사라졌다…내수침체에 2명 중 1명 도소매업
- 트럼프 1기때 첫 삽 K배터리 공장, 美 7000명 도시서 2600명 고용
- 근육감소 노인 걷게돕는 ‘로봇개발자’ 이연백 대표 “고가 의료기기와 경쟁도 자신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