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또’ 분상제아파트, 내년 2월부터 최대 5년간 의무거주한다
뉴스1
입력 2020-11-27 14:09:00 수정 2020-11-27 14:10:38

내년 2월부터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대상 주택엔 거주의무기간을 최대 5년까지 적용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의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27일 입법예고했다.
정부는 앞서 수도권 분양가상한제 대상 주택에 대해 5년 내에서 거주의무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주택법을 개정했다. 이번 시행령은 내년 2월19일 시행될 주택법의 세부 내용이다.
시행령에 따르면 민간택지에서 분양가격이 인근 지역 주택매매 가격의 80% 미만이면 3년, 분양가격이 인근 지역 매매가의 80% 이상·100% 미만이면 2년 동안 의무거주해야 한다.
공공택지에선 분양가격이 인근 지역 주택매매 가격의 80% 미만인 경우 5년, 80% 이상·100% 미만인 경우 3년이다.
거주의무기간 중 해외체류, 근무·생업 등의 목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거주한 것으로 간주한다. 거주의무기간 중 거주를 이전하는 경우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되팔아야 한다.
개정안엔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이전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공급 주택의 전매제한 기간을 투기과열지구는 현행 5년에서 8년으로, 투기과열지구 외 지역은 3년에서 5년으로 강화하는 내용도 담았다.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주택조합 총회 의결권을 일정 기간 온라인으로 행사할 수 있는 근거 조항도 신설됐다.
(세종=뉴스1)
비즈N 탑기사
- 테슬라 꺾은 전기차… 르노 조에, 작년 유럽 EV 시장 왕좌
- 랜드로버코리아, 가격 2000만원 낮춘 ‘2021 레인지로버’ 출시
- 최정우 “2차전지 소재, 미래 먹거리”… 신사업 투자-조직개편 가속
- “산림은 기후변화 백신”… 산림청, 2050년까지 30억 그루 심는다
- 집밥은 역시 밥맛… 고급쌀 인기몰이
- “그나마 장사되는 휴일 문 닫으라니…” 복합몰 규제에 상인들 비상
- 분리배출 쉽게… ‘無라벨 생수’ 1000만개 넘게 팔려
- K게임, 발빠른 모바일 변신… 시총 100조 시대 연다
- 닭 1000만 마리 AI 살처분… 달걀값 46% 쑥
- 플라스틱 일지 쓰고 재활용품 회수… ‘지구 살리기’에 시민들이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