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7명 “작년보다 살림살이 악화”…물가상승이 최대 원인
이혜원 기자
입력 2025-03-20 08:59 수정 2025-03-20 09:14

국민 10명 중 7명은 올해 가계 형편이 지난해보다 악화했다고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1.5%가 1년 전에 비해 가계경제 상황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에 그쳤다.
가계경제가 어느 정도 악화 또는 개선됐는지 묻자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등 순이었다.
구간별 중간값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가계경제 상황은 평균 7.7% 악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이 경제적으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 상승’이 7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부문은 ‘식료품·외식비’가 7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일자리·사업 안정성에 대해선 ‘불안정하다’는 응답이 43.1%에 달했다. ‘안정적이다’는 26.5%, ‘보통이다’는 30.4%로 나타났다.
내년도 가계경제 상황 전망을 묻는 말엔 ‘악화할 것’이 64.2%, ‘개선될 것’이 35.8%였다. 소득 전망은 ‘감소할 것’ 52.1%, ‘증가할 것’ 47.9%였다. 지출 전망은 ‘증가할 것’(54.2%)이라는 응답이 ‘감소할 것’(45.8%)이라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물가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 조치’가 58.4%로 절반을 넘었다. 이어 ‘에너지 가격 안정 조치’(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등 순이었다.
일자리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 산업 분야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 및 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의 가계 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 하기 좋은 환경 조성으로 투자와 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특히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한경협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1∼27일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포인트다.
이혜원 기자 hyewon@donga.com
비즈N 탑기사
- ‘책 출간’ 한동훈, 정계 복귀 움직임에 테마株 강세
- 조선 후기 화가 신명연 ‘화훼도 병풍’ 기념우표 발행
- 붕괴 교량과 동일·유사 공법 3곳 공사 전면 중지
- 명동 ‘위조 명품’ 판매 일당 덜미…SNS로 관광객 속였다
- “나대는 것 같아 안올렸는데”…기안84 ‘100 챌린지’ 뭐길래
- ‘전참시’ 이연희, 득녀 5개월만 복귀 일상…아침 산책+운동 루틴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잠수함’ 기념우표 발행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음주운전’ 인천시의원 송치
-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도심지 초교마저 학급 편성 ‘비상’
- 상속인 행세하며 100억 원 갈취한 사기꾼 일당 붙잡혀
- 달러 약세 여파에 원-엔 환율 1013원대
- 내달부터 휘발유값 L당 40원-경유 46원 오른다
- “부활 상권 잡아라” 롯데-신세계 ‘2차 명동 대전’
-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2.0%→1.0%로 ‘반토막’
- 롯데 계열사 ‘직무급제’ 확대 추진…노조 동의 필요해 ‘변수’
- 트럼프 “루저 파월” 연일 때리자 ‘셀 USA’가속… 美국채-달러 흔들
- “배달앱 갑질 막자”…중기부, 배민·쿠팡 ‘상생평가’한다
- 트럼프가 때릴수록… 화웨이 앞세운 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찜 해놓던 고가품엔 발길 뚝… 젊은 작가 저렴한 작품 인기
- “집만 보러 갔는데도 비용 청구”…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