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하층 월세 5년간 30% 올라… 지상층에 비해 상승폭 2배
정서영 기자
입력 2022-10-05 14:28:00 수정 2022-10-05 14:33:56

지난 5년간 지하층 주거지 월세가 3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지상층에 비해 2배 가까이 오르며 지하층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의 거주 부담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더불어민주당 한준호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연립 및 다세대주택 지하층의 2022년(9월 28일 기준) 평균 월세는 41만7297원으로 2017년 31만9645원보다 30.6% 상승했다. 같은 기간 42만3728원이었던 지상층 월세는 올해 49만2142원으로 16.2% 올랐다.
지하층 거주자가 많은 서울 지역은 차이가 더 컸다. 2017년 35만3951원이었던 서울 지하층 평균 월세가격은 올해 46만4651원까지 증가하며 31.3% 늘었다. 같은 기간 49만1495원에서 54만3350원으로 10.6% 증가한 지상층과 3배 가량 차이가 났다. 서울 지역은 올해 연립 및 다세대 주택 10만1653건이 거래되며 전국 거래 19만4545건 중 52% 가량을 차지했다.
전국 연립 및 다세대주택의 평균 월세는 지상·하층 모두 2018년 이래 오름세를 이어오고 있다. 지하층의 경우 올해 월세 상승률이 17.8%를 기록하며 2018년 이후 가장 큰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 지역도 월세도 올해 19.8% 오르며 2020년 13.0% 오른 이래 가장 큰 상승세였다.
전세금도 지하층의 상승폭이 지상층보다 컸다. 한준호 의원실에 따르면 전국 연립 및 다세대주택 지하층의 전세금은 2017년 7443만1288원에서 올해 1억1666만4823원으로 56.7% 상승했다. 같은 기간 지상층은 1억4370만9271원에서 1억9847만6164원으로 38.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울 지역도 지하층이 9625만9903원에서 1억4801만8812원으로 53.8% 상승한 사이 지상층은 30.9%만(1억8683만581원→2억4455만1267원) 상승했다.
주거 취약층이 주로 거주하는 지하층 특성상 취약계층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도시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서울 지역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한 달 평균 소득은 219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가구 평균 소득 540만1814원(3인 이하 가구 기준)의 40% 수준에 그쳤다. 월세 거주민 비중이 높은 반지하 주택의 특성도 문제의 심각성을 가중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반지하 거주자 약 32만7000가구 중 절반 가량인 16만7000가구가 월세로 살고 있다.
한준호 의원실 측은 “월세 가격과 금리 인상이 겹치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서영 기자 cero@donga.com
비즈N 탑기사
- “이게 웬 떡”…금속 탐지하다 헨리 8세 이니셜 새겨진 금목걸이 발견
- 조희연 “해직교사 특채→화합”…1심은 왜 죄로 봤나
- 진태현·박시은 “아이 떠난 후 눈물…사실 매일 참고 있는 것”
- 폭설 속 달리는 구급차서 ‘새 생명’ 받아낸 소방대원들
- 470만원에 구입한 ‘포켓몬스터 옐로우’ 박살나버린 美 남성
- 공기질이 얼마나 나쁘길래…방콕, 초미세먼지에 재택근무 권고
- “히트곡, 금·석유보다 더 가치”…저스틴 비버, 저작권 2467억원에 매각
- 서현우 “‘유령’ 위해 24㎏ 증량…하루에 6끼 먹어”
- “고은 시집 공급 중단…실천문학 1년 휴간” 윤한룡 대표 사과
- ‘한옥의 아름다움 만끽’ 북촌 설화수의 집, 우수 디자인 선정
- “월세 27만원에 관리비 105만원”…세입자 울리는 ‘깜깜이 관리비’ 430만가구
- 中 ‘접는폰’ 판 커졌는데…폴더블 개척자 삼성 점유율은 ‘반토막’
- 역전세난에 갱신요구권 사용 역대 최저…10건 중 3건은 감액 계약
- 고금리에 車수요 ‘뚝’… GV80 출고대기 30→10개월
- “그래도 될 곳은 된다”…분양시장 ‘옥석가리기’ 본격화
- “한숨 돌렸죠” 저금리 대환 지원 확대에 소상공인 ‘안도’
- ‘취임 100일’ 이재용 회장, 키워드는 ‘글로벌·수평·동행’
- “음식 남기지 않게 먹을 만큼만”…유통업계 ‘소용량’ 열풍
- 애플, 2019년 이후 처음 분기 매출 감소…“中 생산 둔화 영향”
- 물가 더 오를까…한은 “물가 안정 주요국 보다 더딜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