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집값 하락국면 나타날 수도”

뉴시스

입력 2020-03-23 10:39 수정 2020-03-23 10:39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건설산업硏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주택시장 영향' 보고서
실물경제 부진→실업문제→담보대출 상환 위험→집값 하락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실물경제 부진으로 실업 문제가 발생할 경우 주택시장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23일 발간한 건설동향브리핑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주택시장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김 부연구위원은 “2000년 이후 발병한 사스(2003년 3월), 신종플루(2009년 4월), 메르스(2015년 5월) 사태 때 모두 본격적인 확산 전후 전국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고 이번 코로나19(2020년 1월) 역시 최근 3개월 동안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며 “하지만 코로나19는 다른 감염병과 달리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종전 메르스, 사스 사태 때 주식시장 조정폭이 크지 않았던 것에 비해 코로나19 발병 후 40여일만에 코스피지수는 약 30% 급락한 상황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미국 증시 하락, 10년물 국고채 금리 하락,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등 금융시장에 큰 변화가 감지돼 금융시장의 하방압력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물경제의 부진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실업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원리금 상환이 어려워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택시장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지난 달 실업급여 지급액이 7891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실물경제 부진이 장기화된다면 실업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30~40대 근로소득의 일정 부분이 주택구입 대출의 원리금 상환에 투입되고 있는데 만약 실업 문제가 발생한다면 담보대출시장을 경유해 주택시장에 하방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30~40대 연령층은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70~80%에 달해 만약 실업이 발생하면 원리금 상환이 어렵고 주택담보대출에 부담을 줘 주택시장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부연구위원이 네이버 테이터랩과 구글을 통해 각각 ‘주택담보 생활자금’, ‘실업급여’(Unemployment Benefit) 검색 빈도를 확인한 결과 평시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실업·주택시장의 불안과 관련한 검색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전·월세 시장으로의 움직임과 주택을 담보로 한 생활자금 해결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장기적인 실물경제 부진이 초래할 위협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경기 침체가 가속화·장기화될 경우 주택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특히 12·16대책에서 강화된 규제로 인해 다주택자의 주택담보 생활안정자금 대출이 어려워진 만큼 생활자금으로 유용하기 위한 주택 판매에 나설 경우 기존 주택의 공급이 많아지면서 주택가격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전문가 칼럼



부자동 +팔로우, 동아만의 쉽고 재미있는 부동산 콘텐츠!, 네이버 포스트에서 더 많이 받아보세요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