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 국내 누적 판매 10만대 돌파… “35년 한국 역사 산증인”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입력 2022-12-05 20:24:00 수정 2022-12-05 20:26:39
지난 1987년 ‘700시리즈’로 국내 진출
‘올림픽·월드컵·IMF·금융위기’ 모두 겪어
2010년대부터 성장 본격화
2012년부터 10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
“한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성장 요인”
볼보코리아는 국내 신차 누적 판매대수가 10만대를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독일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는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스웨디시 럭셔리’를 앞세워 차별화된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볼보코리아 누적 판매량은 총 10만1079대다. 지난 1987년 700시리즈를 시작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 볼보는 2012년부터 10년 연속 연간 두 자릿수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약 35년 만에 10만대 고지를 넘어선 것이다. 볼보코리아는 1988 서울올림픽을 비롯해 IMF 외환위기 사태와 2002 한·일 월드컵,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등 한국의 굵직한 이슈를 함께 겪은 역사의 산증인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볼보의 급격한 성장은 201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볼보코리아는 괄목할만한 성장 주요 요인으로 한국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꼽았다. 지난 2016년 이후 매년 새 모델을 투입하고 한국 소비자를 위해 300억 원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티맵모빌리티와 협력해 ‘TMAP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개발했고 현재 국내 판매 전 차종에 해당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시장과 서비스센터 확충에는 5년간 약 2500억 원을 투입했다. 향후 5년간 1500억 원을 투자해 전동화 브랜드 전환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C40과 XC40 리차지 등 브랜드 첫 전기차 모델 판매를 시작하기도 했다.
소비자 접점 확대를 위한 브랜드 활동도 강화했다. 아시아 최초로 서비스 통합 브랜드 ‘서비스바이볼보(Service by Volvo)’를 도입하고 스웨덴 문화를 활용한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해 질적 성장을 병행했다. 올해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자동차 기획조사에서는 상품성 만족도와 AS만족도가 1위에 올라 2관왕을 차지했다.
또한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글로벌 비전에 맞춰 디젤 엔진 모델 판매를 중단했고 2019년부터는 모든 사업장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러닝 캠페인 ‘헤이 플로깅’도 매년 개최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천하면서 친환경 문화를 국내에 전파한 역할도 맡았다.
이윤모 볼보코리아 대표는 “국내 시장을 위한 볼보의 차별화된 전략이 10만대 판매라는 결실로 이어졌다”며 “스웨디시 럭셔리가 선사하는 특유의 안전과 인간 중심 가치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올림픽·월드컵·IMF·금융위기’ 모두 겪어
2010년대부터 성장 본격화
2012년부터 10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
“한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성장 요인”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볼보코리아 누적 판매량은 총 10만1079대다. 지난 1987년 700시리즈를 시작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 볼보는 2012년부터 10년 연속 연간 두 자릿수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약 35년 만에 10만대 고지를 넘어선 것이다. 볼보코리아는 1988 서울올림픽을 비롯해 IMF 외환위기 사태와 2002 한·일 월드컵,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등 한국의 굵직한 이슈를 함께 겪은 역사의 산증인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볼보의 급격한 성장은 2010년대부터 본격화됐다. 볼보코리아는 괄목할만한 성장 주요 요인으로 한국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꼽았다. 지난 2016년 이후 매년 새 모델을 투입하고 한국 소비자를 위해 300억 원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티맵모빌리티와 협력해 ‘TMAP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개발했고 현재 국내 판매 전 차종에 해당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시장과 서비스센터 확충에는 5년간 약 2500억 원을 투입했다. 향후 5년간 1500억 원을 투자해 전동화 브랜드 전환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C40과 XC40 리차지 등 브랜드 첫 전기차 모델 판매를 시작하기도 했다.


또한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글로벌 비전에 맞춰 디젤 엔진 모델 판매를 중단했고 2019년부터는 모든 사업장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러닝 캠페인 ‘헤이 플로깅’도 매년 개최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천하면서 친환경 문화를 국내에 전파한 역할도 맡았다.
이윤모 볼보코리아 대표는 “국내 시장을 위한 볼보의 차별화된 전략이 10만대 판매라는 결실로 이어졌다”며 “스웨디시 럭셔리가 선사하는 특유의 안전과 인간 중심 가치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자동차 인기기사
- 1“중꺾마로 재기 노린다”… 현대차, 전기차 설계 기반 ‘신형 코나’ 출시
- 2‘유럽수출 호조’ 르노코리아, 지난해 유럽 역대 최다 수출달성
- 3세계 전기차 시장 춘추전국시대…‘1국 1전기차’ 개막
- 4푸조의 승부수… “우린 전동화로 간다”
- 5‘미리보는 차세대 911’ 포르쉐, 75주년 기념 콘셉트카 첫선
- 6상반기 기대되는 출시 예정 車에 EV9·쏘나타 하이브리드
- 7LG에너지솔루션, 영업이익 ‘1조 클럽’ 가입… “상장 1년 만에 돈 되는 배터리 완성”
- 8전기차의 배터리 온도 관리법에 대하여
- 9기아, 2022년 영업이익 ‘7조’… 올해 10조 도전
- 10車·배터리 실적 훈풍…영업익, 기아 7조-LG엔솔 1조 ‘역대 최고’
비즈N 탑기사
- 조희연 “해직교사 특채→화합”…1심은 왜 죄로 봤나
- 진태현·박시은 “아이 떠난 후 눈물…사실 매일 참고 있는 것”
- 폭설 속 달리는 구급차서 ‘새 생명’ 받아낸 소방대원들
- 470만원에 구입한 ‘포켓몬스터 옐로우’ 박살나버린 美 남성
- 공기질이 얼마나 나쁘길래…방콕, 초미세먼지에 재택근무 권고
- “히트곡, 금·석유보다 더 가치”…저스틴 비버, 저작권 2467억원에 매각
- 서현우 “‘유령’ 위해 24㎏ 증량…하루에 6끼 먹어”
- “고은 시집 공급 중단…실천문학 1년 휴간” 윤한룡 대표 사과
- ‘한옥의 아름다움 만끽’ 북촌 설화수의 집, 우수 디자인 선정
- god, 이게 몇 년 만이야?…완전체 화보 공개
- 10억 넘던 송도·청라 아파트 ‘반토막’ 거래 속출
- 지난해 수입 김치 100% ‘중국산’…다시 식탁 점령
- ‘얼죽아’들 모여라… 스타벅스, 5일간 아이스 아메리카노 사이즈업
- 파스타 삶는 셰프봇, 나르는 서빙봇… 日일손 부족에 로봇 확산[글로벌 현장을 가다]
- 초고령사회 2년 앞둔 韓 60세 정년 없어지나…55세이상 고용확대 논의
- ‘패션 1번지’ 파리서 날아오른 ‘K패션’
- 인터넷은행도 대출금리 줄줄이 인하
- 2년반만의 역성장…올해 1% 성장도 위태
- 삼성전자, 성과급 온도차…반도체 50% vs 생활가전 7%
- “햄버거 아닌 금버거?”…롯데리아發 도미노 인상 이어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