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청년주택’ 금수저는 안돼…부모 소득도 심사한다
사지원 기자
입력 2022-05-19 16:08:00 수정 2022-05-19 16:20:07

서울시가 ‘역세권 공공 청년주택’ 입주자를 선발할 때 부모의 소득도 심사하기로 했다. 이전에는 본인 소득만 감안하다보니 고소득층 부모를 둔 청년도 입주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시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자격기준’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만 19~39세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역세권에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는 임대주택이다. 개정 기준에 따르면 역세권 청년주택 중 공공주택에 입주하는 청년은 부모와 자신의 소득을 합쳐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이하를 충족해야 한다. 기존에는 본인 소득 기준 120% 이하여야 신청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부모와 같이 사는 청년 1명이 입주하려면 이전에는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의 120%인 385만 원 이하를 충족해야 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본인과 부모 소득을 합해 3인가구 월평균 소득의 100%인 642만 원 이하여야 한다.
시는 입주자격 심사 시 수급자, 한부모가정, 차상위계층은 먼저 입주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부여할 예정이다. 동일 순위 내에서 경쟁할 경우 장애인과 지역 거주자에게도 가점을 부여한다.
다만 이번에 개정된 기준은 △공공주택 △민간임대 특별공급 △민간임대 일반공급 등 역세권 청년주택의 세 가지 유형 중 공공주택에만 적용된다. 공공주택의 임대료가 주변 시세의 30% 가량으로 가장 싼 만큼 공공주택에 한해 선정기준을 우선 강화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청년은 월세 지출로 주거비 부담이 커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라며 “주거 지원이 절실한 청년들에게 역세권 주택공급을 적극적으로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비즈N 탑기사
- “어린이날 선물인데… ” 도둑맞은 자전거 찾아준 경찰
- 최영아 전문의 성천상 수상… 20여년간 노숙인 치료 봉사
- 하니♥양재웅, 열애 인정 “좋은 만남 갖고 있어”
- “조유나양 아버지, 가상화폐 투자 뒤 큰 손해”
- “젖병에 꽁초 가득”…담뱃값 경고 그림, 더 끔찍하게 바꾼다
- “이걸 두고 월북을?”…서해 공무원측 ‘무궁화10호’ 방수복 공개
- 바이든, 자전거 타다 ‘꽈당’… 몸상태 묻자 ‘깡충깡충’
- “수험생 공부 중입니다”…尹자택 앞 맞불집회 이틀째 현수막 내걸려
- “한국인과 너무 닮아, 가슴철렁” 필리핀서 땅콩파는 코피노 소년
- 마지막 ‘버핏과의 점심’ 경매, 59억원 기록 깰까
- 테슬라 모델Y 1년 차 유지비
- [단독]“실손보험금 왜 안주나” 민원 1년새 85% 급증
- 환율 치솟은 美-유럽 포기… “한끼 3000원 베트남 여행”
- 음식물 쓰레기로 비행기 연료 만든다… 항공업계 탄소 감축 ‘일석이조’
- 은행 상반기 순익 9조… “이자장사” 지적에 금리 인하
- ‘확장재정’ 대신 ‘건전재정’… 1000조 넘어선 국가채무 관리 나선다
- 이른 폭염에 예비 전력 ‘아슬아슬’…자칫하면 전력대란 벌어진다
- 본격화된 노동계 ‘여름 투쟁’… 경제위기 속 커지는 ‘하투 리스크’
- 지프, 라임맛 ‘랭글러 하이 벨로시티’ 국내 50대 한정 판매
- 중산층 빚내서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3.7만채…역대 최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