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 20% 줄어… 전국 악성 미분양 4년만에 최대
최동수 기자
입력 2024-10-01 01:40 수정 2024-10-01 01:40
8월 7609건 거래… 9개월만에 감소
대출 옥죄기에 단기 상승세 진정
준공후 미분양, 13개월 연속 증가

올해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7000건대로 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은행권이 대출 옥죄기에 나서고 단기 집값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값이 다소 진정 국면에 접어드는 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준공 후 미분양, 즉 악성 미분양은 4년 만에 최대치까지 늘어났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8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7609건으로 7월(9518건)보다 20.1%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건 지난해 11월(2417건) 이후 9개월 만이다. 거래량이 정점을 찍었던 7월 은행들이 대출금리 인상을 시작하며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에 나선 데다, 9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며 관망세가 짙어진 영향이다. 이날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1321건이다. 신고 기한이 계약일 이후 한 달이라는 점을 고려해도 9월 거래 건수는 8월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매매 거래량은 8월 1만992건으로 7월(1만2783건)보다 14.0% 줄었다. 지난해 12월(4073건) 이후 8개월 만의 감소다.
돈줄을 죄어 수요를 억제하는 방식을 통해 단기 집값 상승세는 일단 진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4분기(10∼12월) 한은의 금리 인하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집값이 높은 서울은 대출 규제 영향으로 거래가 둔화되는 반면, 지방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거래가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화되며 ‘악성 미분양’은 3년 11개월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6461채로, 전월보다 2.6%(423채) 늘었다. 13개월 연속 증가해 2020년 9월(1만6883채) 이후 최대다. 최근 집값 상승에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7550채로 전월보다 5.9%(4272채) 줄었지만 전남, 경남, 경기 등 지역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은 여전히 늘고 있다.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
대출 옥죄기에 단기 상승세 진정
준공후 미분양, 13개월 연속 증가

올해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7000건대로 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은행권이 대출 옥죄기에 나서고 단기 집값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값이 다소 진정 국면에 접어드는 사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준공 후 미분양, 즉 악성 미분양은 4년 만에 최대치까지 늘어났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8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는 7609건으로 7월(9518건)보다 20.1%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건 지난해 11월(2417건) 이후 9개월 만이다. 거래량이 정점을 찍었던 7월 은행들이 대출금리 인상을 시작하며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에 나선 데다, 9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되며 관망세가 짙어진 영향이다. 이날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1321건이다. 신고 기한이 계약일 이후 한 달이라는 점을 고려해도 9월 거래 건수는 8월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주택 매매 거래량은 8월 1만992건으로 7월(1만2783건)보다 14.0% 줄었다. 지난해 12월(4073건) 이후 8개월 만의 감소다.
돈줄을 죄어 수요를 억제하는 방식을 통해 단기 집값 상승세는 일단 진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4분기(10∼12월) 한은의 금리 인하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집값이 높은 서울은 대출 규제 영향으로 거래가 둔화되는 반면, 지방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거래가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화되며 ‘악성 미분양’은 3년 11개월 만에 최대치를 찍었다.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6461채로, 전월보다 2.6%(423채) 늘었다. 13개월 연속 증가해 2020년 9월(1만6883채) 이후 최대다. 최근 집값 상승에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7550채로 전월보다 5.9%(4272채) 줄었지만 전남, 경남, 경기 등 지역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은 여전히 늘고 있다.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중증외상·폭싹’ 덕분에…넷플릭스, 1분기 실적도 ‘맑음’
- 이마트, 푸드마켓 영토확장… “고덕점이어 연내 더 연다”
- 전셋값 안정에 HUG ‘안도’…전세보증 사고액 3분의 1로 줄었다
- “토허제에도 강남은 강남”…50억 이상 거래 올들어 2배 늘어
- 파월 ‘통상전쟁’ 경고에 금값 또 사상최고치 치솟아
- [단독]철강 관세폭탄에 ‘휘청’… 대미 수출 17% 줄었다
- “값 폭등” 아이폰 민심 반발에… 트럼프 관세 또 주춤
- 근육감소 노인 걷게돕는 ‘로봇개발자’ 이연백 대표 “고가 의료기기와 경쟁도 자신있어”
- 트럼프 “돈 많이 쓸것”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韓업계 ‘훈풍’
- 불경기 내다본 부자들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 등 안전자산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