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전파력, 델타 5배”… 변이 폭 커 기존 백신 안통할수도

김소영 기자 , 이은택 기자 , 김소민 기자

입력 2021-11-29 03:00 수정 2021-11-29 14:48

|
폰트
|
뉴스듣기
|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오미크론 비상]
오미크론 변이 위험성 얼마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확진자 발생 지역이 늘어나는 속도를 볼 때 인도발 ‘델타 변이’의 전파력을 압도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 지금까지 밝혀진 오미크론 변이의 특징만 놓고 봐도 기존 백신의 효과가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아직 국내 감염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일단 정부는 입국 검역을 강화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유전자증폭(PCR) 검사로는 오미크론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 “백신 무력화 가능성 높아… 전파력도 강한 듯”

바이러스 표면에는 ‘스파이크 단백질’이라는 돌기가 있다. 이는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무기’ 역할을 한다.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이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32개 발견됐다. 그중 15개는 인체 세포와 가장 먼저 접촉하는 수용체 결합 부위에서 확인됐다. 델타 변이의 경우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가 12개였고, 그중 2개는 수용체 결합 부위에 있었다. 돌연변이가 많으면 무엇보다 기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진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변이의 폭이 클수록 현재 맞고 있는 백신의 무력화 가능성이 높다”며 “모든 게 원점으로 돌아가는 상황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파력도 더 강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릭 딩 미국과학자연맹(FAS) 선임 펠로가 26일(현지 시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에 비해 전파 속도가 약 5배 빠르다. 홍콩에서는 오미크론 변이의 공기 중 감염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남아공 하우텡 지역은 델타 변이가 유행 중이었지만 단기간에 오미크론이 유행을 주도했다”며 “남아공 확진자가 6일 사이 4배로 증가한 걸 보면 전파 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 감염 초기 ‘극심한 피로’… 치명력은 불확실
27일(현지 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 환자를 처음 발견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의사협회장 안젤리크 쿠체 박사는 “이달 초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는 젊은이들을 진료하기 시작했다”며 “이전에 치료한 환자들과는 매우 다르게 아주 경증이었다”고 말했다. 초기에 주로 나타나는 미각 후각 상실 증상도 없었다고 한다.

쿠체 박사가 진료한 젊은 환자들 중 절반은 백신을 맞지 않은 상태에서 감염됐다. 가장 심각한 사례는 6세 어린이였는데 체온과 맥박이 매우 높았다. 이들 대부분이 완치된 걸로 볼 때 기존 변이에 비해 치명력이 높지는 않을 수 있다.

오미크론이 그다지 위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단백질 변이가 너무 많으면 바이러스가 불안정해지고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전에 소멸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 PCR 통한 오미크론 검사는 한 달 뒤 가능
현재 국내에 보급된 PCR 검사로는 코로나19 확진만 가려낼 뿐 오미크론 변이 여부는 알 수 없다. 확진자의 유전자를 3∼5일에 걸쳐 다시 분석해야 한다. 정부는 새로운 검사키트 개발에 나섰지만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정부 관계자는 “델타 때와 달리 오미크론은 나와 있는 시약이 없어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며 “한 달 안에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외 연구진이 오미크론 변이를 분석 중이다. 1, 2주 후에는 전파력과 치명력 등 정확한 위험성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의 정체가 완전히 드러날 때까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델타 변이는 4월 29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후 약 170일 만인 지난달 16일 모든 환자에게서 감염이 확인됐다. 김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가 단기간에 델타를 대체하면 코로나19 팬데믹의 새 국면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
이은택 기자 nabi@donga.com
김소민 기자 somin@donga.com



관련기사

라이프



모바일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