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량 줄었는데 예산삭감까지…수소차 정책 ‘용두사미’ 되나
뉴스1
입력 2022-05-19 09:24:00 수정 2022-05-19 09:25:01

윤석열 정부가 ‘수소경제’ 드라이브를 예고하면서 혜택을 입을 것으로 기대됐던 친환경 수소차 사업이 판매량 감소와 관련 예산 삭감으로 이중고를 맞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계 1위 수소차를 양산하며 화려한 막을 올린 국산 수소차 개발사업이 이대로 가면 ‘용두사미(龍頭蛇尾)’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9일 카이즈유데이터랩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국내 유일 수소 승용차인 현대 넥쏘 판매량은 128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08대와 비교해 15%가량 줄었다. 4월에는 1210대 판매되며 상대적으로 선전했지만 지난해 4월(1212대)과 비슷한 수준이다.
문제는 국내 판매량만이 아니다. 수출량도 대폭 감소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1~4월 친환경차 수출 대수는 17만대를 넘어섰다. 그중 하이브리드차는 8만8000여대, 전기차는 6만5500여대를 차지하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 27%, 63%가량 증가했다.
반면 수소차 수출 대수는 같은 기간 56대를 그치며 전년 동기 526대와 비교하면 89%나 급감했다.
자동차업계는 윤석열 정부가 수소산업 육성 의지를 밝혔고, 최근에는 수소 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 문턱을 넘으며 수소차 개발에 대한 지원을 기대해왔지만 여의치 않은 분위기다.
환경부는 최근 수소차 관련 예산을 삭감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2회 추경예산안에서 수소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설치 부분사업 예산은 기존 8927억원에서 2250억원 감소한 6677억원으로 편성됐다.
세부내역을 보면 수소충전소 설치 부문은 기존 예산이 유지됐지만 수소차 보급 부문이 기존 6795억원에서 4545억원으로 줄었다. 이는 기존 수소 승용차 보급 목표를 2만7650대에서 1만7650대로 1만대 줄여 조정한 데 따른 것이다.
환경부는 수소차 보급을 확대한다는 정책 방향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보급 목표는 줄었지만 차량 한대당 보조금은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정부가 수소 승용차에 대한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점차 지원을 줄이겠다는 시그널로 읽힌다”고 풀이했다.
김 교수는 “넥쏘가 출시된 지 5년이 됐는데 페이스 리프트 모델도 없고 수소 충전소도 부족한 부분들이 있어 승용차로서 한계점이 있다고 보고 지원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이제 시작 단계인 수소차에 대한 지원금을 줄이면 수소차 사업이 활성화될 수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넥쏘 초창기 모델의 1대당 생산 원가는 약 1억500만원으로 알려졌다. 제작사가 3000만원가량 손해를 감수하고 7200만원에 차량을 출시하면 여기에 정부 보조금 3500만원을 받아 일반 소비자가 3400만~3700만원에 구매하는 구조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보조금을 줄이면 구매에 대한 가격 저항을 제작사가 끌어안게 돼 수익률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제작사에 그런 부담을 주는 정책을 쓸 정도로 수소전기차가 많이 보급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좀 더 보조금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자동차 인기기사
- 1테슬라 모델 Y 13개월차 유지비
- 2“기존 출력에 차세대 기술 통합”…페라리 ‘296 GTS’ 국내 출시
- 312년만에 日재상륙한 현대차 “전기차로 승부”
- 4“들쑥날쑥 물량에” 7월 수입차 판매 12%↓… 전기차 1위 ‘폴스타2’
- 51000만 원대 중고차, 8월 최대 5% 하락
- 6캐딜락 첫 순수 전기 SUV ‘리릭’, 내년 한국시장에 나온다
- 7페라리 ‘296 GTS’ 첫 선… 국내 계약 100대 돌파
- 8폭스바겐 티구안 국내 첫 가솔린 모델… 7인승 ‘티구안 올스페이스’ 사전계약
- 9‘침수차 판매 의혹’ 벤츠코리아 “고객에게 사과 새 차로 교환”
- 10BMW 내쇼날모터스, 전주 한옥 전시장 새단장
비즈N 탑기사
- 도로에 쏟아진 맥주병…맨손으로 치운 여학생들 (영상)
- ‘만5세 입학’ 논란인데…교육감 단체성명 없는 까닭은?
- 동생 돌봄받는 아기가된 13세 금쪽이…이상행동에 스튜디오도 충격
- “나 돈 많아” 서울 주택가에 2200만원 뿌린 이라크인
- 광장시장 김밥 먹고 댓글엔 하트…CNN ‘韓 가상인간 열풍’ 조명
- “짬뽕값 못 드려 죄송” 뒤늦게 중국집 주인에 빚갚은 시민
- “엄마 나 폰 액정 깨졌어” 메신저 피싱 조직 무더기 검거
- 13억 이어 연금복권…같은 가게서 복권 2번 당첨된 美 행운남
- 강남 한복판 상의탈의男-비키니女, 결국 경찰조사 받는다
- 배슬기, 폭우 피해 근황 “집이 무너지고 있음”
- 테슬라 모델 Y 13개월차 유지비
- ‘우윳값 개편’에 단호한 정부…밀크플레이션 우려 커지며 소비자도 ‘불안’
- 유아 표 끊어 강아지 앉혔다 ‘벌금 40만원’…KTX “성인승차권 사야”
- 경기침체 신호탄?…실업수당 청구 늘어난 美, 韓도 고용 악화 우려
- 휴가철에 혼잡…영동선·서울양양선 많이 막힌다
- 해외여행 면세 한도 600→800달러, 술은 2병까지…“추석 전 적용”
- “기존 출력에 차세대 기술 통합”…페라리 ‘296 GTS’ 국내 출시
- 치솟는 물가에…대출이자 더 오른다
- 서울 아파트 경매도 찬바람…감정가 대비 2억원 낮아도 유찰
- 세입자 피눈물…집주인 체납에 떼인 전세 보증금 472억