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차 이하 신입사원 퇴사율 가장 높다…퇴사이유 1위는?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입력 2018-03-06 10:50:00 수정 2018-03-06 10:54:49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657명을 대상으로 ‘퇴사자 현황과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최근 1년간 직원 퇴사율은 평균 17%이며, 1년차 이하의 신입사원의 퇴사율(49%)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밝힌 지난 1년간 평균 퇴사율은 ‘10%미만’이 32.3%로 가장 많았고, ‘10~20%’(24.5%), ‘20~30%’(15.2%), ‘30~40%’(11.4%) 등이 뒤를 이었다. ‘한 명도 없다’는 기업은 11.7%였다. 적어도 1년에 1명 이상의 퇴사자가 있는 셈이다. 직원들 퇴사가 가장 많은 시기는 ‘12월’(17.6%), ‘2월’(12.6%), ‘1월’(11.6%) 순으로, 인사이동이나 연봉협상이 있는 연말 시즌이었다.
퇴사율이 가장 높은 연차는 ‘1년차 이하’(49%)로 절반 가까이 됐고, 계속해서 ‘2년차’(20.9%), ‘3년차’(13.4%), ‘4년차’(5%) 등의 순이었다. 직급 역시 ‘사원급’(61.4%)의 퇴사율이 가장 높았고, ‘대리급’(23.1%), ‘과장급’(8.1%) 등의 순이었다. 막상 어려운 취업난을 뚫고 회사에 입사는 했으나, 직무나 근무조건 등이 맞지 않아 조기 퇴사하는 신입사원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남성 퇴사자의 비율이 50.3%로 여성(26.4%)보다 23.9%p 높았다.
인사담당자의 절반 이상인 55.5%는 퇴사자 발생 시, ‘공백기로 인한 업무 차질’을 가장 우려했으며, ‘직장 내 사기저하’(19.1%), ‘대체 인력 채용을 위한 비용 발생’(13.1%), ‘정보, 기술 등 유출’(3.6%), ‘관계사, 고객 등과의 관계 차질’(3.3%) 등을 신경 쓰고 있었다.
직원들이 회사에 밝힌 퇴사 사유로는 ‘이직’(41.7%, 복수응답)이 1순위었고, ‘업무 불만’(31.2%), ‘연봉불만’(24.3%), ‘상사와의 갈등’(13.1%), ‘복리후생 부족’(12.2%), ‘잦은 야근 등 ‘워라밸’ 지키기 어려워서’(12.1%), ‘기업 문화 부적응’(10.5%) 등이었다.
하지만, 인사담당자들은 퇴사 이유 1위를 ‘연봉 불만’(40.3%, 복수응답)이라고 보고 있었으며, 이어 ‘이직’(25.9%), ‘업무 불만’(23.3%), ‘워라밸 중시 등 가치관 상이’(15%) 등을 실제 퇴사 사유라고 생각했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비즈N 탑기사
- ‘고소득·명문대 男만 가입’ 데이팅앱…인권위 “차별은 아냐”
- 동물 학대 영상·이미지 전년 대비 183% 급증
- 208만원짜리 초고가 우산 中서 출시…정작 방수 안돼 ‘뭇매’
- 대낮 거실에 웬 낯선 남자가…아파트 무단침입 20대 입건
- 코로나19 검사 중 면봉 통째로 삼킨 英여성…응급 수술받아
- “2살 아이 피흘리며 우는데…어린이집 5시간 방치했다” (영상)
- 멜라니아 “백악관 재입성? 절대 아니라고 말 못해”
- “손주 낳지 않아서”…인도서 부모가 아들에 8억 손배 청구
- 병 걸린 낙타 죽자…토막내 호랑이 먹이로 준 동물원
- 새로운 10대 슈퍼히어로…‘미즈 마블’ 6월8일 디즈니+ 공개
- 전기차 “프렁크”의 모든 것
- ‘앞으로 1년 경제’ 물었더니…국민 40% ‘악화’ 25% ‘좋아질 것’
- [단독]현대차-高大 “미래차 인력 양성”… 5년제 학-석사 통합학과 만든다
- 고유가에 3월 휘발유·경유 소비량 줄었다…“4월엔 더 감소”
- 5060 ‘뉴시니어’ 83%, 모바일로 은행업무 OK
- 식음료업계 ‘포장용기 혁신’ 될까…개폐형 마개 달린 캔 워터 등장
- 일반-상속 주택 중 어떤 걸 팔아야 비과세 될까?
- “2020년까지 부동산 거품 없었다…정책-경제상황 변화가 집값 상승 원인”
- 포스코, 고위험 사업장에 로봇 사용 늘린다
- [고준석의 실전투자]최우선 변제 소액보증금, 전액 못받을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