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칼럼]BMW차량 화재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동아경제

입력 2018-08-10 17:08 수정 2018-08-10 17:11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요즈음 언론에는 BMW차량 화재 발생 사건과 관련한 기사로 덮고 있다. 심지어 TV방송에서는 BMW 서비스센터의 상황을 중계하기도 했다. BMW 320d를 11만km 주행한 소비자가 타는 냄새가 나서 엔진 룸을 열어보니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 쿨러 주변의 전선이 녹아 내려 불안하다며 상담을 요청하기도 했다. 일반 국민들까지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자료에는 지금까지 안전점검을 받은 차량 중 9%가 위험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결국 감독기관은 화재발생이 수그러들지 않자 운행중지라는 극약처방까지 검토하고 있다. 운행중지를 강제할 경우 부작용 또한 적지 않다고 본다. 해당 차주의 경우 차를 2대 이상 소유하고 있지 않은 이상 차를 사용 못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할뿐더러 심지어 생계에도 지장을 받을 소지가 있다. 이럴 경우 차주가 입는 실질적인 피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운행중지가 만사가 아니다. 운행중지 차량을 대신할 대체 차량의 확보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수입자동차회사와 협의를 해야 하는 판국이다.

BMW코리아는 EGR 쿨러와 밸브를 설계변경 했고 해명하였지만 화재발생 원인이 EGR부품문제다, 모듈 문제다, 쿨러 문제다, 다른 원인이다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것을 볼 때 정확한 원인규명이 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발생 원인에 대한 확실한 판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선품이 나왔다고 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볼 수 있다. 개선품이란 설계 잘못이나 제조공정, 품질 불량에 따른 재질, 스펙 등에 대한 변경을 통해서만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즉 개선전과 개선 후의 차이가 있고, 성능이 개선되거나 결함 원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오는 것이다. 개선품은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나올 수 있다. 뒤집어서 얘기한다면 BMW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러한 결함을 알고서도 숨기거나 은폐했다고 추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은 BMW가 자체적으로 조사하고 검토한 내부 자료를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공개해야만 소비자의 불신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BMW피해차주들은 결함은폐의혹에 대한 강제수사를 요구하는 고소를 했다. 이번 화재사건은 행정적인 측면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결함원인, 리콜조치, 개선품 검증 등에 대한 심도있는 조사가 필요하다. 자동차 리콜조치는 결함사실을 공개적으로 알리고 무상 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개별적 피해보상이 포함된 것이 아니다. 피해보상에 대해서는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피해구제, 분쟁조정을 청구할 수가 있다. BMW에서는 이례적으로 늦장조치로 여론이 악화되고 소비자의 불만이 고조되자 부랴부랴 렌터카 제공과 신차 교환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렌터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조건과 차종 등을 밝혀야 하고 막연한 신차 교환이 아닌 운행기간, 주행거리 등에 따라 감가상각여부에 대해서도 기준을 밝혀야 한다.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독기관 또한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자동차회사에서 실시하겠다고 한 자발적 리콜 발표를 믿다가 발등을 찍힌 모양새다. 이러한 리콜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지속적으로 차량 화재가 발생하자 최고 책임자 까지 나서서 운행중지 검토라는 극약처방을 내리게 되는 사태까지 오고 말았다. 이번 화재 발생사건을 계기로 여러 부처에 나뉘어져 있는 자동차 업무를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를 만들어야 하고, 감독기관의 옥상 옥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구조를 기무사 개혁을 하듯이 획기적인 해편(解編)을 하여 미국 NHTSA(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 도로교통안전청)처럼 독립적인 자동차전문기관 신설이 필요한 시점이다.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성능 좋을 것으로 여기고 수입자동차를 구입한 소비자는 화재발생이란 악재를 만나 불편함과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BMW의 느긋한 대응과 감독기관의 늦장조치로 애꿎은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다. 소비자 또한 수입자동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선입관을 이제라도 생각을 바꿔야 할 전환점이 되었으면 한다. 자동차를 구입할 때 소비자의 선택권은 스스로 찾는 것이다.

한국자동차품질연합 대표 김종훈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