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후 배달” 1인가구 42%가 ‘투잡’
신지환 기자
입력 2022-10-04 03:00 수정 2022-10-04 03:00
KB금융 ‘한국 1인가구 보고서’

서울 송파구에서 혼자 살며 직장에 다니는 이모 씨(36)는 지난달부터 퇴근 후나 주말에 틈틈이 배달을 뛴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연 2.8%였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연 4.5%로 올랐다는 문자를 받고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혼자 살다 보니 시간이 남는 데다 최근 들어 돈을 모으기가 빠듯해졌다고 느껴 ‘투잡’을 시작했다.
이 씨는 매달 배달로 버는 돈 100만 원가량을 고금리 예·적금이나 개인연금에 넣어 저축하고 있다. 식비를 아끼기 위해 최근엔 외식을 자제하고 집 앞 반찬 가게를 찾아 일주일치 반찬을 산다. 이 씨는 “올 들어 물가나 금리가 많이 올라 지금 받는 월급으론 여윳돈을 모으기 힘들 것 같아 부업을 시작했다”고 했다.
국내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부업을 하며 보조 수입을 얻는 ‘투잡족(族)’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 들어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자 소비는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모습도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42%(839명)가 주 직장 외에 다양한 부업을 하며 수입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업을 하는 이유로는 ‘여유·비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31.5%로 가장 많았고 ‘시간이 남아서’(19.4%)와 ‘생활비가 부족해서’(14.1%)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들의 86.2%는 ‘앱테크’(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재테크)나 배달, 소셜 크리에이터, 블로거 등 최근 들어 생겨난 신생 부업에 뛰어들었다. 문서 작성이나 번역, 포장, 택배, 대리운전 등 전통적인 부업을 하는 응답자는 31%에 그쳤다.

올 들어 소비는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경향도 나타났다. 1인 가구는 올해 월 소득의 44.2%를 소비 활동에 사용했는데, 직전 조사인 2020년(57.6%)과 비교해 13.4%포인트 급감했다.
반면 소득 가운데 저축(44.1%)과 대출 상환(11.7%)에 사용하는 비중은 55.8%로 2년 전(42.5%)보다 커졌다. 저축의 비중은 9.8%포인트, 대출 상환은 3.5%포인트 증가했다. 2년 새 급격히 오른 물가와 금리 등의 영향으로 자금 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1인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인 가구의 82.7%는 혼자 살게 된 이유(복수 응답 허용)로 ‘학교나 직장 때문에’(39.0%), ‘배우자를 못 만나서’(22.1%) 등 비자발적 요인을 꼽았다. ‘혼자가 편해서’(45.6%), ‘독립을 원해서’(15.8%) 등 자발적 요인이 영향을 줬다는 응답은 61.4%로 비자발적 요인보다 비중이 낮았다.
향후 10년 이상 1인 생활을 지속하고자 하는 비율은 2년 전(44.1%)보다 6.7%포인트 감소한 37.4%였다. 1∼4년만 지속하겠다는 비율은 40.9%로 2년 전(36.2%)보다 증가해 장기적으론 1인 가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응답자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36.2%)로 2년 전(33.0%)보다 비중이 3.2%포인트 늘었다. ‘연립 및 다세대주택’(35.3%) 비중은 2년 전(39.6%)보다 줄었다. 연구소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개인의 공간을 넓히려는 의지와 향후 가족 형성에 대비하려는 의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지환 기자 jhshin93@donga.com

서울 송파구에서 혼자 살며 직장에 다니는 이모 씨(36)는 지난달부터 퇴근 후나 주말에 틈틈이 배달을 뛴다. 1년 전까지만 해도 연 2.8%였던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연 4.5%로 올랐다는 문자를 받고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혼자 살다 보니 시간이 남는 데다 최근 들어 돈을 모으기가 빠듯해졌다고 느껴 ‘투잡’을 시작했다.
이 씨는 매달 배달로 버는 돈 100만 원가량을 고금리 예·적금이나 개인연금에 넣어 저축하고 있다. 식비를 아끼기 위해 최근엔 외식을 자제하고 집 앞 반찬 가게를 찾아 일주일치 반찬을 산다. 이 씨는 “올 들어 물가나 금리가 많이 올라 지금 받는 월급으론 여윳돈을 모으기 힘들 것 같아 부업을 시작했다”고 했다.
국내 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부업을 하며 보조 수입을 얻는 ‘투잡족(族)’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 들어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자 소비는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모습도 두드러졌다.
○ 1인 가구 42%가 ‘투잡족’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3일 ‘2022년 한국 1인 가구 보고서’를 내놨다. 전국 25∼59세 남녀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이들의 86.2%는 ‘앱테크’(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재테크)나 배달, 소셜 크리에이터, 블로거 등 최근 들어 생겨난 신생 부업에 뛰어들었다. 문서 작성이나 번역, 포장, 택배, 대리운전 등 전통적인 부업을 하는 응답자는 31%에 그쳤다.

반면 소득 가운데 저축(44.1%)과 대출 상환(11.7%)에 사용하는 비중은 55.8%로 2년 전(42.5%)보다 커졌다. 저축의 비중은 9.8%포인트, 대출 상환은 3.5%포인트 증가했다. 2년 새 급격히 오른 물가와 금리 등의 영향으로 자금 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1인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원해서 혼자 사는 게 아니다”

향후 10년 이상 1인 생활을 지속하고자 하는 비율은 2년 전(44.1%)보다 6.7%포인트 감소한 37.4%였다. 1∼4년만 지속하겠다는 비율은 40.9%로 2년 전(36.2%)보다 증가해 장기적으론 1인 가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응답자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유형은 ‘아파트’(36.2%)로 2년 전(33.0%)보다 비중이 3.2%포인트 늘었다. ‘연립 및 다세대주택’(35.3%) 비중은 2년 전(39.6%)보다 줄었다. 연구소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개인의 공간을 넓히려는 의지와 향후 가족 형성에 대비하려는 의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지환 기자 jhshin93@donga.com
비즈N 탑기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식중독균 살모넬라 검출 ‘눈꽃치즈 불닭’…판매중단·회수
- 김동연 “김포 서울 편입은 국토 갈라치기…총선 전략이면 자충수”
- 경찰, 대학가 ‘마약 광고 전단’ 살포 40대 구속 송치
- “결혼 왜 못하니?” 전처 이혜영 영상편지에…이상민 ‘답장’ 진땀
- 이동국 “내 이름 사칭해 투자 유도한 유튜브 제작자 잠적”
- 장서희 “이상형? 외모 보고 만나면 고생길…결혼 생각은 늘 있다”
- 한동훈 “전세사기 저지르면 20년은 감옥 가게 될 것”
- 전국 미분양 10개월 만에 6만채 밑으로… “시장 침체에 분양 자체 줄어”
- “연말 빛 축제, 서울에서 즐기세요”
- “소주 가격 떨어지나” 기준판매비율 도입 환영…식당 판매가는 “글쎄”
- 실시간 여행지 정보 플랫폼 ‘메타라이브’, 겨울 필수 여행지 인증샷 이벤트 진행
- 재건축 갈등 대처, 위법 여부 꼼꼼히 따져야[부동산 빨간펜]
- ‘한국의 아마존’ 꿈꾸던 11번가 휘청… 매각 주도권마저 잃었다
-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11월 호텔 실적 전년比 17%↑… 외국인 비중 ‘10%→60%’
- ‘709억 수원 전세사기’ 정씨 부부 구속…아들은 기각
- 페북·인스타 ‘인증배지’ 월 3만5900원…한국에도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