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올해 2.8% 성장” 32년만에 동남아보다 뒤처져
뉴욕=김현수 특파원
입력 2022-09-28 03:00 수정 2022-09-28 11:45
세계銀, 작년 8.1%서 추락 전망
제로 코로나 정책-부동산 침체 영향
“공격적 부양책도 별 효과 없을 것”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마스크를 쓴 남성이 영업을 마친 신문 가판대 앞을 지나고 있다. AP/뉴시스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1990년 이후 32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22개 국가보다 뒤처질 것이라고 세계은행이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를 위해 도시 봉쇄도 불사하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침체 등으로 중국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은행은 26일(현지 시간)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5%에서 2.8%로 2.2%포인트 낮췄다. 지난해(8.1%)의 3분의 1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지역 국가 전체의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2.6%보다 2배 이상 높은 5.3%로 예상했다. 세계은행은 코로나19 이후 이 국가들이 내수를 회복하고 있는 상황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3월 올 성장률 목표치를 5.5%로 제시했다. 하지만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상하이, 선전 등 주요 도시가 잇따라 봉쇄됐다. 경제의 약 30%를 차지하는 부동산 위기, 올해 여름 유례없는 폭염과 가뭄에 따른 전력난이 경제 성장 잠재력에 타격을 입혔다. 특히 중국 부동산 위기는 구조적 문제라고 세계은행은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자산 붕괴를 막기 위해 무리하게 돈을 풀면서 지방정부 재정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디탸 마투 세계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코로나19 억제에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과거처럼 공격적인 부양책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경제의 어두운 전망을 담은 이번 세계은행 보고서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경제 정책이 1990년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에서 시작된 경제 활력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경기 둔화가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및 달러 초강세로 인한 아시아 통화 약세,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통화 약세와 이에 따른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제로 코로나 정책-부동산 침체 영향
“공격적 부양책도 별 효과 없을 것”

세계은행은 26일(현지 시간)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5%에서 2.8%로 2.2%포인트 낮췄다. 지난해(8.1%)의 3분의 1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지역 국가 전체의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2.6%보다 2배 이상 높은 5.3%로 예상했다. 세계은행은 코로나19 이후 이 국가들이 내수를 회복하고 있는 상황 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아디탸 마투 세계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코로나19 억제에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과거처럼 공격적인 부양책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경제의 어두운 전망을 담은 이번 세계은행 보고서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경제 정책이 1990년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에서 시작된 경제 활력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경기 둔화가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및 달러 초강세로 인한 아시아 통화 약세,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통화 약세와 이에 따른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비즈N 탑기사
- 추위 피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노인, 반나절 만에 구조
- 스티브잡스 ‘친필 사인’ 수표, 최종 낙찰가 4800만원
- “호랑이 입에 저게 뭐야?”…신발 물고있는 모습에 굴 들어가보니
- “하루 버티면 1300만원”…전기 끊긴 마트서 45일 생존 남성, 6억 벌었다
- 이강인의 인기에 음바페도 ‘한글 유니폼’ 입고 뛰었다…‘파리 들썩’
- 빚 1억 남기고 실종 지적장애 男, 방송 직전에 극적 발견
- 위안부 피해자 손배 2심 승소…日언론들 신속 타전
- 美 북부 지역까지 위협하는 캐나다 야생 멧돼지…“퇴치 어려워”
- 부산도 옮았다…빈대 공포에 “코로나 때처럼 외출 자제”
- 꿀벌이 돌아온다…아까시꿀 생산량 평년比 51% ↑
- ‘청약 1순위’ 되려면 청약통장 예치액 확인하세요[부동산 빨간펜]
- 집값 하락에 가구 자산 사상 첫 감소…평균 순자산은 4억3500만원
- 치킨 튀기고, 수술 보조… 협동로봇, ‘일손’ 해결사로
- ‘LA 대신 서울’…일본 여행객 ‘엔저’에 연말연시 짠테크 해외여행
- 높은 집값, 이자 부담에…20년 넘은 구축 아파트 거래 ‘쑥’
- 80만원대 준프리미엄급 ‘갤럭시 S23 FE’ 출시
- “‘킹산직’ 채용 또 온다”…현대차, 다음주 400명 추가 채용
- 2025년 말엔 곤돌라로 남산 오른다
- “카페라떼 가격 2년새 급등…매머드 29.4%, 빽다방 20% 큰 폭 올려”
- 가구 자산 3.7% 줄고 부채는 0.2% 늘어… 팍팍해진 한국인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