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8곳 “근속연수 짧은 경력직 NO”
뉴시스
입력 2019-08-13 08:02:00 수정 2019-08-13 08:03:53
부정적 평가 마지노선 근속연수 9개월
"잦은 이직 횟수도 평가에 부정적 영향" 76%

최근 IT 업계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인재 확보전이 치열해지면서 직장인들의 이직이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다. 과연 잦은 이직으로 근속연수가 짧은 지원자를 보는 기업들의 시각은 변화했을까.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662개사를 대상으로 ‘짧은 근속연수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81.3%가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16년 같은 조사 대비 4.1%p 증가한 수치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한 직장에서의 최소 근속연수는 평균 8.8개월 이하로 집계됐다. 구간별로는 ‘6개월 이상~1년 미만’(49.4%), ‘6개월 미만’(34.2%), ‘1년 이상~1년 6개월 미만’(8%), ‘1년 6개월 이상~2년 미만’(4.6%) 순이었다.
짧은 근속연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과반 이상인 71.2%(복수응답)가 ‘입사해도 오래 근무하지 않을 것 같아서’를 꼽았다. 다음으로 ‘조직 적응이 어려울 것 같아서’(46.3%), ‘책임감이 부족하고 불성실할 것 같아서’(41.8%), ‘인내심이 부족할 것 같아서’(37.4%), ‘상사, 동료와 트러블이 많을 것 같아서’(14.1%), ‘업무 능력이 좋지 않을 것 같아서’(13.2%) 등의 순이었다.
또, 이들 중 51.5%는 다른 조건이 뛰어나지만 짧은 근속연수로 인해 불합격시킨 지원자가 있다고 밝혔다.
짧은 근속연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라도, 지원자가 여러 직장에 근무한 경우 일부 근속연수가 짧아도 다른 기업에서의 근속연수가 3년 이상으로 길면 부정적인 평가를 완화한다는 응답이 85.1%에 달했다. 즉, 옮기는 곳마다 오래 다니지 못한다 하더라도 한 곳이라도 장기 근속한 경험이 있으면 평가에 손해를 덜 본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잦은 이직은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전체 응답 기업의 76%가 지원자의 잦은 이직이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평균 이직 횟수는 직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사원급(3.1회), 대리급(3.4회), 과장급(4.5회), 차/부장급(5.3회)로, 경력 기간 중 주니어 레벨에서는 3회 가량, 시니어 레벨에서는 5회 내외의 이직이 평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이직이 보편화됐다고 하나, 근속연수가 짧고 이직이 잦은 지원자는 오래 근무하지 못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생겨 고배를 마시기 쉽다”며 “본인이 거치는 모든 기업에서의 장기 근속이 어려울 수는 있으나, 절반 이상은 3년 이상 근무를 해야 본인의 조직 적응력이나 장기근속 가능성을 어필할 수 있으므로 근속연수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잦은 이직 횟수도 평가에 부정적 영향" 76%

최근 IT 업계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인재 확보전이 치열해지면서 직장인들의 이직이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다. 과연 잦은 이직으로 근속연수가 짧은 지원자를 보는 기업들의 시각은 변화했을까.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662개사를 대상으로 ‘짧은 근속연수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81.3%가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16년 같은 조사 대비 4.1%p 증가한 수치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한 직장에서의 최소 근속연수는 평균 8.8개월 이하로 집계됐다. 구간별로는 ‘6개월 이상~1년 미만’(49.4%), ‘6개월 미만’(34.2%), ‘1년 이상~1년 6개월 미만’(8%), ‘1년 6개월 이상~2년 미만’(4.6%) 순이었다.
짧은 근속연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과반 이상인 71.2%(복수응답)가 ‘입사해도 오래 근무하지 않을 것 같아서’를 꼽았다. 다음으로 ‘조직 적응이 어려울 것 같아서’(46.3%), ‘책임감이 부족하고 불성실할 것 같아서’(41.8%), ‘인내심이 부족할 것 같아서’(37.4%), ‘상사, 동료와 트러블이 많을 것 같아서’(14.1%), ‘업무 능력이 좋지 않을 것 같아서’(13.2%) 등의 순이었다.
또, 이들 중 51.5%는 다른 조건이 뛰어나지만 짧은 근속연수로 인해 불합격시킨 지원자가 있다고 밝혔다.
짧은 근속연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업들이라도, 지원자가 여러 직장에 근무한 경우 일부 근속연수가 짧아도 다른 기업에서의 근속연수가 3년 이상으로 길면 부정적인 평가를 완화한다는 응답이 85.1%에 달했다. 즉, 옮기는 곳마다 오래 다니지 못한다 하더라도 한 곳이라도 장기 근속한 경험이 있으면 평가에 손해를 덜 본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잦은 이직은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전체 응답 기업의 76%가 지원자의 잦은 이직이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평균 이직 횟수는 직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사원급(3.1회), 대리급(3.4회), 과장급(4.5회), 차/부장급(5.3회)로, 경력 기간 중 주니어 레벨에서는 3회 가량, 시니어 레벨에서는 5회 내외의 이직이 평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이직이 보편화됐다고 하나, 근속연수가 짧고 이직이 잦은 지원자는 오래 근무하지 못할 것이라는 선입견이 생겨 고배를 마시기 쉽다”며 “본인이 거치는 모든 기업에서의 장기 근속이 어려울 수는 있으나, 절반 이상은 3년 이상 근무를 해야 본인의 조직 적응력이나 장기근속 가능성을 어필할 수 있으므로 근속연수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비즈N 탑기사
- 익스 출신 이상미, 엄마 된다…“임신 20주차, 태교에 전념”
- ‘태풍 3개 영향’ 올가을 비 많고 더웠다… 평균기온 15.4도 역대 2위
- ‘여친 폭행 뒤 잠적’ BJ찬, 5개월 만에 시민 신고로 체포
- ‘성남시 어린이집 성폭력’ 청원 하루 만에 20만 넘어
- ‘집단 성폭행·동영상 유포 혐의’ 정준영 징역 6년, 최종훈 징역 5년
- 김건모, 결혼식 연기 아버지 기일 때문…스물웨딩도 취소
- 음주단속 예고에도…경기 남부서 2시간새 67명 적발
- 한 켤레 1300만원…‘지디 신발’이 뭐길래
- 중고생 10명중 1명 수학 기초학력 못 미쳐…수업 이해 고교생 감소
- 아파트 냉동고에 남편 시신을…“최장 11년 보관”
- “삼성 갤폴드 차기작 가격 100만원선”…폴더블폰 확산 이끌듯
- 르노삼성 QM6, 11월 판매량 5000대 돌파…신차효과 넘어선 ‘역주행’
- 종부세 부담 ‘껑충’…다주택자 집 내놓을까?
- ‘어질어질’ 이석증 급증… 중장년 여성 주의보
- 계층 간 이동 ‘둔화’…상승도 하락도 줄었다
- 바닷바람 맛보며 최재형 선생의 기개를…크루즈 여행
- 일본車 할인 공세에 해빙 분위기…지난달 이어 회복세
- 서울 24위, 제주 95위…올해 세계 100대 인기여행지 1위는 어디?
- 따뜻한 바닥이 고양이에게 미치는 영향..'걷다가 녹아버려'
- “한국의 노동시장은 OECD 하위권…프랑스 노동개혁 배워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